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배포판 / 수세 리눅스(SUSE Linux) - 역사, 특징, 장점

수세 리눅스의 역사

수세 리눅스(SUSE Linux)는 독일의 뉘른베르크에 본사를 두고 있는 SUSE 회사에 의해 개발된 리눅스 배포판입니다. SUSE는 "Software- und System-Entwicklung"의 약자로,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개발"을 의미합니다.

초기 역사

SUSE 리눅스는 1992년에 설립되어, 처음에는 Slackware를 기반으로 한 리눅스 배포판을 제공했습니다. SUSE는 독일어권 지역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었으며, 이후 독자적인 리눅스 배포판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노벨(Novell) 인수

2003년 11월, 노벨(Novell)사가 SUSE를 인수하면서 국제적으로 더 큰 인지도를 얻게 되었습니다. 이 인수는 SUSE가 엔터프라이즈 시장에서 더욱 확고한 입지를 다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Attachmate와 Micro Focus 인수

2010년, 노벨이 Attachmate에 인수되었고, 이후 2014년에는 Micro Focus에 인수되었습니다. 이러한 인수 과정을 거치면서도 SUSE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지속적인 발전을 이뤄냈습니다.

독립회사로 재출범

2018년, EQT 파트너스의 지원을 받아 SUSE는 다시 독립적인 회사로 재출범하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SUSE는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클라우드 및 컨테이너 기술 등 최신 IT 트렌드에 맞춘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수세 리눅스의 특징

엔터프라이즈 중심

SUSE 리눅스는 엔터프라이즈 환경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는 안정성, 보안성, 성능을 중요하게 여기는 기업들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YaST (Yet another Setup Tool)

YaST는 SUSE 리눅스의 핵심적인 설정 도구로, 시스템 설치, 네트워크 설정, 사용자 관리, 소프트웨어 관리 등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와 명령줄 인터페이스(CLI)로 쉽게 할 수 있게 합니다. 이는 시스템 관리의 편의성을 크게 높여줍니다.

Zypper 패키지 관리자

SUSE 리눅스는 Zypper라는 강력한 패키지 관리 도구를 사용합니다. Zypper는 RPM 패키지를 기반으로 하며, 소프트웨어의 설치, 업데이트, 제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Btrfs 파일 시스템

SUSE 리눅스는 Btrfs 파일 시스템을 기본 파일 시스템으로 사용합니다. Btrfs는 스냅샷, 자동 복구, 압축 등의 고급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의 무결성과 효율적인 관리를 지원합니다.

SLES (SUSE Linux Enterprise Server)

SLES는 서버 환경에 최적화된 SUSE 리눅스의 엔터프라이즈 버전으로, 안정성과 보안성을 중시하는 기업 환경에 적합합니다. SLES는 SAP 환경에서 특히 많이 사용되며, 주요 클라우드 제공업체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높은 성능을 발휘합니다.

오픈 소스 및 커뮤니티 중심

SUSE는 오픈 소스 커뮤니티와의 긴밀한 협력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오픈SUSE 프로젝트는 커뮤니티 주도형 배포판으로, 다양한 개발자와 사용자가 참여하여 SUSE 리눅스를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수세 리눅스의 장점

높은 안정성과 신뢰성

SUSE 리눅스는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의 높은 안정성과 신뢰성을 제공합니다. 이는 기업이 중요 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특히, SLES는 장기간의 지원(LTS)을 제공하여 시스템의 지속적인 운영을 보장합니다.

강력한 관리 도구

YaST와 Zypper는 시스템 관리와 패키지 관리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YaST는 GUI와 CLI를 모두 지원하여 다양한 관리 환경에 적합하며, Zypper는 강력한 패키지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고급 파일 시스템 지원

Btrfs 파일 시스템은 데이터의 무결성, 스냅샷 기능, 자동 복구, 압축 등 고급 기능을 제공하여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이는 대용량 데이터 처리와 복구가 중요한 환경에서 큰 장점이 됩니다.

강력한 보안 기능

SUSE 리눅스는 SELinux(Security-Enhanced Linux)와 AppArmor 등의 보안 기능을 제공하여 시스템을 보호합니다. 정기적인 보안 업데이트와 패치를 통해 최신 보안 위협에도 대응할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및 컨테이너 지원

SUSE는 주요 클라우드 제공업체들과의 협력을 통해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높은 성능을 발휘합니다. 또한, Kubernetes와 같은 컨테이너 기술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현대적인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배포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광범위한 하드웨어 지원

SUSE 리눅스는 다양한 하드웨어 플랫폼을 지원하여, 서버, 데스크탑, 메인프레임, IoT 장치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이 다양한 IT 인프라를 통합하여 운영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오픈 소스 커뮤니티와의 협력

SUSE는 오픈SUSE 프로젝트를 통해 오픈 소스 커뮤니티와의 협력을 중요시합니다. 이는 사용자와 개발자가 자유롭게 참여하여 SUSE 리눅스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게 합니다.

비용 효율성

SUSE 리눅스는 상용 소프트웨어에 비해 비용 효율성이 뛰어납니다. 이는 특히 중소기업이나 예산이 제한된 기관에서 IT 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 파일 또는 디렉토리 이름 바꾸는 방법

파일 이름 바꾸기 mv는 파일을 이동시키는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를 이용해서 파일 이름을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은 abc.txt를 xyz.txt로 바꾼다. # mv abc.txt xyz.txt 디렉토리 이름 바꾸기 디렉토리 이름을 바꾸는 것도 파일 이름 변경과 같다. 다음은 abc 디렉토리의 이름을 xyz로 바꾼다. # mv abc xyz

Ubuntu Server 22.04 / vsftpd로 FTP 서버 구축하기

vsftpd vsftpd(Very Secure FTP Daemon)는 유닉스와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벼운 FTP 서버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Virtual IP configurations Virtual users Standalone or inetd operation Powerful per-user configurability Bandwidth throttling Per-source-IP configurability Per-source-IP limits IPv6 Encryption support through SSL integration 설치 vsftpd는 우분투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 apt install vsftpd 방화벽을 사용 중이라면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포트를 ...

Ubuntu 14.04 / LESS 설치하는 방법

우분투 14.04에 LESS를 설치하는 방법을 메모합니다. Node.js 설치 apt-get install nodejs NPM 설치 apt-get install npm LESS 설치 npm install -g less less-plugin-clean-css /usr/local/bin/lessc 파일 첫 줄에 다음과 같은 코드가 있습니다. #!/usr/bin/env node 다음처럼 바꿉니다. #!/usr/bin/env nodejs

리눅스 / 스왑 메모리(Swap Memory) 만드는 방법

리눅스 시스템이 메모리를 다 사용하면 프로그램이 멈추는 등 문제가 발생한다. 이때 스왑 메모리(Swap Memory) 늘려서 메모리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스왑 파일 만들기 적당한 디렉토리에 적당한 이름의 파일을 적당한 크기로 만든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면, 루트 디렉토리에 jb-swap이라는 파일을 2G의 크기로 만든다. # fallocate -l 2G /jb-swap root만 읽고 쓸 수 있게 권한 ...

CentOS 7 / rsyslog / 로그 서버 구축하는 방법

CentOS 7 / rsyslog / 로그 서버 구축하는 방법

CentOS을 설치하면 로그 기록을 위한 rsyslog 패키지가 설치되고 실행됩니다. 로그는 로컬 컴퓨터에 저장되는데, 관리하는 컴퓨터가 여러 대인 경우 각각의 로그를 따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불편할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 하나의 컴퓨터를 로그를 수집하는 서버로 만들어서 그 서버에 로그가 쌓이게 하면, 좀 더 수월하게 로그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rsyslog는 간단한 설정 변경으로 로그 ...

리눅스 - 오픈 소스의 선두 주자

리눅스 개요 리눅스(Linux)는 유닉스(Unix) 운영체제의 계열에 속하는 자유롭고 오픈 소스인 운영체제입니다. 리눅스 커널은 1991년 핀란드의 대학생이었던 리누스 토르발스(Linus Torvalds)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으며, GNU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된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결합되어 완전한 운영체제를 구성합니다. 오늘날 리눅스는 서버, 데스크탑, 모바일 장치, 임베디드 시스템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리눅스의 역사 리눅스의 역사는 1991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

CentOS 7 / 설치하기

CentOS 7 / 설치하기

CentOS ISO 다운로드 CentOS ISO 파일은 DVD ISO, Everything ISO, Minimal ISO, NetInstall ISO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파일 크기가 작은 NetInstall ISO 파일로 설치하겠습니다. NetInstall ISO는 설치에 필요한 최소한의 파일만 포함하고 있고, 추가 소프트웨어는 다운로드 받아 설치합니다. CentOS 7의 NetInstall ISO 파일은 다음 링크에서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습니다. http://mirror.navercorp.com/centos/7/isos/x86_64/ 파일 이름은 CentOS-7-x86_64-NetInstall-xxxx.iso입니다. CD로 부팅 ISO 파일을 CD에 ...

Ubuntu 16.04 Server / logrotate 설치하고 설정하기

우분투(Ubuntu)는 여러 작업의 내용을 로그(Log) 파일로 남깁니다. 예를 들어 웹서버 운영과 관련된 로그는 /var/log/apache2에 있습니다. 로그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파일에 계속 추가하는 것이어서, 시간이 지날수록 파일의 크기가 커집니다. 로그 파일의 크기가 너무 커지면, 시스템이 느려지거나 다운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주는 패키지가 logrotate입니다. 로그 파일이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기존 로그 파일을 다른 이름으로 변경하여 저장하고 ...

다른 서버나 컴퓨터의 포트가 열렸는지 확인하는 방법

다른 서버의 특정 포트가 열려 있는지 알아야 할 때가 있습니다. 윈도우와 리눅스에서 확인하는 방법을 정리합니다. 윈도우 telnet 명령어 이용하는 방법 텔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추가합니다. 명령 프롬프트(CMD) 또는 PowerShell에서 다음과 같이 명령합니다. google.com의 443 포트가 열렸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C:\Users\JB>telnet google.com 443 포트가 열려 있다면 아무 내용 없는 창이 나옵니다. 만약 닫혀 있다면 아래와 같이 연결하지 못한다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C:\Users\JB>telnet ...

리눅스 / 사용자 / 사용자 조회, 사용자 추가, 사용자 삭제, 사용자 수정

사용자 조회 모든 사용자를 출력합니다. # cat /etc/passwd root:x:0:0:root:/root:/bin/bash bin:x:1:1:bin:/bin:/sbin/nologin daemon:x:2:2:daemon:/sbin:/sbin/nologin adm:x:3:4:adm:/var/adm:/sbin/nologin lp:x:4:7:lp:/var/spool/lpd:/sbin/nologin sync:x:5:0:sync:/sbin:/bin/sync shutdown:x:6:0:shutdown:/sbin:/sbin/shutdown halt:x:7:0:halt:/sbin:/sbin/halt mail:x:8:12:mail:/var/spool/mail:/sbin/nologin operator:x:11:0:operator:/root:/sbin/nologin games:x:12:100:games:/usr/games:/sbin/nologin ftp:x:14:50:FTP User:/var/ftp:/sbin/nologin ... root과 useradd 또는 adduser를 통해 생성한 사용자 계정을 출력합니다. # grep /bin/bash /etc/passwd root:x:0:0:root:/root:/bin/bash jb:x:1000:1000:JB:/home/jb:/bin/bash 사용자 추가 useradd jb 사용자를 만듭니다. useradd jb 사용자 홈 디렉토리도 같이 만들고 싶다면 -d 옵션을 사용합니다. useradd jb -d /home/jbdir jb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만듭니다. passwd jb adduser adduser 명령어로 사용자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useradd와는 달리 사용자 홈 디렉토리를 자동으로 만들고,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