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배포판 / 페도라(Fedora) - 역사, 특징, 장점

페도라의 역사

페도라(Fedora)는 2003년 11월 6일에 첫 번째 버전이 출시되었습니다. 페도라는 레드햇(Red Hat)의 커뮤니티 주도 프로젝트로 시작되었으며,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HEL)의 기반이 됩니다. 페도라는 최신 기술과 소프트웨어를 빠르게 채택하고 배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개발자와 파워 유저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레드햇과의 관계

페도라는 레드햇의 후원을 받으며, 페도라 프로젝트는 레드햇이 주도하지만, 커뮤니티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레드햇은 페도라에서 안정화된 기능과 소프트웨어를 RHEL로 가져와 상업적으로 지원되는 안정적인 배포판을 제공합니다. 페도라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신 기술을 시험하고 검증하는 역할을 합니다.

정기적인 릴리즈

페도라는 매년 두 번의 정기적인 릴리즈 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들이 최신 소프트웨어와 기능을 빠르게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시스템을 최신 상태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페도라의 특징

최신 기술 도입

페도라는 최신 기술과 소프트웨어를 빠르게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사용자들이 최신 기능을 빠르게 경험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며, 개발자들에게 최신 개발 도구와 환경을 제공합니다.

RPM 패키지 관리 시스템

페도라는 RPM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를 관리합니다. 이는 소프트웨어의 설치, 업데이트, 제거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또한, DNF(Dandified Yum)를 통해 보다 향상된 패키지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커뮤니티 중심

페도라는 커뮤니티 주도 프로젝트로, 전 세계의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하여 발전시켜 나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커뮤니티는 사용자들이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모듈형 디자인

페도라는 모듈형 디자인을 채택하여 다양한 용도에 맞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특정 기능이나 소프트웨어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하며, 시스템을 보다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다양한 에디션

페도라는 데스크탑, 서버, IoT 등 다양한 용도에 맞게 다양한 에디션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페도라 워크스테이션(Fedora Workstation)은 데스크탑 사용자와 개발자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페도라 서버(Fedora Server)는 서버 운영에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합니다.

페도라의 장점

최신 소프트웨어 사용

페도라는 최신 소프트웨어와 기술을 빠르게 채택하므로, 사용자들은 항상 최신 기능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개발자들에게 특히 유용하며, 최신 개발 도구와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강력한 커뮤니티 지원

페도라는 전 세계적으로 활발한 커뮤니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커뮤니티는 사용자들이 문제를 해결하고, 정보를 공유하며, 페도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게 합니다. 다양한 포럼과 블로그, 문서 등이 있어 사용자들이 쉽게 정보를 찾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높은 보안성

페도라는 보안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정기적인 보안 업데이트와 패치를 제공하여 시스템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SELinux(Security-Enhanced Linux)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강화된 보안 기능을 제공합니다.

무료 사용

페도라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무료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는 개인 사용자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페도라는 소스 코드를 공개하여 누구나 수정하고 배포할 수 있어, 다양한 요구에 맞게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습니다.

유연한 설치 옵션

페도라는 다양한 설치 옵션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게 합니다. 예를 들어, 최소 설치 옵션을 선택하여 필요한 소프트웨어만 설치할 수 있으며, 특정 용도에 맞게 시스템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14.04 / LESS 설치하는 방법

우분투 14.04에 LESS를 설치하는 방법을 메모합니다. Node.js 설치 apt-get install nodejs NPM 설치 apt-get install npm LESS 설치 npm install -g less less-plugin-clean-css /usr/local/bin/lessc 파일 첫 줄에 다음과 같은 코드가 있습니다. #!/usr/bin/env node 다음처럼 바꿉니다. #!/usr/bin/env nodejs

Ubuntu 24.04 Server /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게, ssh 접속할 수 있게 설정하는 방법

Ubuntu는 설치할 때 일반 사용자 계정만 만들고, 관리자 권한이 필요할 때는 sudo를 이용한다. 만약 보안에 문제가 없는 경우라면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게 작업하는 게 편하다.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게 설정하는 방법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다.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만들면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다. # sudo passwd root root 계정으로 ssh ...

CentOS 7 / SELinux 끄는 방법

CentOS 7 / SELinux 끄는 방법

방법 1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SELinux가 꺼진다. 재부팅하면 다시 SELinux가 켜진다. setenforce 0 만약 다시 SELinux를 사용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setenforce 1 방법 2 /etc/selinux/config에 다음과 같은 코드가 있다. SELINUX=enforcing 다음과 같이 바꾼다. SELINUX=disabled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적용된다. 방법 1과는 달리 재부팅해도 설정이 유지된다.

리눅스 / 명령어 / touch / 빈 파일 만들기, 최종 수정 시간 변경하기

touch는 빈 파일 만들거나 파일의 최종 수정 시간을 현재 시간으로 바꾸는 명령어이다. abc.txt 파일이 없다면, 내용이 없는 abc.txt 파일을 만듭니다. abc.txt 파일이 있다면, 파일의 최종 수정 시간을 현재로 변경합니다. # touch abc.txt

Rocky Linux 9 / 설치된 패키지 확인하는 방법

Rocky Linux 9 / 설치된 패키지 확인하는 방법

Rocky Linux에서 설치된 패키지 확인은 dnf 또는 rpm 명령어로 할 수 있다. 출력하는 내용에 차이가 있다. dnf 명령어로 설치된 패키지 확인 설치된 모든 패키지를 출력한다. # dnf list --installed 설치된 패키지 중 이름에 mariadb가 있는 것을 출력한다. # dnf list --installed | grep mariadb rpm 명령어로 설치된 패키지 확인 설치된 모든 패키지를 출력한다. # rpm -qa 설치된 패키지 중 ...

Ubuntu 16.04 / 메모

PHP intl 설치 apt install php-intl service apache2 reoad APCu 설치 apt install php-apcu service apache2 reload

Ubuntu 20.24 Server / Apache, PHP, MariaDB 설치하는 방법

Ubuntu 20.24 Server / Apache, PHP, MariaDB 설치하는 방법

Ubuntu Server에 웹서버 Apache, 웹프로그래밍 언어 PHP, 데이터베이스 MariaDB를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웹서버 운영을 위한 최소한의 설치로, 실제로 서비스할 때는 더 많은 패키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설치 Apache, PHP, MariaDB를 설치합니다. php-mysql은 PHP와 MariaDB 연동을 위한 패키지입니다. # apt install apache2 mariadb-server php php-mysql MariaDB 설정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몇 가지 설정을 합니다. # mysql_secure_installation MariaDB의 root 계정 ...

리눅스 / SELinux(Security-Enhanced Linux)

SELinux(Security-Enhanced Linux)는 리눅스 커널에 통합된 보안 모듈로, 미국 국가안보국(NSA)이 개발한 강력한 접근 제어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보안 프레임워크입니다. SELinux는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보안 정책을 적용하여 프로세스와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제어합니다. SELinux의 주요 특징과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책 기반 접근 제어 SELinux는 시스템의 모든 파일, 디렉터리, 포트, 그리고 프로세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기 ...

Ubuntu Server / 메모

MariaDB / 포트 변경 MariaDB의 기본 접속 포트는 3306입니다. 이를 다른 포트로 변경하고 싶다면 /etc/mysql/mariadb.conf.d/50-server.cnf를 수정합니다. port = 3306 을 찾아서 원하는 포트로 변경한 후 저장합니다. 그리고 MariaDB를 재시작합니다. service mysql restart MariaDB / Can't connect to MySQL server on ... (10061) 다음과 같은 에러를 만났다면... Can't connect to MySQL server on ... (10061) /etc/mysql/mariadb.conf.d/50-server.cnf에 있는 bind-address = 127.0.0.1 를 ...

리눅스 / 캐시 메모리 삭제하는 방법

free 명령어로 메모리 사용 현황을 볼 수 있다. 아래의 경우 free에 여유가 있는데, 만약 buff/cache 사용량이 많아 free에 공간이 없다면 시스템이 느려진다. 그런 경우 메모리 캐시를 삭제하여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 free tot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