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배포판 / 페도라(Fedora) - 역사, 특징, 장점

페도라의 역사

페도라(Fedora)는 2003년 11월 6일에 첫 번째 버전이 출시되었습니다. 페도라는 레드햇(Red Hat)의 커뮤니티 주도 프로젝트로 시작되었으며,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HEL)의 기반이 됩니다. 페도라는 최신 기술과 소프트웨어를 빠르게 채택하고 배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개발자와 파워 유저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레드햇과의 관계

페도라는 레드햇의 후원을 받으며, 페도라 프로젝트는 레드햇이 주도하지만, 커뮤니티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레드햇은 페도라에서 안정화된 기능과 소프트웨어를 RHEL로 가져와 상업적으로 지원되는 안정적인 배포판을 제공합니다. 페도라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신 기술을 시험하고 검증하는 역할을 합니다.

정기적인 릴리즈

페도라는 매년 두 번의 정기적인 릴리즈 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들이 최신 소프트웨어와 기능을 빠르게 사용할 수 있게 하며,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시스템을 최신 상태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페도라의 특징

최신 기술 도입

페도라는 최신 기술과 소프트웨어를 빠르게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사용자들이 최신 기능을 빠르게 경험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하며, 개발자들에게 최신 개발 도구와 환경을 제공합니다.

RPM 패키지 관리 시스템

페도라는 RPM 패키지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를 관리합니다. 이는 소프트웨어의 설치, 업데이트, 제거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또한, DNF(Dandified Yum)를 통해 보다 향상된 패키지 관리 기능을 제공합니다.

커뮤니티 중심

페도라는 커뮤니티 주도 프로젝트로, 전 세계의 다양한 사람들이 참여하여 발전시켜 나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커뮤니티는 사용자들이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모듈형 디자인

페도라는 모듈형 디자인을 채택하여 다양한 용도에 맞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특정 기능이나 소프트웨어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게 하며, 시스템을 보다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다양한 에디션

페도라는 데스크탑, 서버, IoT 등 다양한 용도에 맞게 다양한 에디션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페도라 워크스테이션(Fedora Workstation)은 데스크탑 사용자와 개발자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페도라 서버(Fedora Server)는 서버 운영에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합니다.

페도라의 장점

최신 소프트웨어 사용

페도라는 최신 소프트웨어와 기술을 빠르게 채택하므로, 사용자들은 항상 최신 기능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개발자들에게 특히 유용하며, 최신 개발 도구와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강력한 커뮤니티 지원

페도라는 전 세계적으로 활발한 커뮤니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커뮤니티는 사용자들이 문제를 해결하고, 정보를 공유하며, 페도라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게 합니다. 다양한 포럼과 블로그, 문서 등이 있어 사용자들이 쉽게 정보를 찾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높은 보안성

페도라는 보안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정기적인 보안 업데이트와 패치를 제공하여 시스템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SELinux(Security-Enhanced Linux)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강화된 보안 기능을 제공합니다.

무료 사용

페도라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무료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는 개인 사용자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페도라는 소스 코드를 공개하여 누구나 수정하고 배포할 수 있어, 다양한 요구에 맞게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습니다.

유연한 설치 옵션

페도라는 다양한 설치 옵션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게 합니다. 예를 들어, 최소 설치 옵션을 선택하여 필요한 소프트웨어만 설치할 수 있으며, 특정 용도에 맞게 시스템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7 / Apache, PHP, MariaDB 설치하는 방법

CentOS 7 / Apache, PHP, MariaDB 설치하는 방법

CentOS에 Apache, PHP, MariaDB를 설치하는 방법을 간략히 정리합니다. APM 설치 Apache, PHP, MariaDB을 설치합니다. yum install httpd php mariadb-server php-mysql 서비스 설정 Apache가 부팅 시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합니다. systemctl enable httpd.service MariaDB가 부팅 시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합니다. systemctl enable mariadb.service Apache를 시작합니다. systemctl start httpd.service MariaDB를 시작합니다. systemctl start mariadb.service 방화벽 설정 http로 접속할 수 있도록 포트를 열어줍니다.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http https로 접속할 수 있도록 포트를 ...

Ubuntu 20.04 Server / 설치하기

Ubuntu 20.04 Server / 설치하기

다운로드 Ubuntu Server 다운로드 페이지는 다음과 같다. https://ubuntu.com/download/server 최신 버전에 대한 안내가 주로 있으므로, 구버전을 다운로드하고 싶다면 아래 링크가 편하다. https://mirror.kakao.com/ubuntu-releases/ 가상 머신에 설치한다면 다운로드한 ISO 파일을 그대로 사용하면 되고, 물리 서버에 설치한다면 Rufus 같은 툴을 이용하여 부팅 USB를 만든다. 설치 설치 미디어로 부탕하고 잠시 기다리면 언어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온다.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고 엔터키를 누른다. 키보드 레이아웃을 선택한다. 네트워크 ...

리눅스 / 캐시 메모리 삭제하는 방법

free 명령어로 메모리 사용 현황을 볼 수 있다. 아래의 경우 free에 여유가 있는데, 만약 buff/cache 사용량이 많아 free에 공간이 없다면 시스템이 느려진다. 그런 경우 메모리 캐시를 삭제하여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 free total ...

리눅스 / CPU 이름, 코어 수, 스레드 수 확인하는 방법

리눅스에서 lscpu 명령으로 CPU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력하는 내용 중에 CPU 이름, 코어 수, 스레드 수가 있습니다. 아래는 lscpu 명령을 내린 결과 예시입니다. # lscpu Architecture: x86_64 CPU op-mode(s): 32-bit, 64-bit Byte Order: ...

리눅스 / 배포판 / 페도라(Fedora) - 역사, 특징, 장점

페도라의 역사 페도라(Fedora)는 2003년 11월 6일에 첫 번째 버전이 출시되었습니다. 페도라는 레드햇(Red Hat)의 커뮤니티 주도 프로젝트로 시작되었으며,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HEL)의 기반이 됩니다. 페도라는 최신 기술과 소프트웨어를 빠르게 채택하고 배포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개발자와 파워 유저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레드햇과의 관계 페도라는 레드햇의 후원을 받으며, 페도라 프로젝트는 레드햇이 주도하지만, 커뮤니티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레드햇은 페도라에서 ...

리눅스 / RAID / Linear RAID, RAID0, RAID1, RAID5, RAID6

RAID 뜻과 종류 RAID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 or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처럼 사용하게 하는 기술. 예를 들어 1TB 하드디스크 두 개를 묶어서 2TB 하드디스크처럼 사용할 수 있다. 크게 하드웨어 RAID와 소프트웨어 RAID로 구분할 수 있다. 하드웨어 RAID는 성능이 좋으나 비싸다. 소프트웨어 RAID는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것으로 OS RAID라고도 한다. Linear RAID 두 ...

CentOS 7 / Webmin / 설치하는 방법

CentOS 7 / Webmin / 설치하는 방법

Webmin은 웹브라우저를 통해 시스템 관리를 하는 툴이다. CentOS라면 아래의 순서로 설치할 수 있다. 저장소 추가 webmin 저장소를 추가한다. vi 등 텍스트 에디터로 저장소 파일을 만들고... # vi /etc/yum.repos.d/webmin.repo 아래의 내용을 추가하고 저장한다. name=Webmin Distribution Neutral #baseurl=http://download.webmin.com/download/yum mirrorlist=http://download.webmin.com/download/yum/mirrorlist enabled=1 키 추가 PGP key를 다운로드하고... # wget http://www.webmin.com/jcameron-key.asc 설치한다. # rpm --import jcameron-key.asc 설치와 설정 webmin을 설치한다. # yum install webmin 10000 포트를 열어준다. # firewall-cmd --add-port=10000/tcp 접속 https://<server-ip>:10000으로 접속한다. 공인 인증서가 없으므로, 웹브라우저에 ...

CentOS 7 / hostname 확인하고 변경하는 방법

CentOS 7 / hostname 확인하고 변경하는 방법

명령어 이용하기 hostname 확인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hostname을 출력한다. hostname hostname 변경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hostname을 abc로 변경한다. hostnamectl set-hostname abc 설정 파일 이용하기 hostname 확인 hostname 설정 파일은 /etc/hostname이다. 그 파일을 열거나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설정 파일의 내용을 볼 수 있다. cat /etc/hostname hostname 변경 텍스트 편집기로 열면 한 줄의 코드가 있는데, 그것이 hostname이다. 그 코드를 바꾸고 저장하면 hostname이 변경된다. 변경 사항 ...

Rocky Linux 8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Rocky Linux 8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보통 Rocky Linux를 설치할 때 IP를 설정하나, 여러 가지 이유로 IP 설정을 다시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IP를 설정하는 두 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TUI 네트워크 설정 파일을 수정하는 것보다는 NetworkManager Text User Interface(nmtui)를 이용하는 게 편하다. nmtui를 실행한다. Edit a connection을 선택한다. 설정하려는 네트워크 카드를 선택한다. 현재 설정이 나오는데... 적절히 설정한다.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반영한다.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 GUI Settings를 연다. Network에서 ...

Rocky Linux 9 / SSH / 포트 변경하는 방법

Rocky Linux 9 / SSH / 포트 변경하는 방법

SSH는 22 포트를 사용한다. 알려진 포트이므로 다른 포트로 변경하는 것이 보안상 좋다. Rocky Linux 9에서 SSH 포트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포트를 1980으로 바꾼다고 가정한다. /etc/ssh/sshd_config에서 다음의 코드를... #Port 22 다음으로 변경한다. Port 1980 SELINUX가 활성화되어 있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1980 포트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든다. semanage port -a -t ssh_port_t -p tcp 1980 만약 다음과 같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