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crontab 사용법

cron & crontab

cron은 특정 시간에 특정 작업을 수행하게 하는 시스템 대몬이다. 백업, 캐시 메모리 비우기 등 주기적으로 어떤 작업을 해야할 때 유용하다.

crontab은 시간과 작업을 적은 텍스트 파일이다. 사용자별로 파일이 존재한다. cron은 모든 사용자의 crontab 파일을 찾아서, 적혀진 일정대로 작업을 수행한다.

작업 목록 보기

예약 작업 목록을 보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사용자의 crontab 파일의 내용이 출력된다.

# crontab -l

작업 삭제하기

예약 작업을 모두 삭제하고 싶다면(crontab 파일 내용을 다 지우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 crontab -r

작업 수정하기

예약 작업을 만들거나 수정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crontab 파일이 없다면 새로 만들고, 있다면 그 파일을 연다.

# crontab -e

작업 추가하기

형식

작업을 추가하는 형식은 다음과 같다.

minute hour day month weekday command
  • minute : 0 - 59
  • hour : 0 - 23
  • day : 1 - 31
  • month : 1 - 12
  • weekday : 0 - 6 (0 : 일요일)
  • command : 수행하려는 작업 명령어

특수한 값

  • *는 범위 내의 모든 값이다.
    예를 들어 minute의 값으로 *가 있다면 매분, hour의 값으로 *가 있다면 매시간을 뜻한다.
  • 쉼표로 구분된 숫자는 각각의 값이다.
    예를 들어 minute의 값으로 10,20이 있다면 10분과 20분을 뜻한다.
  • -기호로 연결된 숫자는 범위이다.
    예를 들어 hour의 값으로 2-10이 있다면 2시부터 10시까지를 뜻한다.
  • minute의 값으로 */10이 있다면 10분마다, hour의 값으로 */6이 있다면 6시간마다를 뜻한다.

예제

  • 매분, 매시간, 매일, 매월, 매요일, 즉 1분마다 /root/backup.sh를 실행하시오.
* * * * * /root/backup.sh
  • 0분, 4시, 매일, 매월, 매요일, 즉 매일 4시에 /root/backup.sh를 실행하시오.
0 4 * * * /root/backup.sh
  • 0분, 4시, 매일, 매월, 월요일부터 금요일, 즉 평일 4시에 /root/backup.sh를 실행하시오.
0 4 * * 1-5 /root/backup.sh
  • 10분 간격, 4시, 매일, 매월, 매요일, 즉 매일 4시, 4시 10분, 4시 20분, 4시 30분, 4시 40분, 4시 50분에 /root/backup.sh를 실행하시오.
*/10 4 * * * /root/backup.sh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16.04 Server / logrotate 설치하고 설정하기

우분투(Ubuntu)는 여러 작업의 내용을 로그(Log) 파일로 남깁니다. 예를 들어 웹서버 운영과 관련된 로그는 /var/log/apache2에 있습니다. 로그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파일에 계속 추가하는 것이어서, 시간이 지날수록 파일의 크기가 커집니다. 로그 파일의 크기가 너무 커지면, 시스템이 느려지거나 다운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주는 패키지가 logrotate입니다. 로그 파일이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기존 로그 파일을 다른 이름으로 변경하여 저장하고 ...

Ubuntu 22.04 Server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Ubuntu 22.04 Server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설정 파일 수정하기 네트워크 설정 파일은 /etc/netplan 디렉토리 안에 있는 yaml 파일이다. DHCP로 설치했다면, 설정 파일 내용은 다음과 비슷하게 되어 있다. # This is the network config written by 'subiquity' network: ethernets: eth0: dhcp4: true version: 2 다음과 같이 수정하고 저장한다. IP 등은 네트워크 환경에 ...

리눅스 / 버전 확인하는 방법

리눅스에서 현재 사용 중인 배포판의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 두 가지를 소개합니다. hostnamectl 명령어로 확인 hostnamectl 명령어로 리눅스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Rocky Linux에서 실행한 결과입니다. # hostnamectl Static hostname: rocky-9-01 Icon name: computer-vm Chassis: ...

리눅스 / 명령어 / systemctl

systemctl은 서비스를 관리하는 명령어이다. 서비스 상태 확인 systemctl status service_name.service 서비스 시작 systemctl start service_name.service 서비스 재시작 systemctl restart service_name.service 서비스 중지 systemctl stop service_name.service 부팅 시 서비스 자동 시작 systemctl enable service_name.service 부팅 시 서비스 자동 시작 해제 systemctl disable service_name.service 서비스 목록 보기 systemctl list-units --type=service

리눅스 / 명령어 / which, whereis, locate / 명령어 위치 찾기

명령어의 위치를 찾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에는 which, whereis, locate가 있다. 명령어의 위치만 찾을 때는 which를 사용하고, 관련된 파일들의 위치까지 찾을 때는 whereis나 locate를 사용한다. which 명령어로 find 명령어를 찾는다. # which find /usr/bin/find whereis 명령어로 find 명령어를 찾는다. # whereis find find: /usr/bin/find /usr/share/man/man1/find.1.gz locate 명령어로 find 명령어를 찾는다. # locate find /usr/bin/find /usr/bin/find2perl /usr/bin/findmnt /usr/bin/nl-link-ifindex2name /usr/bin/nl-link-name2ifindex /usr/bin/oldfind /usr/lib64/python2.7/modulefinder.py /usr/lib64/python2.7/modulefinder.pyc /usr/lib64/python2.7/modulefinder.pyo /usr/sbin/btrfs-find-root /usr/sbin/findfs /usr/share/bash-completion/completions/findmnt /usr/share/doc/findutils-4.5.11 /usr/share/doc/findutils-4.5.11/AUTHORS /usr/share/doc/findutils-4.5.11/COPYING /usr/share/doc/findutils-4.5.11/ChangeLog /usr/share/doc/findutils-4.5.11/NEWS /usr/share/doc/findutils-4.5.11/README /usr/share/doc/findutils-4.5.11/THANKS /usr/share/doc/findutils-4.5.11/TODO /usr/share/doc/wpa_supplicant-2.6/examples/p2p/p2p_find.py /usr/share/doc/wpa_supplicant-2.6/examples/p2p/p2p_stop_find.py /usr/share/info/find-maint.info.gz /usr/share/info/find.info.gz /usr/share/locale/be/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bg/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ca/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cs/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da/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de/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el/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eo/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es/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et/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fi/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fr/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ga/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gl/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hr/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hu/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id/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it/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ja/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ko/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lg/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lt/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ms/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nl/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pl/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pt/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pt_BR/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ro/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ru/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rw/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sk/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sl/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sr/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sv/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tr/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uk/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vi/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zh_CN/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zh_TW/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man/man1/find.1.gz /usr/share/man/man1/find2perl.1.gz /usr/share/man/man1/oldfind.1.gz /usr/share/man/man8/btrfs-find-root.8.gz /usr/share/man/man8/findfs.8.gz /usr/share/man/man8/findmnt.8.gz locate 명령어는 -n 옵션으로 출력 ...

Ubuntu Server 22.04 / vsftpd로 FTP 서버 구축하기

vsftpd vsftpd(Very Secure FTP Daemon)는 유닉스와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벼운 FTP 서버입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Virtual IP configurations Virtual users Standalone or inetd operation Powerful per-user configurability Bandwidth throttling Per-source-IP configurability Per-source-IP limits IPv6 Encryption support through SSL integration 설치 vsftpd는 우분투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 apt install vsftpd 방화벽을 사용 중이라면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포트를 ...

Rocky Linux 9 / SSH / 포트 변경하는 방법

Rocky Linux 9 / SSH / 포트 변경하는 방법

SSH는 22 포트를 사용한다. 알려진 포트이므로 다른 포트로 변경하는 것이 보안상 좋다. Rocky Linux 9에서 SSH 포트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포트를 1980으로 바꾼다고 가정한다. /etc/ssh/sshd_config에서 다음의 코드를... #Port 22 다음으로 변경한다. Port 1980 SELINUX가 활성화되어 있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1980 포트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든다. semanage port -a -t ssh_port_t -p tcp 1980 만약 다음과 같은 ...

Ubuntu 18.04 / 메모

SSH 설정 설정 파일 /etc/ssh/sshd_config 포트 변경하기 다음 코드를 #Port 22 다음처럼 바꾼다. Port 1234 포트 번호는 자신이 원하는 것으로... root 계정 로그인 가능하게 만들기 다음 코드를 #PermitRootLogin prohibit-password 다음처럼 만든다. PermitRootLogin yes 설정 변경 적용하기 service ssh restart

CentOS 7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CentOS 7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CentOS를 설치할 때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 GUI 환경이므로 네트워크 설정을 알고 있다면 쉽게 고정 IP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DHCP로 설치했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 IP 설정을 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설정 파일 수정 네트워크 설정 파일은 /etc/sysconfig/network-scripts에 있다. 파일 이름은 ifcfg-enp0s3 처럼 생겼다. 텍스트 에디터로 열면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TYPE="Ethernet" PROXY_METHOD="none" BROWSER_ONLY="no" BOOTPROTO="dhcp" DEFROUTE="yes" IPV4_FAILURE_FATAL="no" IPV6INIT="yes" IPV6_AUTOCONF="yes" IPV6_DEFROUTE="yes" IPV6_FAILURE_FATAL="no" IPV6_ADDR_GEN_MODE="stable-privacy" NAME="enp0s3" UUID="91af51db-7cf0-4069-9433-77d356b31bca" DEVICE="enp0s3" ONBOOT="yes" CentOS 버전 ...

Ubuntu 20.04 Server / GUI 설치하는 방법

Ubuntu 20.04 Server / GUI 설치하는 방법

Ubuntu Server는 CLI(Command Line Interface) 환경으로 설치된다. 그런데 어떤 작업은 GUI(Graphical Uer Interface) 환경에서 하는 것이 편하다. 만약 GUI 환경이 필요하다면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GUI 패키지에는 kubuntu-desktop lubuntu-desktop ubuntu-desktop ubuntu-desktop-minimal xubuntu-desktop 등이 있다. 주로 ubuntu-desktop 또는 ubuntu-desktop-minimal을 사용하는 듯 하다. 예를 들어 ubuntu-desktop-minimal을 설치한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된다. # apt install ubuntu-desktop-minimal Minimal임에도 불구하고 꽤 많은 저장소 공간이 필요하다. Aft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