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명령어 / rm / 파일 또는 디렉토리 삭제하는 명령어

rm은 remove의 약자로,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파일 삭제하기

  • abc.txt 파일을 삭제한다. 삭제할 건지 다시 묻는다. y 또는 yes를 입력하면 삭제한다.
# rm abc.txt

  • 확장자가 txt인 모든 파일을 삭제한다. 각 파일에 대해서 삭제할 건지 묻는다.
# rm *.txt
  •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을 삭제한다. 각 파일에 대해서 삭제할 건지 묻고, 디렉토리가 있다면 삭제할 수 없다는 메시지가 나온다.
# rm *
  • -f 옵션을 붙이면 삭제할 건지 다시 묻지 않고 바로 삭제한다.
# rm -f abc.txt
  •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을 바로 삭제한다. 디렉토리는 삭제하지 않는다.
# rm -f *

디렉토리 삭제하기

  • dir1 디렉토리를 삭제한다. 디렉토리를 삭제할 때는 -r 옵션을 붙인다.
# rm -r dir1
  • f 옵션을 추가하면 삭제할 건지 묻지 않고 바로 삭제한다.
# rm -rf dir1
  • 현재 디렉토리에 속한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를 삭제한다. -rf 옵션은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 rm -rf *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7 / Samba / 설치하고 공유 폴더 만드는 방법

CentOS 7 / Samba / 설치하고 공유 폴더 만드는 방법

Samba 설치 Samba 패키지 이름은 samba입니다. yum install samba 방화벽 설정 Samba가 사용하는 포트를 열어줍니다.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service=samba 방화벽을 다시 로드합니다. firewall-cmd --reload 참고 : CentOS 7 / firewall-cmd 명령어로 방화벽 관리하기 SELinux SELinux를 적절히 설정하거나 끕니다. 참고 : CentOS 7 / SELinux 끄는 방법 Samba 사용자 추가 사용자가 Samba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만약 사용자계정이 user1이라면 다음과 같이 합니다. smbpasswd -a user1 Samba 설정 Samba 설정 ...

Ubuntu 24.04 Server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네트워크 설정 파일은 /etc/netplan 디렉토리 안에 있는 yaml 파일입니다. 파일 이름은 시스템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 ll /etc/netplan total 12 drwxr-xr-x 2 root root 4096 Apr 27 23:00 ./ drwxr-xr-x 108 root root 4096 Apr 27 23:06 ../ -rw------- 1 root root 389 Apr 27 23:00 50-cloud-init.yaml DHCP라면 설정 파일이 다음과 ...

CentOS 7 / SELinux 끄는 방법

CentOS 7 / SELinux 끄는 방법

방법 1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SELinux가 꺼진다. 재부팅하면 다시 SELinux가 켜진다. setenforce 0 만약 다시 SELinux를 사용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setenforce 1 방법 2 /etc/selinux/config에 다음과 같은 코드가 있다. SELINUX=enforcing 다음과 같이 바꾼다. SELINUX=disabled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적용된다. 방법 1과는 달리 재부팅해도 설정이 유지된다.

리눅스 / 명령어 / touch / 빈 파일 만들기, 최종 수정 시간 변경하기

touch는 빈 파일 만들거나 파일의 최종 수정 시간을 현재 시간으로 바꾸는 명령어이다. abc.txt 파일이 없다면, 내용이 없는 abc.txt 파일을 만듭니다. abc.txt 파일이 있다면, 파일의 최종 수정 시간을 현재로 변경합니다. # touch abc.txt

CentOS 7 / ntsysv로 부팅할 때 서비스 자동으로 시작하게 하기

CentOS 7 / ntsysv로 부팅할 때 서비스 자동으로 시작하게 하기

서비스 관리는 보통 systemctl 명령어로 합니다. systemctl 명령어의 enable을 이용하면 시스템이 부팅할 때 서비스가 자동으로 시작하게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ystemctl enable httpd.service 는 서버가 부팅할 때 httpd 서비스를 자동으로 시작합니다. 만약 이러한 서비스 관리를 명령어로 하는 불편하다면 ntsysv를 사용해보세요. TUI로 자동으로 시작하는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ntsysv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yum install ntsysv 다음과 같이 ...

CentOS 7 / firewall-cmd 명령어로 방화벽 관리하기

CentOS 7 / firewall-cmd 명령어로 방화벽 관리하기

CentOS의 방화벽 관리 데몬은 firewalld입니다. 설정은 firewall-cmd 명령어로 합니다. 방화벽 실행 여부 확인 firewall-cmd --state 실행 중이면 running, 실행 중이 아니면 not running을 출력합니다. 방화벽 다시 로드 firewall-cmd --reload 방화벽 설정 후 다시 로드해야 적용됩니다. 존(Zone) 출력하기 firewall-cmd --get-zones 존(zone) 목록을 출력합니다. firewall-cmd --get-default-zone 기본 존을 출력합니다. firewall-cmd --get-active-zones 활성화된 존을 출력합니다. 사용 가능한 서비스/포트 출력하기 firewall-cmd --list-all 사용 가능한 모든 서비스/포트 목록을 출력합니다. firewall-cmd --zone=public --list-all public 존에 ...

리눅스 / 명령어 / find /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찾는 명령어

find는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찾는 명령어이다. 현재 디렉토리 안에 있는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를 출력한다. 숨긴 파일 또는 숨긴 디렉토리도 출력한다. # find /etc 디렉토리 안에 있는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를 출력한다. 숨긴 파일 또는 숨긴 디렉토리도 출력한다. # find /etc 현재 디렉토리 안에서 이름이 abc인 파일 또는 abc인 디렉토리를 검색한다. # find -name abc 현재 디렉토리 안에서 이름이 ...

리눅스 / 명령어 / cal / 달력을 출력하는 명령어

cal은 달력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아무 옵션 없이 사용하면 현재 날짜가 속한 달의 달력을 출력한다. cal October 2022 Su Mo Tu We Th Fr Sa 1 2 3 4 5 ...

Ubuntu 20.04 Server / hostname 확인하는 방법, 변경하는 방법

Ubuntu 20.04 Server / hostname 확인하는 방법, 변경하는 방법

hostname 확인하는 방법 방법 1 - 명령어로 확인하기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hostname을 출력한다. hostname 방법 2 - 설정 파일 열어서 확인하기 /etc/hostname 파일에 hostname이 있다. cat /etc/hostname hostname 변경하는 방법 방법 1 - 명령어로 변경하기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hostname이 abc로 바뀐다. hostnamectl set-hostname abc 방법 2 - 설정 파일 열어서 변경하기 텍스트 에디터로 /etc/hostname 파일을 열어서 내용을 abc로 바꾸면 hostname이 abc로 바뀐다. 재부팅 재부팅을 하면 변경사항이 ...

CentOS 7 / Apache / 하나의 서버에 여러 사이트 운영하기

CentOS 7 / Apache / 하나의 서버에 여러 사이트 운영하기

하나의 서버에 하나의 사이트만 운영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일 것입니다. 하지만 사이트 접속자가 많지 않거나 서버 사양이 훌륭하다면 여러 사이트를 하나의 서버에서 운영하는 게 경제적입니다. CentOS에 Apache 웹서버를 설치하고 운영하는 경우 여러 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게 설정하는 방법을 요약해보겠습니다. 네임 서버 설정 각 도메인의 네임 서버의 호스트 IP를 웹서버 아이피로 설정합니다. 디렉토리 만들기 한 서버에 aaa.com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