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캐시 메모리 삭제하는 방법

free 명령어로 메모리 사용 현황을 볼 수 있다. 아래의 경우 free에 여유가 있는데, 만약 buff/cache 사용량이 많아 free에 공간이 없다면 시스템이 느려진다. 그런 경우 메모리 캐시를 삭제하여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 free
               total        used        free      shared  buff/cache   available
Mem:         3734312      928012     2766924       21448      277512     2806300
Swap:        4145148           0     4145148

pagecache 비우기

echo 1 > /proc/sys/vm/drop_caches

dentries, inodes 비우기

echo 2 > /proc/sys/vm/drop_caches

pagecache, dentries, inodes 모두 비우기

echo 3 > /proc/sys/vm/drop_caches

메모리를 비우기 전에 sync 명령으로 저장되지 않은 메모리의 데이터를 디스크로 저장하는게 좋다고 한다.

sync

주기적으로 캐시 삭제를 하고 싶다면 crontab을 이용한다. 아래와 같이 하면 매 시간마다 pagecache, dentries, inodes 모두를 삭제한다.

0 * * * * sync && echo 3 > /proc/sys/vm/drop_caches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18.04 Server / Nginx, PHP, MariaDB 설치하고 설정하기

Ubuntu 18.04 Server / Nginx, PHP, MariaDB 설치하고 설정하기

Nginx 설치 Nginx를 설치합니다. # apt install nginx 만약 방화벽을 사용하고 있다면 포트를 열어줍니다. # ufw allow 'Nginx Full' 서버 주소로 접속했을 때 다음과 같이 나오면 제대로 된 것입니다. 시작, 정지 등 Nginx를 시작합니다. # systemctl start nginx Nginx를 멈춥니다. # systemctl stop nginx Nginx를 재시작합니다. # systemctl restart nginx Nginx를 다시 로드합니다. # systemctl reload nginx Nginx를 설치하면 부팅 시 자동으로 시작하게 설정됩니다. 만약 자동 ...

리눅스 / crontab 사용법

cron & crontab cron은 특정 시간에 특정 작업을 수행하게 하는 시스템 대몬이다. 백업, 캐시 메모리 비우기 등 주기적으로 어떤 작업을 해야할 때 유용하다. crontab은 시간과 작업을 적은 텍스트 파일이다. 사용자별로 파일이 존재한다. cron은 모든 사용자의 crontab 파일을 찾아서, 적혀진 일정대로 작업을 수행한다. 작업 목록 보기 예약 작업 목록을 보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사용자의 crontab ...

리눅스 / 배포판 / 록키 리눅스(Rocky Linux) - 역사, 특징, 장점

록키 리눅스의 역사 록키 리눅스(Rocky Linux)는 2020년 12월에 발표된 오픈 소스 리눅스 배포판으로, CentOS 프로젝트의 공동 창립자인 그레고리 커츠너(Gregory Kurtzer)가 주도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록키 리눅스는 CentOS 8의 종료 발표 이후, 기존의 CentOS 사용자들에게 안정적인 대안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록키 리눅스는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HEL)와의 완전한 호환성을 목표로 하며, 커뮤니티 주도 프로젝트로 운영됩니다. CentOS와의 관계 CentOS는 ...

Ubuntu 16.04 / 메모

PHP intl 설치 apt install php-intl service apache2 reoad APCu 설치 apt install php-apcu service apache2 reload

Rocky Linux 9 / hostname 변경하는 방법

Rocky Linux 9 / hostname 변경하는 방법

CLI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hostname을 출력한다. hostname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hostname을 rocky로 변경한다. hostnamectl set-hostname rocky GUI 의 Device Name에서 변경한다.

리눅스 / 그룹 / 그룹 조회, 그룹 추가, 그룹 삭제, 그룹 수정

그룹 조회 그룹 목록은 /et/group 파일에 있습니다. cat 명령어로 전체를 조회하거나... cat /etc/group tail 명령어로 마지막 부분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 tail -n 5 /etc/group avahi:x:70: slocate:x:21: rngd:x:974: tcpdump:x:72: vboxsf:x:973: X:Y:Z 형식으로 나오는데, X는 그룹 이름, Y는 그룹 비밀번호, Z는 그룹 ID입니다. 그룹 추가 groupadd 명령으로 그룹을 추가합니다. # groupadd group-1 # tail -n 5 /etc/group slocate:x:21: rngd:x:974: tcpdump:x:72: vboxsf:x:973: group-1:x:1000: 그룹 삭제 groupdel 명령으로 그룹을 삭제합니다. # ...

Ubuntu 16.04 Server / PHP / 메모리 늘리는 방법

PHP 설정은 php.ini에서 한다. Ubuntu 16.04에서 php.ini의 위치는 /etc/php/7.0/apache2/php.ini 이다. PHP 버전에 따라 7.0은 다른 숫자일 수 있다. 메모리를 늘리기 위해 수정해야 할 것은 memory_limit이다. 기본값은 128M이다. 128을 적절히 변경한다. memory_limit = 128M 변경한 설정이 적용되도록 하려면 웹서버를 다시 시작하거나 다시 로드한다. Apache 웹서버라면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다시 시작할 수 있고, # service apache2 restart 다음과 같이 ...

Ubuntu 22.04 Server / ufw로 방화벽 설정하는 방법

우분투에서 방화벽을 설정하는 명령어는 ufw이다. ufw로 방화벽을 활성화시키고 관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방화벽 활성화 ufw enable 방화벽 비활성화 ufw disable 방화벽 상태 확인 ufw status 53 포트 허용 ufw allow 53 53 포트 tcp 패킷 허용 ufw allow 53/tcp 53 포트 udp 패킷 허용 ufw allow 53/udp 53 포트 거부 ufw deny 53 53 포트 tcp 패킷 거부 ufw deny 53/tcp 53 포트 udp 패킷 거부 ufw deny ...

Ubuntu 18.04 / 빠르게 다운로드하는 방법

우분투 다운로드 우분투 다운로드는 보통 우분투 홈페이지에서 합니다. 상단의 Downloads 메뉴를 클릭하고 안내를 따라가면 됩니다. 그런데, 우분투 홈페이지를 통해 다운로드를 받으면 전송 속도가 느릴 수 있습니다. 만약 너무 느리다면 가까운 미러 사이트에 직접 접속하여 다운로드해보세요. 빠르게 다운로드를 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 서버 한국이라면 카카오 서버가 빠릅니다. 우분투 페이지로 간 다음 원하는 버전을 선택합니다. 데스크톱 이미지와 ...

리눅스 / 하드디스크 파디션 만들기, 포맷하기, 마운트하기

리눅스에서 하드디스크 파티션 만들고, 포맷 하고, 마운트 하는 방법을 요약한다. 장착된 하드디스크 확인하기 ls 명령어로 컴퓨터에 장착된 하드디스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dev/sda, /dev/sdb 등이 하드디스크, /dev/sda1 등이 파티션이다. # ls -l /dev/sd* brw-rw----. 1 root disk 8, 0 Oct 16 13:12 /dev/sda brw-rw----. 1 root disk 8, 1 Oct 16 13:12 /dev/sda1 brw-rw----.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