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파일 또는 디렉토리 이름 바꾸는 방법

파일 이름 바꾸기

mv는 파일을 이동시키는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를 이용해서 파일 이름을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은 abc.txt를 xyz.txt로 바꾼다.

# mv abc.txt xyz.txt

디렉토리 이름 바꾸기

디렉토리 이름을 바꾸는 것도 파일 이름 변경과 같다. 다음은 abc 디렉토리의 이름을 xyz로 바꾼다.

# mv abc xyz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 하드디스크 파디션 만들기, 포맷하기, 마운트하기

리눅스에서 하드디스크 파티션 만들고, 포맷 하고, 마운트 하는 방법을 요약한다. 장착된 하드디스크 확인하기 ls 명령어로 컴퓨터에 장착된 하드디스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dev/sda, /dev/sdb 등이 하드디스크, /dev/sda1 등이 파티션이다. # ls -l /dev/sd* brw-rw----. 1 root disk 8, 0 Oct 16 13:12 /dev/sda brw-rw----. 1 root disk 8, 1 Oct 16 13:12 /dev/sda1 brw-rw----. 1 ...

리눅스 / 명령어 / ls /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 출력하는 명령어

ls는 list의 약어로,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ls 디렉토리명 디렉토리에 속한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을 출력한다. 숨김 파일은 나오지 않는다. 디렉토리명을 생략하면 현재 디렉토리에 속한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var 디렉토리에 속한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을 출력한다. # ls /var ls -a, ls -l -a 옵션을 붙이면 숨김 파일도 출력한다. -l 옵션을 붙이면 소유자, 파일 ...

Ubuntu 18.04 Server / 시간대(time zone) 설정하는 방법

Ubuntu 18.04 Server / 시간대(time zone) 설정하는 방법

현재 서버의 시간대 확인 현재 서버에 설정된 시간대는 date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다. # date 시간대 설정 방법 1 - dpkg-reconfigure tzdata 시간대를 설정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 dpkg-reconfigure tzdata 한국이라면 Asia를 선택하고 Seoul을 선택합니다. 시간대 설정 방법 2 - tzselect tzselect 명령으로 설정할 수 있다. 번호를 입력하여 시간대를 정한다. # tzselect Please identify a location so that time ...

Ubuntu 24.04 Server / 설치된 패키지 확인하는 방법

Ubuntu 24.04 Server / 설치된 패키지 확인하는 방법

우분투에서 설치된 패키지 확인은 apt 또는 dpkg 명령어로 할 수 있다. 출력하는 내용에 차이가 있다. apt 명령어로 설치된 패키지 확인 설치된 모든 패키지를 출력한다. # apt list --installed 설치된 패키지 중 이름에 mariadb가 있는 것을 출력한다. # apt list --installed | grep mariadb dpkg 명령어로 설치된 패키지 확인 설치된 모든 패키지를 출력한다. # dpkg -l 설치된 패키지 중 이름에 ...

Ubuntu 18.04 Server / 설치하기

Ubuntu 18.04 Server / 설치하기

다운로드 Ubuntu Server 다운로드 페이지는 다음과 같다. https://ubuntu.com/download/server 최신 버전에 대한 안내가 주로 있으므로, 구버전을 다운로드하고 싶다면 아래 링크가 편하다. https://mirror.kakao.com/ubuntu-releases/ 가상 머신에 설치한다면 다운로드한 ISO 파일을 그대로 사용하면 되고, 물리 서버에 설치한다면 Rufus 같은 툴을 이용하여 부팅 USB를 만든다. 설치 설치 미디어로 부탕하고 잠시 기다리면 언어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온다.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고 엔터키를 누른다. 키보드 레이아웃을 정하고 ...

리눅스 / CPU 이름, 코어 수, 스레드 수 확인하는 방법

리눅스에서 lscpu 명령으로 CPU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력하는 내용 중에 CPU 이름, 코어 수, 스레드 수가 있습니다. 아래는 lscpu 명령을 내린 결과 예시입니다. # lscpu Architecture: x86_64 CPU op-mode(s): 32-bit, 64-bit Byte Order: ...

리눅스 / 명령어 / cp - 복사하는 명령어, mv - 이동하는 명령어

cp는 copy의 약자로 복사하는 명령어, mv는 move의 약자로 이동하는 명령어이다. 복사하기 abc.txt 파일을 def.txt로 이름을 바꾸어 복사한다. cp abc.txt def.txt xyz라는 디렉토리가 없다면 abc.txt 파일을 xyz 파일로 복사한다. xyz라는 디렉토리가 있다면 xyz 디렉토리 안에 abc.txt 파일을 복사한다. cp abc.txt xyz abc.txt 파일을 xyz 디렉토리 안에 def.txt라는 이름으로 복사한다. cp abc.txt xyz/def.txt abc가 디렉토리이고 xyz라는 디렉토리가 없다면, abc 디렉토리를 xyz로 ...

Ubuntu 18.04 Server / Nginx, PHP, MariaDB 설치하고 설정하기

Ubuntu 18.04 Server / Nginx, PHP, MariaDB 설치하고 설정하기

Nginx 설치 Nginx를 설치합니다. # apt install nginx 만약 방화벽을 사용하고 있다면 포트를 열어줍니다. # ufw allow 'Nginx Full' 서버 주소로 접속했을 때 다음과 같이 나오면 제대로 된 것입니다. 시작, 정지 등 Nginx를 시작합니다. # systemctl start nginx Nginx를 멈춥니다. # systemctl stop nginx Nginx를 재시작합니다. # systemctl restart nginx Nginx를 다시 로드합니다. # systemctl reload nginx Nginx를 설치하면 부팅 시 자동으로 시작하게 설정됩니다. 만약 자동 ...

Rocky Linux 8 / root 계정으로 ssh 접속 가능하게 설정하는 방법

Rocky Linux 8 / root 계정으로 ssh 접속 가능하게 설정하는 방법

Rocky Linux를 설치할 때 가능하게 설정하지 않았다면, root 계정으로 ssh 접속을 할 수 없다. 보안 상 권장되는 설정이나, 테스트나 공부 목적 등으로 root 계정으로 ssh 접속하는 게 더 좋은 상황이라면, 다음과 같이 하여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vi나 nano 같은 텍스트 에디터로 /etc/ssh/sshd_config 파일을 연다. 제일 밑에 다음 코드를 추가하고, 저장한다. PermitRootLogin yes 다음과 같이 ...

리눅스 / 배포판 / 데비안(Debian) - 역사, 특징, 장점

데비안의 역사 데비안(Debian)은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의 리눅스 배포판으로 1993년에 이안 머독(Ian Murdock)에 의해 시작되었습니다. 데비안 프로젝트는 커뮤니티 기반의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서, 전 세계의 개발자와 기여자들이 협력하여 발전시켜 왔습니다. 데비안은 GNU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리눅스 커널뿐만 아니라 다양한 커널을 지원하는 운영체제를 제공합니다. 초기 역사 1993년 8월 16일, 이안 머독은 데비안 프로젝트를 발표했습니다. 데비안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