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배포판 / 록키 리눅스(Rocky Linux) - 역사, 특징, 장점

록키 리눅스의 역사

록키 리눅스(Rocky Linux)는 2020년 12월에 발표된 오픈 소스 리눅스 배포판으로, CentOS 프로젝트의 공동 창립자인 그레고리 커츠너(Gregory Kurtzer)가 주도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록키 리눅스는 CentOS 8의 종료 발표 이후, 기존의 CentOS 사용자들에게 안정적인 대안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록키 리눅스는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HEL)와의 완전한 호환성을 목표로 하며, 커뮤니티 주도 프로젝트로 운영됩니다.

CentOS와의 관계

CentOS는 RHEL의 재구성된 버전으로, 오랫동안 많은 기업과 개발자들에게 사랑받아 왔습니다. 그러나 2020년 12월, 레드햇은 CentOS 8의 지원을 2021년 말로 종료하고, CentOS Stream으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CentOS Stream은 RHEL의 다음 버전을 위한 롤링 릴리즈 모델로, 기존의 안정적인 CentOS와는 성격이 다릅니다. 이에 따라 CentOS 사용자들은 새로운 안정적인 대안을 찾게 되었고, 그 결과 록키 리눅스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프로젝트 시작과 첫 릴리즈

그레고리 커츠너는 CentOS 8의 종료 발표 직후 록키 리눅스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그는 록키 리눅스를 커뮤니티 중심의 RHEL 호환 배포판으로 만들기 위해 다양한 개발자와 기여자들을 모았습니다. 2021년 6월 21일, 록키 리눅스 8.4가 첫 공식 릴리즈로 발표되었습니다.

록키 리눅스의 특징

RHEL과의 호환성

록키 리눅스는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HEL)와 완전히 호환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RHEL에서 제공하는 모든 기능과 소프트웨어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기존의 CentOS 사용자들이 록키 리눅스로 쉽게 전환할 수 있게 합니다.

커뮤니티 중심 개발

록키 리눅스는 커뮤니티 주도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는 전 세계의 개발자와 기여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록키 리눅스를 발전시키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커뮤니티 중심의 개발은 사용자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더 나은 배포판을 만드는 데 기여합니다.

안정성

록키 리눅스는 RHEL의 안정성을 계승하여,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운영체제를 제공합니다. 이는 서버 환경이나 중요한 업무를 처리하는 데 매우 적합합니다.

오픈 소스 철학

록키 리눅스는 완전한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모든 소스 코드를 공개하고 누구나 수정하고 배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자유 소프트웨어의 철학을 따르며, 투명성과 커스터마이즈 가능성을 높입니다.

정기적인 보안 업데이트

록키 리눅스는 정기적인 보안 업데이트와 패치를 제공하여 시스템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 환경에서 중요한 보안성을 보장합니다.

록키 리눅스의 장점

RHEL과의 완전한 호환성

록키 리눅스는 RHEL과 완전히 호환되므로, RHEL용으로 개발된 모든 소프트웨어와 도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존의 CentOS 사용자들이 큰 어려움 없이 록키 리눅스로 전환할 수 있게 합니다.

안정성

록키 리눅스는 RHEL의 안정성을 계승하여,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신뢰성 있는 운영체제를 제공합니다. 이는 서버 운영, 중요한 업무 처리 등에서 높은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커뮤니티 지원

록키 리눅스는 커뮤니티 주도로 개발되며, 전 세계의 사용자와 개발자들이 활발히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 지원과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되며, 다양한 정보와 리소스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오픈 소스와 투명성

록키 리눅스는 완전한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모든 소스 코드를 공개하고 누구나 수정하고 배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시스템을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게 하며, 높은 투명성을 제공합니다.

비용 효율성

록키 리눅스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어, IT 예산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중소기업이나 예산이 제한된 기관에서 큰 장점으로 작용합니다.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 오픈 소스의 선두 주자

리눅스 개요 리눅스(Linux)는 유닉스(Unix) 운영체제의 계열에 속하는 자유롭고 오픈 소스인 운영체제입니다. 리눅스 커널은 1991년 핀란드의 대학생이었던 리누스 토르발스(Linus Torvalds)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으며, GNU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된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결합되어 완전한 운영체제를 구성합니다. 오늘날 리눅스는 서버, 데스크탑, 모바일 장치, 임베디드 시스템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리눅스의 역사 리눅스의 역사는 1991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

Rocky Linux 8 / 원격 데스크톱으로 연결하는 방법

Rocky Linux 8 / 원격 데스크톱으로 연결하는 방법

패키지 설치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EPEL(Extra Packages of Enterprise Linux) 저장소를 추가한다. dnf install epel-release xrdp 패키지를 설치한다. dnf install xrdp 방화벽 설정 원격 데스크톱이 사용하는 포트는 3389이다. firewall-cmd로 3389 포트를 열어준다.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3389/tcp 방화벽을 다시 로드한다. firewall-cmd --reload 서비스 설정 systemctl 명령어로 xrdp 서비스를 시작한다. systemctl start xrdp 시스템 재부팅 후에도 자동으로 실행되게 하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systemctl enable xrdp 재부팅 위와 같이 했을 때 원격 ...

Ubuntu 20.04 Server / hostname 확인하는 방법, 변경하는 방법

Ubuntu 20.04 Server / hostname 확인하는 방법, 변경하는 방법

hostname 확인하는 방법 방법 1 - 명령어로 확인하기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hostname을 출력한다. hostname 방법 2 - 설정 파일 열어서 확인하기 /etc/hostname 파일에 hostname이 있다. cat /etc/hostname hostname 변경하는 방법 방법 1 - 명령어로 변경하기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hostname이 abc로 바뀐다. hostnamectl set-hostname abc 방법 2 - 설정 파일 열어서 변경하기 텍스트 에디터로 /etc/hostname 파일을 열어서 내용을 abc로 바꾸면 hostname이 abc로 바뀐다. 재부팅 재부팅을 하면 변경사항이 ...

리눅스 / 하드디스크 파디션 만들기, 포맷하기, 마운트하기

리눅스에서 하드디스크 파티션 만들고, 포맷 하고, 마운트 하는 방법을 요약한다. 장착된 하드디스크 확인하기 ls 명령어로 컴퓨터에 장착된 하드디스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dev/sda, /dev/sdb 등이 하드디스크, /dev/sda1 등이 파티션이다. # ls -l /dev/sd* brw-rw----. 1 root disk 8, 0 Oct 16 13:12 /dev/sda brw-rw----. 1 root disk 8, 1 Oct 16 13:12 /dev/sda1 brw-rw----. 1 ...

Ubuntu 22.04 Server / Apache, PHP, MariaDB 설치하는 방법

Ubuntu 22.04 Server / Apache, PHP, MariaDB 설치하는 방법

Ubuntu Server에 웹서버 Apache, 웹프로그래밍 언어 PHP, 데이터베이스 MariaDB를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웹서버 운영을 위한 최소한의 설치로, 실제로 서비스할 때는 더 많은 패키지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설치 Apache, PHP, MariaDB를 설치합니다. php-mysql은 PHP와 MariaDB 연동을 위한 패키지입니다. # apt install apache2 mariadb-server php php-mysql MariaDB 설정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몇 가지 설정을 합니다. # mysql_secure_installation MariaDB의 root 계정 ...

Ubuntu Server / Let’s Encrypt 무료 SSL 인증서 발급 받기

Ubuntu Server에서 Apache Web Server를 사용하는 경우 Let’s Encrypt 인증서 발급 받는 방법입니다. Apache용 Certbot 설치 Ubuntu Server 20.04, Ubuntu Server 22.04 # snap install core # snap refresh core # snap install --classic certbot # ln -s /snap/bin/certbot /usr/bin/certbot Ubuntu Server 18.04 # apt install software-properties-common # add-apt-repository universe # add-apt-repository ppa:certbot/certbot # apt update # apt upgrade # apt install certbot ...

Rocky Linux 9 / SSH / 포트 변경하는 방법

Rocky Linux 9 / SSH / 포트 변경하는 방법

SSH는 22 포트를 사용한다. 알려진 포트이므로 다른 포트로 변경하는 것이 보안상 좋다. Rocky Linux 9에서 SSH 포트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포트를 1980으로 바꾼다고 가정한다. /etc/ssh/sshd_config에서 다음의 코드를... #Port 22 다음으로 변경한다. Port 1980 SELINUX가 활성화되어 있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1980 포트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든다. semanage port -a -t ssh_port_t -p tcp 1980 만약 다음과 같은 ...

리눅스 / chown, chmod / 파일 또는 디렉토리 소유자, 소유그룹, 권한 설정

chown과 chmod는 파일 및 디렉토리의 권한과 소유자를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Linux 명령어입니다. 정보 확인 ls 명령어에 -l 옵션을 붙여서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권한과 소유자(그룹)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일 앞에 있는 문자는 디렉토리인지 파일인지는 나타냅니다. d는 디렉토리라는 뜻이고, -는 파일이라는 뜻입니다. 그 다음 3개의 문자열은 소유자의 권한을, 그 다음 3개의 문자열은 소유그룹의 권한을, 그 다음 ...

리눅스 / 명령어 / man / 명령어의 설명서 출력하는 명령어

man은 manual의 약어로, 명령어의 설명서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man 뒤에 명령어 이름을 넣고 엔터를 누릅니다. 예를 들어 # man rm 은 rm 명령어의 설명서를 출력한다. ↑ 키를 누르면 한 줄 위로 올라가고, ↓ 키를 누르면 한 줄 아래로 내려간다. Page Up 키를 누르면 한 페이지 위로 올라가고, Page Down 키를 누르면 한 페이지 아래로 내려간다. /를 ...

리눅스 / 명령어 / cat / 파일 내용 출력하는 명령어

리눅스의 cat(concatenate의 약자) 명령어는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거나 파일을 결합하는 데 사용됩니다. cat 명령어는 주로 텍스트 파일을 다룰 때 유용하며, 여러 개의 파일을 한 번에 읽거나 결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두 개의 파일이 있다고 할 때 file1 1-1 1-2 1-3 file2 2-1 2-2 2-3 cat filename cat 뒤에 파일 이름을 넣으면 파일 안의 내용을 보여줍니다. # cat file1 1-1 1-2 1-3 파일 이름을 연달아 넣으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