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chown, chmod / 파일 또는 디렉토리 소유자, 소유그룹, 권한 설정

chown과 chmod는 파일 및 디렉토리의 권한과 소유자를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Linux 명령어입니다.

정보 확인

  • ls 명령어에 -l 옵션을 붙여서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권한과 소유자(그룹)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제일 앞에 있는 문자는 디렉토리인지 파일인지는 나타냅니다. d는 디렉토리라는 뜻이고, -는 파일이라는 뜻입니다.
  • 그 다음 3개의 문자열은 소유자의 권한을, 그 다음 3개의 문자열은 소유그룹의 권한을, 그 다음 3개의 문자열은 소유자(그룹) 이외의 권한을 나타냅니다.
  • 처음 나오는 jb는 소유자, 그 다음 나오는 jb는 소유그룹입니다.
# ls -l
drwxrwxr-x 2 jb jb 4096 Feb 16 22:28 test_directory
-rw-rw-r-- 1 jb jb    4 Feb 16 22:34 test_file

chown

chown은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소유자와 소유그룹을 정하는 명령어입니다.

  • test_file의 소유자를 jb, 소유그룹을 hs로 정합니다.
# chown jb:hs test_file
  • 소유그룹은 그대로 둔 채 소유자만 jb로 변경합니다.
# chown jb test_file
  • 소유자는 그대로 둔 채 소유그룹만 hs로 변경합니다.
# chown :hs test_file
  • data라는 디렉토리가 있을 때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data 디렉토리와 그 안에 있는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소유자를 jb, 소유 그룹을 hs로 만듭니다.
chown -R jb:hs data

chmod

chmod은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접근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 r은 읽기(read) 권한, w는 쓰기(write) 권한, x는 실행(excute) 권한입니다.
  • 다음을 해석하면, test_file의 소유자는 jb, 소유그룹은 jb이고, 소유자는 읽고 쓰기 가능, 소유그룹은 읽고 쓰기 가능, 나머지는 읽기 가능입니다.
-rw-rw-r-- 1 jb jb 4 Feb 16 22:34 test_file
  • r은 4, w는 2, x는 1입니다. 따라서 7은 rwx, 6은 rw-, 5는 r-x, 4는 r--을 뜻합니다.
  • 따라서 다음은 소유자, 소유그룹, 다른 사용자 모두에게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주는 것입니다.
chmod 777 test_file
  • 다음은 rwxr-x---로 만드는 것입니다.
chmod 750 test_file
  • u는 소유자, g는 소유그룹, o는 다른 사용자이고, +는 추가, -는 제거를 뜻합니다.
  • 따라서 다음은 소유자에게 실행 권한을 추가하는 것입니다.
chmod u+x test_file
  • 다음은 소유그룹에서 쓰기 권한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chmod g-w test_file
  • a는 전체를 뜻하므로, 다음은 소유자, 소유그룹, 다른 사용자의 읽기 권한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chmod a-r test_file
  • data라는 디렉토리가 있을 때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data 디렉토리와 그 안에 있는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권한을 777로 만듭니다.
# chmod -R 777 data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22.04 Server / ZIP 압축 파일 푸는 방법

ZIP 파일을 압축 해제하기 위해서는 unzip 패키지가 필요하다. # apt install unzip xxx.zip 파일을 압축 해제하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 unzip xxx.zip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도움말을 볼 수 있다. # unzip -h 결과는 다음과 같다. UnZip 6.00 of 20 April 2009, by Debian. Original by Info-ZIP. Usage: unzip Default ...

리눅스 / CD, ISO 마운트하는 방법

CD 마운트 마운트할 디렉토리 생셩 mkdir /aaa 마운트 # mount /dev/cdrom /aaa mount: /aaa: WARNING: source write-protected, mounted read-only. 마운트 해제 umount /aaa ISO 마운트 마운트할 디렉토리 생셩 mkdir /aaa 마운트 mount /root/Disc.iso /aaa -o loop mount: /aaa: WARNING: source write-protected, mounted read-only. 마운트 해제 umount /aaa

리눅스 / 그룹 / 그룹 조회, 그룹 추가, 그룹 삭제, 그룹 수정

그룹 조회 그룹 목록은 /et/group 파일에 있습니다. cat 명령어로 전체를 조회하거나... cat /etc/group tail 명령어로 마지막 부분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 tail -n 5 /etc/group avahi:x:70: slocate:x:21: rngd:x:974: tcpdump:x:72: vboxsf:x:973: X:Y:Z 형식으로 나오는데, X는 그룹 이름, Y는 그룹 비밀번호, Z는 그룹 ID입니다. 그룹 추가 groupadd 명령으로 그룹을 추가합니다. # groupadd group-1 # tail -n 5 /etc/group slocate:x:21: rngd:x:974: tcpdump:x:72: vboxsf:x:973: group-1:x:1000: 그룹 삭제 groupdel 명령으로 그룹을 삭제합니다. # ...

Ubuntu 16.04 / 메모

PHP intl 설치 apt install php-intl service apache2 reoad APCu 설치 apt install php-apcu service apache2 reload

CentOS 8 / 언어 변경하는 방법

CentOS 8 / 언어 변경하는 방법

현재 언어 확인하기 # localectl System Locale: LANG=en_US.UTF-8 VC Keymap: us X11 Layout: us 사용 가능한 언어 확인하기 # localectl list-locales C.utf8 en_AG en_AU en_AU.utf8 en_BW en_BW.utf8 en_CA en_CA.utf8 en_DK en_DK.utf8 en_GB en_GB.iso885915 en_GB.utf8 en_HK en_HK.utf8 en_IE en_IE.utf8 en_IE@euro en_IL en_IN en_NG en_NZ en_NZ.utf8 en_PH en_PH.utf8 en_SC.utf8 en_SG en_SG.utf8 en_US en_US.iso885915 en_US.utf8 en_ZA en_ZA.utf8 en_ZM en_ZW en_ZW.utf8 ko_KR.euckr ko_KR.utf8 언어를 한글로 변경하기 # localectl set-locale LANG=ko_KR.utf8 # localectl System Locale: LANG=ko_KR.utf8 ...

Rocky Linux 9 / SSH / 포트 변경하는 방법

Rocky Linux 9 / SSH / 포트 변경하는 방법

SSH는 22 포트를 사용한다. 알려진 포트이므로 다른 포트로 변경하는 것이 보안상 좋다. Rocky Linux 9에서 SSH 포트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포트를 1980으로 바꾼다고 가정한다. /etc/ssh/sshd_config에서 다음의 코드를... #Port 22 다음으로 변경한다. Port 1980 SELINUX가 활성화되어 있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1980 포트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든다. semanage port -a -t ssh_port_t -p tcp 1980 만약 다음과 같은 ...

리눅스 / 명령어 / mkdir / 디렉토리 만드는 명령어

mkdir은 make directory의 약자로, 디렉토리를 만드는 명령어이다. abc 디렉토리를 만든다. # mkdir abc abc 디렉토리 아래에 def 디렉토리를 만든다. 만약 abc 디렉토리가 없다면 def 디렉토리를 만들 수 없다는 메시지가 나온다. # mkdir abc/def p 옵션을 붙이면 abc 디렉토리가 없어도 abc 디렉토리를 만든 후에 def 디렉토리를 만든다. # mkdir -p abc/def 리눅스 / 명령어 / rm / 파일 ...

Rocky Linux 8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Rocky Linux 8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보통 Rocky Linux를 설치할 때 IP를 설정하나, 여러 가지 이유로 IP 설정을 다시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IP를 설정하는 두 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TUI 네트워크 설정 파일을 수정하는 것보다는 NetworkManager Text User Interface(nmtui)를 이용하는 게 편하다. nmtui를 실행한다. Edit a connection을 선택한다. 설정하려는 네트워크 카드를 선택한다. 현재 설정이 나오는데... 적절히 설정한다.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반영한다.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 GUI Settings를 연다. Network에서 ...

CentOS 7 / Apache, PHP, MariaDB 설치하는 방법

CentOS 7 / Apache, PHP, MariaDB 설치하는 방법

CentOS에 Apache, PHP, MariaDB를 설치하는 방법을 간략히 정리합니다. APM 설치 Apache, PHP, MariaDB을 설치합니다. yum install httpd php mariadb-server php-mysql 서비스 설정 Apache가 부팅 시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합니다. systemctl enable httpd.service MariaDB가 부팅 시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합니다. systemctl enable mariadb.service Apache를 시작합니다. systemctl start httpd.service MariaDB를 시작합니다. systemctl start mariadb.service 방화벽 설정 http로 접속할 수 있도록 포트를 열어줍니다.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http https로 접속할 수 있도록 포트를 ...

Rocky Linux 8 / SELinux 끄는 방법

Rocky Linux 8 / SELinux 끄는 방법

상태 확인 켜진 상태라면 Enforcing, 꺼진 상태라면 Permissive를 출력한다. getenforce 방법 1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SELinux가 꺼진다. 재부팅하면 다시 SELinux가 켜진다. setenforce 0 만약 다시 SELinux를 사용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setenforce 1 방법 2 /etc/selinux/config에 다음과 같은 코드가 있다. SELINUX=enforcing 다음과 같이 바꾼다. SELINUX=disabled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적용된다. 방법 1과는 달리 재부팅해도 설정이 유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