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buntu Server / 메모

MariaDB / 포트 변경

MariaDB의 기본 접속 포트는 3306입니다. 이를 다른 포트로 변경하고 싶다면 /etc/mysql/mariadb.conf.d/50-server.cnf를 수정합니다.

port = 3306

을 찾아서 원하는 포트로 변경한 후 저장합니다. 그리고 MariaDB를 재시작합니다.

service mysql restart

MariaDB / Can't connect to MySQL server on ... (10061)

다음과 같은 에러를 만났다면...

Can't connect to MySQL server on ... (10061)

/etc/mysql/mariadb.conf.d/50-server.cnf에 있는

bind-address = 127.0.0.1

를 주석처리하거나 삭제한다. 그리고 MariaDB를 재시작한다.

service mysql restart

서비스 목록 출력

모든 서비스 목록 출력

service --status-all

+는 실행 중, -는 실행 중이 아닌 서비스

 [ - ]  acpid
 [ + ]  apache-htcacheclean
 [ + ]  apache2
 [ + ]  apparmor
 [ + ]  apport
 [ + ]  atd
 [ + ]  clamav-daemon
 [ + ]  clamav-freshclam
 [ - ]  console-setup.sh
 [ + ]  cron
 [ - ]  cryptdisks
 [ - ]  cryptdisks-early
 [ + ]  dbus
 [ + ]  ebtables

실행 중인 서비스 목록 출력

service --status-all | grep +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Server / GUI 설치하는 방법

Ubuntu Server / GUI 설치하는 방법

Ubuntu Server는 CLI(Command Line Interface) 환경으로 설치된다. 그런데 어떤 작업은 GUI(Graphical Uer Interface) 환경에서 하는 것이 편하다. 만약 GUI 환경이 필요하다면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GUI 패키지에는 kubuntu-desktop lubuntu-desktop ubuntu-desktop ubuntu-desktop-minimal xubuntu-desktop 등이 있다. 주로 ubuntu-desktop 또는 ubuntu-desktop-minimal을 사용하는 듯 하다. 예를 들어 ubuntu-desktop-minimal을 설치한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된다. apt install ubuntu-desktop-minimal Minimal임에도 불구하고 꽤 많은 저장소 공간이 필요하다. After this ...

Ubuntu / hostname 확인하는 방법, 변경하는 방법

Ubuntu / hostname 확인하는 방법, 변경하는 방법

hostname 확인하는 방법 방법 1 - 명령어로 확인하기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hostname을 출력한다. hostname 방법 2 - 설정 파일 열어서 확인하기 /etc/hostname 파일에 hostname이 있다. cat /etc/hostname hostname 변경하는 방법 방법 1 - 명령어로 변경하기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hostname이 abc로 바뀐다. hostnamectl set-hostname abc 방법 2 - 설정 파일 열어서 변경하기 텍스트 에디터로 /etc/hostname 파일을 열어서 내용을 abc로 바꾸면 hostname이 abc로 바뀐다. 재부팅 재부팅을 하면 변경사항이 ...

Ubuntu 18.04 / 해상도 변경하는 방법

Ubuntu 18.04 / 해상도 변경하는 방법

Ubuntu 18.04 Desktop에서 해상도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합니다. 를 클릭합니다. 왼쪽 메뉴에서 를 클릭합니다. 왼쪽 메뉴에서 를 클릭하고, 오른쪽에서 해상도를 선택합니다. 오른쪽 위의 버튼을 클릭합니다. 를 클릭합니다.

Ubuntu Server / Apache / 사용자 인증 만드는 방법

Ubuntu Server / Apache / 사용자 인증 만드는 방법

웹사이트의 콘텐츠를 특정 사용자만 볼 수 있게 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만약 웹서버에 대한 충분한 권한이 있다면, Apache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습니다. 비밀번호 파일 만들기 비밀번호 파일은 htpasswd 명령어로 만듭니다. /home/auth/ 디렉토리에 passwords라는 이름의 파일을 만들고, 사용자 user1의 비밀번호를 정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합니다. htpasswd -c /home/auth/passwords user1 .htaccess 파일 만들기 웹사이트의 루트 디렉토리에 ...

Ubuntu Server / 설치하기

Ubuntu Server / 설치하기

우분투 서버를 설치하는 과정을 정리한다. VirtualBox 가상 머신에 설치했고, 대부분 기본 설정으로 진행했다. 따라서 고정 IP 설정이나 하드디스크 분할 등 세부적인 내용은 없다. Ubuntu Server는 CLI 환경으로 설치된다. 만약 GUI를 사용하고 싶다면 추가 작업이 필요하다. 다운로드 Ubuntu Server 다운로드 페이지는 다음과 같다. https://ubuntu.com/download/server 최신 버전에 대한 안내가 주로 있으므로, 구버전을 다운로드하고 싶다면 아래 링크가 편하다. https://mirror.kakao.com/ubuntu-releases/ 가상 머신에 ...

Ubuntu Server /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방법, root 계정으로 ssh 접속하는 방법

Ubuntu Server /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방법, root 계정으로 ssh 접속하는 방법

Ubuntu는 설치할 때 일반 사용자 계정만 만듭니다. 관리자 권한이 필요할 때는 sudo를 이용하죠. 그런데 공부를 위해 혼자만 사용하거나, 여러 가지 이유로 보안에 문제가 없는 경우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해서 작업하는 게 편합니다. root 계정으로 로그인 하는 방법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합니다.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만들면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sudo passwd ...

Ubuntu / ufw로 방화벽 설정하는 방법

Ubuntu / ufw로 방화벽 설정하는 방법

우분투의 방화벽 설정 프로그램은 ufw입니다. ufw로 방화벽을 활성화시키고 관리하는 방법을 메모합니다. 방화벽 활성화 ufw enable 방화벽 비활성화 ufw disable 방화벽 상태 확인 ufw status 53 포트 허용 ufw allow 53 53 포트 tcp 패킷 허용 ufw allow 53/tcp 53 포트 udp 패킷 허용 ufw allow 53/udp 53 포트 거부 ufw deny 53 53 포트 tcp 패킷 거부 ufw deny 53/tcp 53 포트 udp 패킷 거부 ufw deny 53/udp 53 ...

Ubuntu Server / 언어 변경하는 방법

Ubuntu Server / 언어 변경하는 방법

현재 언어 확인하기 locale 명령어로 현재 언어가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root@ubuntu-1804-server:~# locale LANG=en_US.UTF-8 LANGUAGE= LC_CTYPE="en_US.UTF-8" LC_NUMERIC="en_US.UTF-8" LC_TIME="en_US.UTF-8" LC_COLLATE="en_US.UTF-8" LC_MONETARY="en_US.UTF-8" LC_MESSAGES="en_US.UTF-8" LC_PAPER="en_US.UTF-8" LC_NAME="en_US.UTF-8" LC_ADDRESS="en_US.UTF-8" LC_TELEPHONE="en_US.UTF-8" LC_MEASUREMENT="en_US.UTF-8" LC_IDENTIFICATION="en_US.UTF-8" LC_ALL= 언어 변경하기 사용할 언어를 먼저 설치합니다. 한국어를 사용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합니다. apt-get install language-pack-ko /etc/default/locale을 열고 다음과 같이 만듭니다. LANG=ko_KR.UTF-8 Ubuntu Server 16.04라면 다음과 같이 만듭니다. # File generated by update-locale LANG="ko_KR.UTF-8" LANGUAGE="ko_KR:ko" 테스트하기 새로 로그인하거나 재부팅하면 변경한 언어가 적용됩니다. 의미 없는 문자열을 입력해보거나... root@ubuntu-1804-server:~# 123 123: 명령을 찾을 수 없습니다 locale ...

Ubuntu Server / 원격 데스크톱으로 연결하는 방법

Ubuntu Server / 원격 데스크톱으로 연결하는 방법

리눅스는 보통 SSH로 접속하여 명령어로 작업을 한다. 뭔가 전문가 같고 어려운 일을 하는 거 같다. 그런데, 불편하다. 어떤 작업은 명령어가 편하지만 GUI가 훨씬 편한 것도 있다. 게다가 컴퓨터 사양도 좋아져서 GUI 설치하는 게 부담스럽지도 않다. 그래서 요즘엔 GUI로 작업할 수 있게 세팅을 해두는 편이다. 그래야 누굴 시키기도 편하고... 세팅은 간단하다. 우분투 서버에 ...

Ubuntu 16.04 / logrotate 설치하고 설정하기

Ubuntu 16.04 / logrotate 설치하고 설정하기

로그 파일 우분투(Ubuntu)는 여러 작업의 내용을 로그(Log) 파일로 남깁니다. 예를 들어 웹서버 운영과 관련된 로그는 /var/log/apache2에 있습니다. 로그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파일에 계속 추가하는 것이어서, 시간이 지날수록 파일의 크기가 커집니다. 로그 파일의 크기가 너무 커지면, 시스템이 느려지거나 다운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주는 패키지가 logrotate입니다. 로그 파일이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기존 로그 파일을 다른 이름으로 변경하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