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그룹 / 그룹 조회, 그룹 추가, 그룹 삭제, 그룹 수정

그룹 조회

  • 그룹 목록은 /et/group 파일에 있습니다. cat 명령어로 전체를 조회하거나...
cat /etc/group
  • tail 명령어로 마지막 부분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root@localhost ~]# tail -n 5 /etc/group
avahi:x:70:
slocate:x:21:
rngd:x:974:
tcpdump:x:72:
vboxsf:x:973:
  • X:Y:Z 형식으로 나오는데, X는 그룹 이름, Y는 그룹 비밀번호, Z는 그룹 ID입니다.

그룹 추가

  • groupadd 명령으로 그룹을 추가합니다.
[root@localhost ~]# groupadd group-1
[root@localhost ~]# tail -n 5 /etc/group
slocate:x:21:
rngd:x:974:
tcpdump:x:72:
vboxsf:x:973:
group-1:x:1000:

그룹 삭제

  • groupdel 명령으로 그룹을 삭제합니다.
[root@localhost ~]# groupdel group-1
[root@localhost ~]# tail -n 5 /etc/group
avahi:x:70:
slocate:x:21:
rngd:x:974:
tcpdump:x:72:
vboxsf:x:973:

그룹 수정

그룹에 사용자 추가

  • user-1을 group-1에 추가합니다.
[root@localhost ~]# gpasswd -a user-1 group-1
Adding user user-1 to group group-1
  • user-1이 속한 그룹은 groups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root@localhost ~]# groups user-1
user-1 : user-1 group-1

그룹에서 사용자 제거

  • user-1을 group-1에서 제거합니다.
[root@localhost ~]# gpasswd -d user-1 group-1
Removing user user-1 from group group-1
[root@localhost ~]# groups user-1
user-1 : user-1

그룹 이름 변경

  • group-1을 group-2로 변경합니다.
groupmod -n group-2 group-1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 스왑 메모리(Swap Memory) 만드는 방법

리눅스 / 스왑 메모리(Swap Memory) 만드는 방법

리눅스 시스템이 메모리를 다 사용하면 프로그램이 멈추는 등 문제가 발생한다. 이때 스왑 메모리(Swap Memory) 늘려서 메모리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스왑 파일 만들기 적당한 디렉토리에 적당한 이름의 파일을 적당한 크기로 만든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면, 루트 디렉토리에 jb-swap이라는 파일을 2G의 크기로 만든다. fallocate -l 2G /jb-swap root만 읽고 쓸 수 있게 권한 설정을 ...

리눅스 / 로그아웃 명령어, 재부팅 명령어, 종료 명령어

리눅스 / 로그아웃 명령어, 재부팅 명령어, 종료 명령어

로그아웃 명령어 logout exit 재부팅 명령어 즉시 재부팅 reboot shutdown -r now init 6 일정 시간 또는 일정 시간 후 재부팅 10분 후 재부팅 shutdown -r 10 12시에 재부팅 shutdown -r 12:00 취소 shutdown -c 종료 명령어 즉시 종료 poweroff shutdown -h now shutdown -P now halt -p init 0 일정 시간 또는 일정 시간 후에 종료 10분 후에 종료 shutdown -P 10 13시에 종료 shutdown -P 13:00 취소 shutdown -c 기타 10분 후에 종료할 거라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보내지만, 종료하지는 ...

리눅스 / 명령어 / mkdir / 디렉토리 만드는 명령어

리눅스 / 명령어 / mkdir / 디렉토리 만드는 명령어

mkdir은 make directory의 약자로, 디렉토리를 만드는 명령어입니다. abc 디렉토리를 만듭니다. mkdir abc abc 디렉토리 아래에 def 디렉토리를 만듭니다. 만약 abc 디렉토리가 없다면 def 디렉토리를 만들 수 없다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mkdir abc/def p 옵션을 붙이면 abc 디렉토리가 없어도 abc 디렉토리를 만든 후에 def 디렉토리를 만듭니다. mkdir -p abc/def 리눅스 / 명령어 / rm / 파일 또는 디렉토리 삭제하는 ...

리눅스 / 명령어 / touch / 빈 파일 만들기, 최종 수정 시간 변경하기

리눅스 / 명령어 / touch / 빈 파일 만들기, 최종 수정 시간 변경하기

touch는 빈 파일 만들거나 파일의 최종 수정 시간을 현재 시간으로 바꾸는 명령어입니다. touch abc.txt abc.txt 파일이 없다면, 내용이 없는 abc.txt 파일을 만듭니다. abc.txt 파일이 있다면, 파일의 최종 수정 시간을 현재로 변경합니다.

리눅스 / 명령어 / rmdir / 빈 디렉토리 삭제하는 명령어

리눅스 / 명령어 / rmdir / 빈 디렉토리 삭제하는 명령어

rmdir rmdir은 빈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Remove the DIRECTORY(ies), if they are empty. 사용법 rmdir directory a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 rmdir a  비어있다면 삭제를 하고, 그렇지 않다면 다음을 출력합니다. rmdir: failed to remove ‘a’: Directory not empty rmdir --ignore-fail-on-non-empty directory 디렉토리가 비어있지 않아도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습니다. rmdir -v directory 현재 디렉토리 안에 있는 모든 비어있는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 v 옵션을 넣으면 작업 결과를 출력합니다. rmdir -v ...

리눅스 / 명령어 / passwd / 사용자 암호 설정 명령어

리눅스 / 명령어 / passwd / 사용자 암호 설정 명령어

사용자의 비밀번호 설정은 passwd 명령어로 한다. 비밀번호 만들기, 변경하기 사용자 jb의 비밀번호를 만들거나 변경한다. passwd jb 사용자을 적지 않으면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만들거나 변경한다. 비밀번호 삭제하기 사용자 jb의 비밀번호를 삭제한다. 사용자는 비밀번호 입력 없이 로그인 가능하다. passwd -d jb 비밀번호 잠그기, 잠금 풀기 사용자 jb를 잠근다. 즉, 사용자는 로그인하지 못한다. passwd -l jb 사용자 jb의 잠금을 푼다. passwd -u jb 비밀번호 만료시키기 사용자 ...

리눅스 / 명령어 / ls /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 출력하는 명령어

리눅스 / 명령어 / ls /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 출력하는 명령어

ls는 list의 약어로,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ls 디렉토리명 디렉토리에 속한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을 출력한다. 숨김 파일은 나오지 않는다. 디렉토리명을 생략하면 현재 디렉토리에 속한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var 디렉토리에 속한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을 출력한다. ls /var ls -a, ls -l -a 옵션을 붙이면 숨김 파일도 출력한다. -l 옵션을 붙이면 소유자, 파일 크기 ...

리눅스 / 명령어 / find /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찾는 명령어

리눅스 / 명령어 / find /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찾는 명령어

find는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찾는 명령어입니다. 자주 사용하는 옵션 등을 정리해봅니다. find 현재 디렉토리 안에 있는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를 출력합니다. 숨긴 파일 또는 숨긴 디렉토리도 출력합니다. find /etc /etc 디렉토리 안에 있는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를 출력합니다. 숨긴 파일 또는 숨긴 디렉토리도 출력합니다. find -name abc 현재 디렉토리 안에서 이름이 abc인 파일 또는 abc인 디렉토리를 검색합니다. find -name ...

리눅스 / 게이트웨이(gateway) 확인하는 방법

리눅스 / 게이트웨이(gateway) 확인하는 방법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정보는 주로 ifconfig, ip addr 명령어로 확인합니다. 그런데, gateway 정보는 나오지 않습니다. 만약 gateway 정보가 필요하다면 route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리눅스 / 명령어 / du / 디렉토리와 파일 용량 확인하는 명령어

리눅스 / 명령어 / du / 디렉토리와 파일 용량 확인하는 명령어

du는 disk usage의 약자로 디렉토리(폴더)와 파일의 용량을 출력해주는 명령어입니다. du 디렉토리명 디렉토리와 모든 하위 디렉토리의 용량을 표시해줍니다.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etc 디렉토리와 그 하위 디렉토리의 사용량이 출력됩니다. 단위는 kbyte입니다. du /etc du -s 디렉토리명, du -sh 디렉토리명 선택한 디렉토리만의 용량을 알고 싶으면 s 옵션을 붙입니다. du -s /etc 용량이 읽기 편한 단위로 나오게 하려면 h 옵션을 붙입니다. du -sh /etc du -s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