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윈도우 11 / 이모지(Emoji) 사용하는 방법 이모지(Emoji)는 감정, 사물, 동작, 장소, 기호 등을 그림이나 아이콘으로 나타내는 문자입니다. 😃😂❤️✨ 같은 그림들이 바로 이모지입니다. 윈도우 11에서 이모지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윈도우 11 / LTSC(Long-Term Servicing Channel) Windows 11 LTSC는 장기 서비스 채널(Long-Term Servicing Channel)이라는 이름처럼, 장기간 안정적인 운영을 목표로 한 특별한 윈도우 11 버전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Windows 11 Home, Pro와는 다소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Windows 11 LTSC는 2024년 10월 1일에 출시되었습니다. 윈도우 11 / 드라이브 최적화하는 방법 물론입니다! 윈도우 11의 드라이브 최적화 기능은 저장 장치(SSD, HDD 등)의 성능을 유지하고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입니다. 디스크 조각 모음(Defragmentation) 또는 TRIM 명령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HDD(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파일이 저장되면서 조각(프래그먼트)이 나면 디스크 헤드가 여러 위치를 찾아야 해서 속도가 느려집니다. 디스크 최적화는 이 조각들을 재배열해서 연속된 공간에 […] 네트워크 / 잘 알려진 포트, 등록된 포트, 동적 포트 포트 번호는 0~65535까지 사용 가능합니다. 이를 용도에 따라 잘 알려진 포트, 등록된 포트, 동적 포트 세 가지로 분류합니다. 관리는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에서 합니다. 한컴오피스 / 한글 / 2024 / 모아 찍기 한글 인쇄에서 모아 찍기는 종이 한 장에 여러 페이지를 인쇄하는 기능입니다. 검토용으로 출력해서 보고 싶을 때, 종이를 아끼고 싶을 때 유용한 기능입니다. 리눅스 / 명령어 / 연산자 - ;, &&, || 리눅스 셸에서 ;, &&, || 는 명령어 실행 방식을 제어하는 연산자입니다. 각 기호의 의미와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리눅스 / 명령어 / history 리눅스를 쓰다 보면 자주 입력한 명령어를 다시 보고 싶거나, 실수로 종료한 터미널에서 이전 작업 기록이 필요할 때가 있죠. 이럴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가 바로 history입니다. 엑셀 / 한영 자동 전환 해제하는 방법 엑셀에서 Rkakrnl를 입력하면 까마귀로 바뀝니다. 한글로 입력해야 할 것을 실수로 영어로 입력했을 거라 판단하여 한글로 변경해주는 기능입니다. 만약 이 기능이 불편하다면 옵션에서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 명령어 / grep grep은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문자열 검색에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grep은 Global Regular Expression Print의 약자로, 텍스트 파일에서 특정 문자열이나 정규 표현식(패턴)을 검색하고, 해당 줄을 출력합니다. 엑셀 / @ 입력 시 이메일 링크로 바뀌지 않게 하는 방법 엑셀의 셀에 @를 포함한 문자열을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링크로 바뀝니다. 아웃룩 같은 이메일 클라이언트를 여는 링크인데요... 진짜로 이메일 주소라면 유용한 기능일 수 있는데, 문제는 글자 모양도 바뀐다는 거에요. 모양을 다시 조정해야 하는 불편이 있어요. 만약 이 기능이 필요 없다면 옵션에서 끌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