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명령어 / history

리눅스를 쓰다 보면 자주 입력한 명령어를 다시 보고 싶거나, 실수로 종료한 터미널에서 이전 작업 기록이 필요할 때가 있죠. 이럴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가 바로 history입니다.

기본 사용법

  • history를 실행하면 이전에 실행했던 명령어가 번호와 함께 출력됩니다.
# history
   1  userdel -r abc
   2  apt update
   3  apt upgrade
   4  apt autoremove
   5  nano /etc/ssh/ssh_config
   6  nano /etc/ssh/sshd_config
   7  systemctl restart ssh
   8  reboot
   9  poweroff
  • grep를 이용하여 특정 단어가 포함된 명령어만 출력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은 apt를 포함하는 명령어만 출력합니다.
# history | grep apt

명령 다시 실행하기

  • !와 번호를 입력하면 해당 번호의 명령어가 다시 실행됩니다. 예를 들어 !2는 번호가 2인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 !2

지우기

  • -c 옵션을 붙이면 기록을 모두 지웁니다.
history -c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18.04 Server / Nginx, PHP, MariaDB 설치하고 설정하기

Ubuntu 18.04 Server / Nginx, PHP, MariaDB 설치하고 설정하기

Nginx 설치 Nginx를 설치합니다. # apt install nginx 만약 방화벽을 사용하고 있다면 포트를 열어줍니다. # ufw allow 'Nginx Full' 서버 주소로 접속했을 때 다음과 같이 나오면 제대로 된 것입니다. 시작, 정지 등 Nginx를 시작합니다. # systemctl start nginx Nginx를 멈춥니다. # systemctl stop nginx Nginx를 재시작합니다. # systemctl restart nginx Nginx를 다시 로드합니다. # systemctl reload nginx Nginx를 설치하면 부팅 시 자동으로 시작하게 설정됩니다. 만약 자동 ...

리눅스 / 절전 모드 진입 끄는 방법, 노트북 덮개 닫아도 켜져 있게 하는 방법

노트북에 리눅스를 설치했다. 노트북에 설치했지만 용도는 서버용. 그래서 항상 켜져 있어야 한다. 그런데 노트북의 특성인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절전 모드로 들어가고, 노트북 덮개를 닫으면 잠금(?) 상태가 된다. 그래서 서비스가 중지되거나 원격 연결이 되지 않는데... 항상 켜져 있게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절전 모드 진입하기 않게 하는 방법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절전 모드가 해제된다. # ...

리눅스 / 명령어 / cd /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하는 명령어

cd는 change directory의 약자로,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하는 명령어이다. cd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일반적으로 root 계정이라면 /root로, 사용자 jb 계정이라면 /home/jb로 이동한다. cd ~user user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jb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 cd ~jb cd 디렉토리명 지정한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절대경로, 상대경로 다 사용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etc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 cd /etc 현재 ...

CentOS 7 / Apache / 하나의 서버에 여러 사이트 운영하기

CentOS 7 / Apache / 하나의 서버에 여러 사이트 운영하기

하나의 서버에 하나의 사이트만 운영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일 것입니다. 하지만 사이트 접속자가 많지 않거나 서버 사양이 훌륭하다면 여러 사이트를 하나의 서버에서 운영하는 게 경제적입니다. CentOS에 Apache 웹서버를 설치하고 운영하는 경우 여러 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게 설정하는 방법을 요약해보겠습니다. 네임 서버 설정 각 도메인의 네임 서버의 호스트 IP를 웹서버 아이피로 설정합니다. 디렉토리 만들기 한 서버에 aaa.com과 ...

리눅스 / chown, chmod / 파일 또는 디렉토리 소유자, 소유그룹, 권한 설정

chown과 chmod는 파일 및 디렉토리의 권한과 소유자를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Linux 명령어입니다. 정보 확인 ls 명령어에 -l 옵션을 붙여서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권한과 소유자(그룹)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일 앞에 있는 문자는 디렉토리인지 파일인지는 나타냅니다. d는 디렉토리라는 뜻이고, -는 파일이라는 뜻입니다. 그 다음 3개의 문자열은 소유자의 권한을, 그 다음 3개의 문자열은 소유그룹의 권한을, 그 다음 ...

리눅스 / 명령어 / cp - 복사하는 명령어, mv - 이동하는 명령어

cp는 copy의 약자로 복사하는 명령어, mv는 move의 약자로 이동하는 명령어이다. 복사하기 abc.txt 파일을 def.txt로 이름을 바꾸어 복사한다. cp abc.txt def.txt xyz라는 디렉토리가 없다면 abc.txt 파일을 xyz 파일로 복사한다. xyz라는 디렉토리가 있다면 xyz 디렉토리 안에 abc.txt 파일을 복사한다. cp abc.txt xyz abc.txt 파일을 xyz 디렉토리 안에 def.txt라는 이름으로 복사한다. cp abc.txt xyz/def.txt abc가 디렉토리이고 xyz라는 디렉토리가 없다면, abc 디렉토리를 xyz로 ...

리눅스 / 버전 확인하는 방법

리눅스에서 현재 사용 중인 배포판의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 두 가지를 소개합니다. hostnamectl 명령어로 확인 hostnamectl 명령어로 리눅스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Rocky Linux에서 실행한 결과입니다. # hostnamectl Static hostname: rocky-9-01 Icon name: computer-vm Chassis: ...

Ubuntu 22.04 Server / ufw로 방화벽 설정하는 방법

우분투에서 방화벽을 설정하는 명령어는 ufw이다. ufw로 방화벽을 활성화시키고 관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방화벽 활성화 ufw enable 방화벽 비활성화 ufw disable 방화벽 상태 확인 ufw status 53 포트 허용 ufw allow 53 53 포트 tcp 패킷 허용 ufw allow 53/tcp 53 포트 udp 패킷 허용 ufw allow 53/udp 53 포트 거부 ufw deny 53 53 포트 tcp 패킷 거부 ufw deny 53/tcp 53 포트 udp 패킷 거부 ufw deny ...

리눅스 / 명령어 / man / 명령어의 설명서 출력하는 명령어

man은 manual의 약어로, 명령어의 설명서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man 뒤에 명령어 이름을 넣고 엔터를 누릅니다. 예를 들어 # man rm 은 rm 명령어의 설명서를 출력한다. ↑ 키를 누르면 한 줄 위로 올라가고, ↓ 키를 누르면 한 줄 아래로 내려간다. Page Up 키를 누르면 한 페이지 위로 올라가고, Page Down 키를 누르면 한 페이지 아래로 내려간다. /를 ...

Rocky Linux 9 / Apache / Virtulahost 만드는 방법

Rocky Linux 9 / Apache / Virtulahost 만드는 방법

하나의 서버에서 여러 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다. Rocky Linux 9에서 Apache 웹서버로 구현하는 방법을 정리한다. Selinux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작동하지 않고, 별도의 설정이 필요하다. 여기서는 Selinux를 끄고 진행한다. 목표 하나의 서버에서 두 개의 사이트를 운영한다. http://aaa.manualfactory.net로 접속하면 Welcome to AAA!, http://bbb.manualfactory.net으로 접속하면 Welcome to BBB!를 출력한다. DNS 설정 aaa.manualfactory.net. bbb.manualfactory.net 모두 같은 IP로 가도록 설정한다. 폴더와 파일 생성 /home/aa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