리눅스 / 명령어

명령어 개요
adduser 사용자 추가하는 명령어.
alias 명령어 별칭을 만든다.
cal calendar. 달력을 출력하는 명령어.
cat concatenate. 파일 내용 출력하는 명령어.
cd change directory.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하는 명령어.
chmod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읽기, 쓰기, 실행 권한 설정하는 명령어
chown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소유자(그룹) 설정하는 명령어
clear 터미널 화면의 내용을 다 지운다.
cp copy. 파일 또는 디렉토리 복사.
du disk usage. 디스크 사용량 출력.
file 파일의 종류를 출력하는 명령어
find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검색하는 명령어
free 메모리 사용량 확인하는 명령어
grep 문자열이나 정규 표현식을 검색하고, 해당 줄 출력
history 이전에 실행한 명령어 목록 출력
locate 명령어 위치 찾기
ls list.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 출력
man manual. 설명서 출력. rm 명령어의 설명서를 보고 싶다면 man rm
mkdir make directory. 디렉토리를 만드는 명령어.
mv move. 파일 또는 디렉토리 이동.
passwd password. 사용자 비밀번호 생성 또는 변경.
poweroff 시스템 종료
pwd print working directory.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 출력.
rdate 타임서버의 시간과 동기화해주는 명령어
reboot 재부팅
rename 파일 이름 변경
rm remove. 파일 또는 디렉토리 삭제
rmdir remove directory. 빈 디렉토리를 삭제.
scp secure copy. ssh 프로토콜로 파일 복사
sftp SSH File Transfer Protocol
shutdown 종료 또는 재부팅
systemctl Control the systemd system and service manager.
touch 빈 파일 만들거나 파일 최종 수정 시간 변경.
useradd 사용자 추가하는 명령어.
userdel user delete. 사용자 삭제하는 명령어.
which 명령어 위치 찾기
whereis 명령어 위치 찾기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20.04 Server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네트워크 설정 파일은 /etc/netplan 디렉토리 안에 있는 yaml 파일이다. DHCP로 설치했다면, 설정 파일 내용은 다음과 비슷하게 되어 있다. # This is the network config written by 'subiquity' network: ethernets: enp0s3: dhcp4: true version: 2 다음과 같이 수정하고 저장한다. IP 등은 네트워크 환경에 맞게 적절히 ...

리눅스 / 스왑 메모리(Swap Memory) 만드는 방법

리눅스 시스템이 메모리를 다 사용하면 프로그램이 멈추는 등 문제가 발생한다. 이때 스왑 메모리(Swap Memory) 늘려서 메모리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스왑 파일 만들기 적당한 디렉토리에 적당한 이름의 파일을 적당한 크기로 만든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면, 루트 디렉토리에 jb-swap이라는 파일을 2G의 크기로 만든다. # fallocate -l 2G /jb-swap root만 읽고 쓸 수 있게 권한 ...

Rocky Linux 9 / hostname 변경하는 방법

Rocky Linux 9 / hostname 변경하는 방법

CLI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hostname을 출력한다. hostname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hostname을 rocky로 변경한다. hostnamectl set-hostname rocky GUI 의 Device Name에서 변경한다.

Ubuntu 22.04 Server / 원격 데스크톱으로 연결하는 방법

Ubuntu 22.04 Server / 원격 데스크톱으로 연결하는 방법

GUI 설치 우분투에 GUI를 설치한다. # apt install ubuntu-desktop-minimal xrdp 설치 xrdp를 설치한다. # apt install xrdp 방화벽 설정 원격 데스크톱은 3389 포트를 사용하므로, 방화벽을 사용하고 있다면 포트를 열어 준다. ufw allow 3389/tcp 원격 데스크톱 연결 원격 데스크톱으로 접속한다.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데, 를 클릭한다. 계정 정보를 입력하고 를 클릭하면... 원격지에서 GUI로 우분투를 즐길 수 있다.

리눅스 / 메모리 타입 확인하는 방법

리눅스에서 메모리 타입(DDR4인지 DDR5인지)을 확인하는 방법 두 가지를 소개합니다. dmidecode --type memory dmidecode 명령어는 시스템 하드웨어 정보를 출력하는 도구로, 메모리 관련 정보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 dmidecode --type memory 아래와 같은 결과를 출력하는데, Type에서 메모리 타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andle 0x0030, DMI type 17, 40 bytes Memory Device Array Handle: ...

Ubuntu 22.04 Server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Ubuntu 22.04 Server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설정 파일 수정하기 네트워크 설정 파일은 /etc/netplan 디렉토리 안에 있는 yaml 파일이다. DHCP로 설치했다면, 설정 파일 내용은 다음과 비슷하게 되어 있다. # This is the network config written by 'subiquity' network: ethernets: eth0: dhcp4: true version: 2 다음과 같이 수정하고 저장한다. IP 등은 네트워크 환경에 ...

리눅스 / 명령어 / cat / 파일 내용 출력하는 명령어

리눅스의 cat(concatenate의 약자) 명령어는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거나 파일을 결합하는 데 사용됩니다. cat 명령어는 주로 텍스트 파일을 다룰 때 유용하며, 여러 개의 파일을 한 번에 읽거나 결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두 개의 파일이 있다고 할 때 file1 1-1 1-2 1-3 file2 2-1 2-2 2-3 cat filename cat 뒤에 파일 이름을 넣으면 파일 안의 내용을 보여줍니다. # cat file1 1-1 1-2 1-3 파일 이름을 연달아 넣으면 ...

리눅스 - 오픈 소스의 선두 주자

리눅스 개요 리눅스(Linux)는 유닉스(Unix) 운영체제의 계열에 속하는 자유롭고 오픈 소스인 운영체제입니다. 리눅스 커널은 1991년 핀란드의 대학생이었던 리누스 토르발스(Linus Torvalds)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으며, GNU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된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결합되어 완전한 운영체제를 구성합니다. 오늘날 리눅스는 서버, 데스크탑, 모바일 장치, 임베디드 시스템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리눅스의 역사 리눅스의 역사는 1991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

리눅스 / 버전 확인하는 방법

리눅스에서 현재 사용 중인 배포판의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 두 가지를 소개합니다. hostnamectl 명령어로 확인 hostnamectl 명령어로 리눅스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Rocky Linux에서 실행한 결과입니다. # hostnamectl Static hostname: rocky-9-01 Icon name: computer-vm Chassis: ...

리눅스 / 캐시 메모리 삭제하는 방법

free 명령어로 메모리 사용 현황을 볼 수 있다. 아래의 경우 free에 여유가 있는데, 만약 buff/cache 사용량이 많아 free에 공간이 없다면 시스템이 느려진다. 그런 경우 메모리 캐시를 삭제하여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 free tot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