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배포판 / 수세 리눅스(SUSE Linux) - 역사, 특징, 장점

수세 리눅스의 역사

수세 리눅스(SUSE Linux)는 독일의 뉘른베르크에 본사를 두고 있는 SUSE 회사에 의해 개발된 리눅스 배포판입니다. SUSE는 "Software- und System-Entwicklung"의 약자로,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개발"을 의미합니다.

초기 역사

SUSE 리눅스는 1992년에 설립되어, 처음에는 Slackware를 기반으로 한 리눅스 배포판을 제공했습니다. SUSE는 독일어권 지역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었으며, 이후 독자적인 리눅스 배포판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노벨(Novell) 인수

2003년 11월, 노벨(Novell)사가 SUSE를 인수하면서 국제적으로 더 큰 인지도를 얻게 되었습니다. 이 인수는 SUSE가 엔터프라이즈 시장에서 더욱 확고한 입지를 다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Attachmate와 Micro Focus 인수

2010년, 노벨이 Attachmate에 인수되었고, 이후 2014년에는 Micro Focus에 인수되었습니다. 이러한 인수 과정을 거치면서도 SUSE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지속적인 발전을 이뤄냈습니다.

독립회사로 재출범

2018년, EQT 파트너스의 지원을 받아 SUSE는 다시 독립적인 회사로 재출범하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SUSE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클라우드 및 컨테이너 기술 등 최신 IT 트렌드에 맞춘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수세 리눅스의 특징

엔터프라이즈 중심

SUSE 리눅스는 엔터프라이즈 환경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는 안정성, 보안성, 성능을 중요하게 여기는 기업들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YaST (Yet another Setup Tool)

YaST는 SUSE 리눅스의 핵심적인 설정 도구로, 시스템 설치, 네트워크 설정, 사용자 관리, 소프트웨어 관리 등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와 명령줄 인터페이스(CLI)로 쉽게 할 수 있게 합니다. 이는 시스템 관리의 편의성을 크게 높여줍니다.

Zypper 패키지 관리자

SUSE 리눅스는 Zypper라는 강력한 패키지 관리 도구를 사용합니다. Zypper는 RPM 패키지를 기반으로 하며, 소프트웨어의 설치, 업데이트, 제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Btrfs 파일 시스템

SUSE 리눅스는 Btrfs 파일 시스템을 기본 파일 시스템으로 사용합니다. Btrfs는 스냅샷, 자동 복구, 압축 등의 고급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의 무결성과 효율적인 관리를 지원합니다.

SLES (SUSE Linux Enterprise Server)

SLES는 서버 환경에 최적화된 SUSE 리눅스의 엔터프라이즈 버전으로, 안정성과 보안성을 중시하는 기업 환경에 적합합니다. SLES는 SAP 환경에서 특히 많이 사용되며, 주요 클라우드 제공업체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높은 성능을 발휘합니다.

오픈 소스 및 커뮤니티 중심

SUSE는 오픈 소스 커뮤니티와의 긴밀한 협력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오픈SUSE 프로젝트는 커뮤니티 주도형 배포판으로, 다양한 개발자와 사용자가 참여하여 SUSE 리눅스를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수세 리눅스의 장점

높은 안정성과 신뢰성

SUSE 리눅스는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의 높은 안정성과 신뢰성을 제공합니다. 이는 기업이 중요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특히, SLES는 장기간의 지원(LTS)을 제공하여 시스템의 지속적인 운영을 보장합니다.

강력한 관리 도구

YaST와 Zypper는 시스템 관리와 패키지 관리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YaST는 GUI와 CLI를 모두 지원하여 다양한 관리 환경에 적합하며, Zypper는 강력한 패키지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고급 파일 시스템 지원

Btrfs 파일 시스템은 데이터의 무결성, 스냅샷 기능, 자동 복구, 압축 등 고급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이는 대용량 데이터 처리와 복구가 중요한 환경에서 큰 장점이 됩니다.

강력한 보안 기능

SUSE 리눅스는 SELinux(Security-Enhanced Linux)와 AppArmor 등의 보안 기능을 제공하여 시스템을 보호합니다. 정기적인 보안 업데이트와 패치를 통해 최신 보안 위협에도 대응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및 컨테이너 지원

SUSE는 주요 클라우드 제공업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높은 성능을 발휘합니다. 또한, Kubernetes와 같은 컨테이너 기술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현대적인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배포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광범위한 하드웨어 지원

SUSE 리눅스는 다양한 하드웨어 플랫폼을 지원하여, 서버, 데스크탑, 메인프레임, IoT 장치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이 다양한 IT 인프라를 통합하여 운영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오픈 소스 커뮤니티와의 협력

SUSE는 오픈SUSE 프로젝트를 통해 오픈 소스 커뮤니티와의 협력을 중요시합니다. 이는 사용자와 개발자가 자유롭게 참여하여 SUSE 리눅스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게 합니다.

비용 효율성

SUSE 리눅스는 상용 소프트웨어에 비해 비용 효율성이 뛰어납니다. 이는 특히 중소기업이나 예산이 제한된 기관에서 IT 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cky Linux 8 / 원격 데스크톱으로 연결하는 방법

Rocky Linux 8 / 원격 데스크톱으로 연결하는 방법

패키지 설치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EPEL(Extra Packages of Enterprise Linux) 저장소를 추가한다. dnf install epel-release xrdp 패키지를 설치한다. dnf install xrdp 방화벽 설정 원격 데스크톱이 사용하는 포트는 3389이다. firewall-cmd로 3389 포트를 열어준다.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3389/tcp 방화벽을 다시 로드한다. firewall-cmd --reload 서비스 설정 systemctl 명령어로 xrdp 서비스를 시작한다. systemctl start xrdp 시스템 재부팅 후에도 자동으로 실행되게 하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systemctl enable xrdp 재부팅 위와 같이 했을 때 원격 ...

리눅스 / 배포판 / 록키 리눅스(Rocky Linux) - 역사, 특징, 장점

록키 리눅스의 역사 록키 리눅스(Rocky Linux)는 2020년 12월에 발표된 오픈 소스 리눅스 배포판으로, CentOS 프로젝트의 공동 창립자인 그레고리 커츠너(Gregory Kurtzer)가 주도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록키 리눅스는 CentOS 8의 종료 발표 이후, 기존의 CentOS 사용자들에게 안정적인 대안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록키 리눅스는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HEL)와의 완전한 호환성을 목표로 하며, 커뮤니티 주도 프로젝트로 운영됩니다. CentOS와의 관계 CentOS는 ...

Ubuntu 22.04 Server / 원격 데스크톱으로 연결하는 방법

Ubuntu 22.04 Server / 원격 데스크톱으로 연결하는 방법

GUI 설치 우분투에 GUI를 설치한다. # apt install ubuntu-desktop-minimal xrdp 설치 xrdp를 설치한다. # apt install xrdp 방화벽 설정 원격 데스크톱은 3389 포트를 사용하므로, 방화벽을 사용하고 있다면 포트를 열어 준다. ufw allow 3389/tcp 원격 데스크톱 연결 원격 데스크톱으로 접속한다.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데, 를 클릭한다. 계정 정보를 입력하고 를 클릭하면... 원격지에서 GUI로 우분투를 즐길 수 있다.

Ubuntu 16.04 / SASS 설치하는 방법

우분투 16.04에 SASS를 설치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방법 1 apt install ruby-sass 방법 2 apt install ruby gem install sass 설치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 sass -v SASS 버전이 출력되면 제대로 설치된 것입니다. Sass 3.4.23 (Selective Steve) 참고 최신 버전의 SASS를 사용하고 싶다면 방법 2로 설치합니다.

CentOS 7 / SELinux 끄는 방법

CentOS 7 / SELinux 끄는 방법

방법 1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SELinux가 꺼진다. 재부팅하면 다시 SELinux가 켜진다. setenforce 0 만약 다시 SELinux를 사용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setenforce 1 방법 2 /etc/selinux/config에 다음과 같은 코드가 있다. SELINUX=enforcing 다음과 같이 바꾼다. SELINUX=disabled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적용된다. 방법 1과는 달리 재부팅해도 설정이 유지된다.

Ubuntu 16.04 / 메모

PHP intl 설치 apt install php-intl service apache2 reoad APCu 설치 apt install php-apcu service apache2 reload

리눅스 / 명령어 / cat / 파일 내용 출력하는 명령어

리눅스의 cat(concatenate의 약자) 명령어는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거나 파일을 결합하는 데 사용됩니다. cat 명령어는 주로 텍스트 파일을 다룰 때 유용하며, 여러 개의 파일을 한 번에 읽거나 결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두 개의 파일이 있다고 할 때 file1 1-1 1-2 1-3 file2 2-1 2-2 2-3 cat filename cat 뒤에 파일 이름을 넣으면 파일 안의 내용을 보여줍니다. # cat file1 1-1 1-2 1-3 파일 이름을 연달아 넣으면 ...

Ubuntu 20.04 / 글꼴 설치하는 방법

Ubuntu 20.04 / 글꼴 설치하는 방법

Ubuntu 20.04 Desktop 설치하려는 글꼴을 더블 클릭하거나, 글꼴 선택 후 엔터키를 누르거나, 마우스 우클릭 후 를 클릭합니다. 상단에 있는 를 클릭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으로 바뀝니다. 글꼴이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합니다.

Ubuntu 18.04 Server / 언어 변경하는 방법

현재 언어 확인하기 locale 명령어로 현재 언어가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locale LANG=en_US.UTF-8 LANGUAGE= LC_CTYPE="en_US.UTF-8" LC_NUMERIC="en_US.UTF-8" LC_TIME="en_US.UTF-8" LC_COLLATE="en_US.UTF-8" LC_MONETARY="en_US.UTF-8" LC_MESSAGES="en_US.UTF-8" LC_PAPER="en_US.UTF-8" LC_NAME="en_US.UTF-8" LC_ADDRESS="en_US.UTF-8" LC_TELEPHONE="en_US.UTF-8" LC_MEASUREMENT="en_US.UTF-8" LC_IDENTIFICATION="en_US.UTF-8" LC_ALL= 언어 변경하기 사용할 언어를 먼저 설치합니다. 한국어를 사용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합니다. # apt-get install language-pack-ko /etc/default/locale을 열고 다음과 같이 만듭니다. LANG=ko_KR.UTF-8 테스트하기 새로 로그인하거나 재부팅하면 변경한 언어가 적용됩니다. 의미 없는 문자열을 입력해보거나... # 123 123: 명령을 찾을 수 없습니다 locale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locale LANG=ko_KR.UTF-8 LANGUAGE= LC_CTYPE="ko_KR.UTF-8" LC_NUMERIC="ko_KR.UTF-8" LC_TIME="ko_KR.UTF-8" LC_COLLATE="ko_KR.UTF-8" LC_MONETARY="ko_KR.UTF-8" LC_MESSAGES="ko_KR.UTF-8" LC_PAPER="ko_KR.UTF-8" LC_NAME="ko_KR.UTF-8" LC_ADDRESS="ko_KR.UTF-8" LC_TELEPHONE="ko_KR.UTF-8" LC_MEASUREMENT="ko_KR.UTF-8" LC_IDENTIFICATION="ko_KR.UTF-8" LC_ALL=

Ubuntu 24.04 Server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네트워크 설정 파일은 /etc/netplan 디렉토리 안에 있는 yaml 파일이다. # ll /etc/netplan total 12 drwxr-xr-x 2 root root 4096 Apr 27 23:00 ./ drwxr-xr-x 108 root root 4096 Apr 27 23:06 ../ -rw------- 1 root root 389 Apr 27 23:00 50-cloud-init.yaml DHCP라면 설정 파일이 다음과 비슷하게 되어 있다. # This file i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