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Server / 설치하기
Ubuntu
2018-11-16
우분투 서버를 설치하는 과정을 정리한다. VirtualBox 가상 머신에 설치했고, 대부분 기본 설정으로 진행했다. 따라서 고정 IP 설정이나 하드디스크 분할 등 세부적인 내용은 없다.
Ubuntu Server는 CLI 환경으로 설치된다. 만약 GUI를 사용하고 싶다면 추가 작업이 필요하다.
다운로드
Ubuntu Server 다운로드 페이지는 다음과 같다.
https://ubuntu.com/download/server
최신 버전에 대한 안내가 주로 있으므로, 구버전을 다운로드하고 싶다면 아래 링크가 편하다.
https://mirror.kakao.com/ubuntu-releases/
가상 머신에 설치한다면 다운로드한 ISO 파일을 그대로 사용하면 되고, 물리 서버에 설치한다면 Rufus 같은 툴을 이용하여 부팅 USB를 만든다.
Ubuntu Server 20.04 설치
- 설치 미디어로 부탕하고 잠시 기다리면 언어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온다.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고 엔터키를 누른다.
- 키보드 레이아웃을 선택한다.
- 네트워크 연결 설정을 한다.
- DHCP 환경이 아니라면 수동으로 설정한다.
고정 IP 설정 시 Subnet 설정이 좀 특이하다. 255.255.255.0 형식이 아닌 24 형식으로 한다. 예를 들어 IP가 192.168.137.250, Subnet이 255.255.255.0이라면 192.168.137.0/24로 설정한다.
- 적절히 설정한다.
-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할 저장소를 선택한다. 보통 기본 상태로 넘어가면 된다.
- 디스크 파티션을 설정한다. 특별한 조건이 없다면 전체 디스크를 사용(Use an entire disk)을 선택한다.
- 파티션 설정을 확인하고 엔터키를 누른다.
- [Continue]를 선택하고 엔터키를 누른다.
- 사용자 계정 정보를 입력한다.
- SSH 설치 여부를 선택한다.
- 설치할 패키지를 선택한다. 당연히 나중에 설치할 수 있다.
- 잠시 기다리면...
- 설치가 완료된다.
- 설치 미디어를 제거하고 재부팅을 하면...
- 로그인 화면이 나온다.
Ubuntu Server 18.04 설치
- 부팅을 하면 언어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온다. 키보드의 화살표 키로 언어를 선택하고 엔터키를 누른다.
- 키보드 레이아웃을 정하고 엔터키를 누른다. 보통은 잘 인식하므로 그냥 엔터키를 누르면 된다.
- Install Ubuntu를 선택하고 엔터키를 누른다.
- 네트워크를 설정한다.
- 하드디스크 파티션을 설정한다. Use An Entire Disk를 선택하면 전체 디스크를 대상으로 적절히 파티션을 만든다.
- Continue를 선택하고 엔터키를 누른다.
- 사용자 계정을 만들고 호스트 이름을 정한다.
- 잠시 기다리면...
- 설치가 완료된다. [Reboot Now]를 선택하고 엔터키를 누른다.
- CD나 USB를 제거하고 엔터키를 누른다.
- 재부팅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 설치할 때 만든 사용자 계정과 비밀번호로 로그인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