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에 SD 카드를 장착할 수 있다는 것은 큰 장점입니다. 예전에 쓰던 폰은 SD 카드를 지원하지 않아서 정기적으로 파일을 지우거나 앱을 삭제해야 했거든요. 물론 클라우드를 잘 활용하면 되지만 자료를 올리고 내려받는 데 시간도 걸리고, 와이파이가 되지 않으면 데이터를 써야하고... 이번에 구입한 폰은 SD 카드를 지원합니다. 저장 공간이 모자르면 SD 카드를 사서 […]
버스나 지하철을 탈 때마다 교통카드를 꺼내는 것은 번거롭습니다. NFC 기능이 있는 핸드폰이라면, 신용카드를 등록해서 핸드폰으로 대중 교통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핸드폰 하나로 모든 걸 할 수 있다는 게 좀 무섭기는 하지만, 편하기는 참 편합니다. 스마트폰에 신분증도 들어가니, 점점 지갑이 필요 없는 세상이 되어가고 있네요. 스마트폰을 교통카드 대용을 사용하는 방법은 여러 […]
스마트폰을 주로 Google Nexus 제품을 사용했습니다. 구글이 설계하고 제조를 다른 곳에 맡기는 폰. 삼성이 만들기도 하고 엘지가 만들기도 했죠. 저렴하고 빠르고 업데이트가 오래된다는 장점이 있었는데... 지금은 가격이 많이 오르고 제조사도 외국이라 AS 문제도 있고 해서 삼성 폰으로 넘어왔습니다. 그랬더니 구글 순정폰에서는 어려웠던 작업이 삼성 폰에서는 쉽게 되는 것들이 있네요. 대표적인 게 […]
스마트폰을 오래 쓰다보면 조금씩 느려집니다. 마치 컴퓨터를 오래 쓰면 느려지는 것처럼요. 그런 경우 사용하지 않는 앱을 삭제해서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초기화하는 것입니다. 초기화하고 필요한 앱만 설치하면 처음 폰을 샀을 때의 그 느낌으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초기화하는 방법은... [설정]으로 들어가서 [일반]을 누릅니다. [초기화]를 선택하면, 여러 가지 초기화가 […]
스마트폰에서 사용하지 않는 앱은 삭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장 공간도 차지하고, 백그라운드에서 돌아가면서 배터리를 사용할 수도 있고, 업데이트가 있으면 알림이 뜨고... 삼성 갤럭시 폰에서 앱을 삭제하는 방법은... 삭제하려는 앱을 잠시 누르고 있으면 메뉴가 뜹니다. 그 메뉴에 [설치 제거]를 눌러서 앱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일부 앱은 [설치 삭제]가 없기도 합니다. 그런 앱은 […]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을 초기화했습니다. 뭔가 마음에 들지 않을 때는 초기화하는 것이 최고입니다. 그런데 초기화하고 났더니 삼성 페이 앱이 없습니다. 원래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거 아니었나요? 일단 앱이니 앱스토어에 갑니다. 구글 플레이... 삼성 페이 앱이 없습니다. 원스토어... 여기에도 없습니다. 음... 스토어가 또 있나? 아, 갤럭시 스토어(Galaxy Store)가 있네요. 갤럭시 스토어에서 검색하니... 삼성 […]
내 PC를 원격에서 접속하여 제어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원격 데스크톱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Windows 10이라면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위한 소프트웨어가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접속을 받는 PC에서는 원격 데스크톱 연결을 허용해주고, 접속을 하는 PC에서는 원격 데스크톱 연결 앱으로 접속합니다. 원격 데스크톱 연결 허용하는 방법 접속을 받는 PC에서 Windows 설정을 엽니다. 단축키는 WIN+I입니다. […]
게임을 녹화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 많이 쓰이는 것은 OBS Studio, Xbox Game Bar, GeForce Experience입니다. 그런데, 녹화 결과가 같지는 않습니다. 세 가지 방식으로 마인크래프트를 녹화해보았습니다. 녹화를 한 컴퓨터는 노트북이고, 주요 사양은 인텔 i5 8세대, RAM 24GB, SSD, GeForce GTX 1050입니다. 결과는 다음과 같은데... 컴퓨터 사양 또는 환경에 따라 […]
공유된 폴더를 네트워크 들라이브로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공유 폴더를 만드는 방법은 여기에 있습니다.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공유된 폴더를 선택한 후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을 클릭합니다. 드라이브를 적절히 선택한 후 [마침]을 클릭하면... 드라이브가 만들어지고, 마치 자신의 PC에 있는 하드디스크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끊기 네트워크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합니다. [연결 끊기]를 […]
공유 폴더 만드는 방법 공유할 폴더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합니다. 팝업 메뉴에서 [속성]을 클릭합니다. [공유] 탭에서 [공유]를 클릭합니다.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가 소유자로, 공유 폴더에 접근 가능합니다. 다른 사용자를 추가하고 싶다면 선택 목록을 클릭합니다. 사용자를 선택하고, 추가한 다음... 역삼각형 아이콘을 클릭하여... 권한을 적절히 선택합니다. [공유]를 클릭합니다. 적절히 선택합니다. [취소]를 클릭해도 됩니다. 공유 […]
사용자 계정 추가하는 방법 Windows 설정을 엽니다. 단축키는 [WIN+I]입니다. [계정]을 클릭합니다. [가족 및 다른 사용자]를 클릭합니다. [이 PC에 다른 사용자 추가]를 클릭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추가하거나 로컬 계정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추가는 여기를 참고하세요. 이 글에서는 로컬 계정을 추가하겠습니다. [이 사람의 로그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를 클릭합니다. [Microsoft 계정 없이 […]
Samba를 이용하면 컴퓨터 간 파일을 주고 받거나 공유하는 게 수월해집니다. CentOS 8에 Samba를 설치하고 공유 폴더를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Samba 설치와 설정 Samba는 CentOS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어서 dnf 명령으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dnf install samba firewall-cmd로 Samba가 사용하는 포트를 열어줍니다.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samba 방화벽을 다시 로드합니다. firewall-cmd --reload 사용자 추가 […]
원격으로 윈도우 10 컴퓨터에 접속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원격 데스크톱을 사용하는 겁니다. 특별히 설치할 것도 없고, 설정만 약간 변경해주면 됩니다. 원격 데스크톱 연결 허용은 [Windows 설정]에서 [시스템]에 들어간 다음... [원격 데스크톱]에서 [원격 데스크톱 활성화]를 켜면 됩니다. 그런데, 컴퓨터가 절전 모드라면 원격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아도 절전 모드로 […]
윈도우 서버 2019의 업데이트는 윈도우 10의 업데이트와 방식이 거의 같습니다. 단, 서버의 특성 상 재부팅이 곤란할 수 있으므로, 재부팅이 가능한 시간에 업데이트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물론 재부팅이 필요 없는 업데이트도 있습니다.) 업데이트가 있으면 알림이 뜹니다. 알림이 없어도 [Windows 설정]의 [업데이트 및 보안]에서... 업데이트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가 있으면 [지금 설치]를 […]
Samba를 이용하여 Ubuntu Server에 공유 폴더를 만들고, Windows 클라이언트에서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Samba 설치 Samba를 설치합니다. 설치하면 바로 시작하고, 재부팅을 해도 자동으로 시작합니다. apt install samba 공유할 폴더를 만들고 권한을 777로 설정합니다. mkdir /sharedfolder chmod 777 /sharedfolder 설정 파일은 /etc/samba/smb.conf입니다. 텍스트 에디터로 엽니다. vi /etc/samba/smb.conf 제일 밑에 다음 코드를 추가합니다. […]
Ubuntu Server 우분투 20.04의 네트워크 설정 파일은 /etc/netplan 디렉토리 안에 있는 yaml 파일입니다. DHCP로 설치했다면, 설정 파일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This is the network config written by 'subiquity' network: ethernets: enp0s3: dhcp4: true version: 2 다음과 같이 수정하고 저장합니다. IP 등은 네트워크 환경에 맞게 적절히 수정합니다. # This is […]
Ubuntu는 설치할 때 일반 사용자 계정만 만듭니다. 관리자 권한이 필요할 때는 sudo를 이용하죠. 그런데 공부를 위해 혼자만 사용하거나, 여러 가지 이유로 보안에 문제가 없는 경우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해서 작업하는 게 편합니다.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지, root 계정으로 SSH 접속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설정을 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root […]
서버는 보통 원격으로 관리합니다. 윈도우 서버를 원격으로 관리하는 가장 대표적인 도구는 원격 데스크톱입니다. 원격 데스크톱으로 윈도우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서버에서 접속을 허용해줘야 합니다. 기본 설정은 허용하지 않는 것이므로, 원격 접속을 하기 위해서는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Windows 설정을 엽니다. 단축키는 WIN+I입니다. [시스템]을 클릭합니다. [원격 데스크톱]을 클릭합니다. [원격 데스크톱 활성화]를 켭니다. [확인]을 […]
윈도우 서버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네트워크가 되지 않는 안전 모드 등으로 부팅을 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고급 시작 옵션을 이용하는 게 편합니다. Windows 설정을 엽니다. 단축키는 WIN+I입니다. [업데이트 및 보안]을 클릭합니다. 왼쪽 메뉴에서 [복구]를 클릭합니다. 고급 시작 옵션에 있는 [지금 다시 시작]을 클릭합니다. 적절히 설정하고 [계속]을 클릭합니다. […]
인디자인은 성능 향상을 위해 문서에 포함된 이미지를 선명하지 않게 나타냅니다. 출력과는 상관 없지만 보기에는 좋지 않습니다. 만약 컴퓨터 사양이 좋고, 실제 출력되는 것과 유사한 모양으로 이미지를 보고 싶다면 화면 표시 성능을 [고품질 표시]로 변경하면 됩니다. 위의 방법으로 변경하면 문서를 열 때마다 설정을 바꿔줘야 합니다. 항상 고품질 이미지로 작업하고 싶다면, [편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