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CPU 이름, 코어 수, 스레드 수 확인하는 방법

리눅스에서 lscpu 명령으로 CPU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력하는 내용 중에 CPU 이름, 코어 수, 스레드 수가 있습니다.

아래는 lscpu 명령을 내린 결과 예시입니다.

# lscpu
Architecture:        x86_64
CPU op-mode(s):      32-bit, 64-bit
Byte Order:          Little Endian
CPU(s):              4
On-line CPU(s) list: 0-3
Thread(s) per core:  2
Core(s) per socket:  2
Socket(s):           1
NUMA node(s):        1
Vendor ID:           GenuineIntel
BIOS Vendor ID:      Intel(R) Corporation
CPU family:          6
Model:               158
Model name:          Intel(R) Core(TM) i3-7350K CPU @ 4.20GHz
BIOS Model name:     Intel(R) Core(TM) i3-7350K CPU @ 4.20GHz
Stepping:            9
CPU MHz:             4200.353
CPU max MHz:         4200.0000
CPU min MHz:         800.0000
BogoMIPS:            8400.00
Virtualization:      VT-x
L1d cache:           32K
L1i cache:           32K
L2 cache:            256K
L3 cache:            4096K
NUMA node0 CPU(s):   0-3
Flags:               fpu vme de pse tsc msr pae mce cx8 apic sep mtrr pge mca cmov pat pse36 clflush dts acpi mmx fxsr sse sse2 ss ht tm pbe syscall nx pdpe1gb rdtscp lm constant_tsc art arch_perfmon pebs bts rep_good nopl xtopology nonstop_tsc cpuid aperfmperf tsc_known_freq pni pclmulqdq dtes64 monitor ds_cpl vmx est tm2 ssse3 sdbg fma cx16 xtpr pdcm pcid sse4_1 sse4_2 x2apic movbe popcnt tsc_deadline_timer aes xsave avx f16c rdrand lahf_lm abm 3dnowprefetch cpuid_fault epb invpcid_single pti ssbd ibrs ibpb stibp tpr_shadow vnmi flexpriority ept vpid ept_ad fsgsbase tsc_adjust sgx bmi1 hle avx2 smep bmi2 erms invpcid rtm mpx rdseed adx smap clflushopt intel_pt xsaveopt xsavec xgetbv1 xsaves dtherm ida arat pln pts hwp hwp_notify hwp_act_window hwp_epp md_clear flush_l1d arch_capabilities
  • CPU 이름 : Intel(R) Core(TM) i3-7350K
  • 소켓 수 : 1
  • 코어 수 :  1 X 2 = 2
  • 스레드 수 : 2 X 2 = 4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 배포판 / 록키 리눅스(Rocky Linux) - 역사, 특징, 장점

록키 리눅스의 역사 록키 리눅스(Rocky Linux)는 2020년 12월에 발표된 오픈 소스 리눅스 배포판으로, CentOS 프로젝트의 공동 창립자인 그레고리 커츠너(Gregory Kurtzer)가 주도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록키 리눅스는 CentOS 8의 종료 발표 이후, 기존의 CentOS 사용자들에게 안정적인 대안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록키 리눅스는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HEL)와의 완전한 호환성을 목표로 하며, 커뮤니티 주도 프로젝트로 운영됩니다. CentOS와의 관계 CentOS는 ...

리눅스 / 명령어 / man / 명령어의 설명서 출력하는 명령어

man은 manual의 약어로, 명령어의 설명서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man 뒤에 명령어 이름을 넣고 엔터를 누릅니다. 예를 들어 # man rm 은 rm 명령어의 설명서를 출력한다. ↑ 키를 누르면 한 줄 위로 올라가고, ↓ 키를 누르면 한 줄 아래로 내려간다. Page Up 키를 누르면 한 페이지 위로 올라가고, Page Down 키를 누르면 한 페이지 아래로 내려간다. /를 ...

CentOS 7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CentOS 7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CentOS를 설치할 때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 GUI 환경이므로 네트워크 설정을 알고 있다면 쉽게 고정 IP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DHCP로 설치했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 IP 설정을 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설정 파일 수정 네트워크 설정 파일은 /etc/sysconfig/network-scripts에 있다. 파일 이름은 ifcfg-enp0s3 처럼 생겼다. 텍스트 에디터로 열면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TYPE="Ethernet" PROXY_METHOD="none" BROWSER_ONLY="no" BOOTPROTO="dhcp" DEFROUTE="yes" IPV4_FAILURE_FATAL="no" IPV6INIT="yes" IPV6_AUTOCONF="yes" IPV6_DEFROUTE="yes" IPV6_FAILURE_FATAL="no" IPV6_ADDR_GEN_MODE="stable-privacy" NAME="enp0s3" UUID="91af51db-7cf0-4069-9433-77d356b31bca" DEVICE="enp0s3" ONBOOT="yes" CentOS 버전 ...

리눅스 / 명령어 / rm / 파일 또는 디렉토리 삭제하는 명령어

rm은 remove의 약자로,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파일 삭제하기 abc.txt 파일을 삭제한다. 삭제할 건지 다시 묻는다. y 또는 yes를 입력하면 삭제한다. # rm abc.txt 확장자가 txt인 모든 파일을 삭제한다. 각 파일에 대해서 삭제할 건지 묻는다. # rm *.txt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을 삭제한다. 각 파일에 대해서 삭제할 건지 묻고, 디렉토리가 있다면 삭제할 수 없다는 ...

리눅스 / RAID / Linear RAID, RAID0, RAID1, RAID5, RAID6

RAID 뜻과 종류 RAID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 or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처럼 사용하게 하는 기술. 예를 들어 1TB 하드디스크 두 개를 묶어서 2TB 하드디스크처럼 사용할 수 있다. 크게 하드웨어 RAID와 소프트웨어 RAID로 구분할 수 있다. 하드웨어 RAID는 성능이 좋으나 비싸다. 소프트웨어 RAID는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것으로 OS RAID라고도 한다. Linear RAID 두 ...

리눅스 / crontab 사용법

cron & crontab cron은 특정 시간에 특정 작업을 수행하게 하는 시스템 대몬이다. 백업, 캐시 메모리 비우기 등 주기적으로 어떤 작업을 해야할 때 유용하다. crontab은 시간과 작업을 적은 텍스트 파일이다. 사용자별로 파일이 존재한다. cron은 모든 사용자의 crontab 파일을 찾아서, 적혀진 일정대로 작업을 수행한다. 작업 목록 보기 예약 작업 목록을 보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사용자의 crontab ...

CentOS 7 / rsyslog / 로그 서버 구축하는 방법

CentOS 7 / rsyslog / 로그 서버 구축하는 방법

CentOS을 설치하면 로그 기록을 위한 rsyslog 패키지가 설치되고 실행됩니다. 로그는 로컬 컴퓨터에 저장되는데, 관리하는 컴퓨터가 여러 대인 경우 각각의 로그를 따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불편할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 하나의 컴퓨터를 로그를 수집하는 서버로 만들어서 그 서버에 로그가 쌓이게 하면, 좀 더 수월하게 로그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rsyslog는 간단한 설정 변경으로 로그 ...

CentOS 7 / firewall-cmd 명령어로 방화벽 관리하기

CentOS 7 / firewall-cmd 명령어로 방화벽 관리하기

CentOS의 방화벽 관리 데몬은 firewalld입니다. 설정은 firewall-cmd 명령어로 합니다. 방화벽 실행 여부 확인 firewall-cmd --state 실행 중이면 running, 실행 중이 아니면 not running을 출력합니다. 방화벽 다시 로드 firewall-cmd --reload 방화벽 설정 후 다시 로드해야 적용됩니다. 존(Zone) 출력하기 firewall-cmd --get-zones 존(zone) 목록을 출력합니다. firewall-cmd --get-default-zone 기본 존을 출력합니다. firewall-cmd --get-active-zones 활성화된 존을 출력합니다. 사용 가능한 서비스/포트 출력하기 firewall-cmd --list-all 사용 가능한 모든 서비스/포트 목록을 출력합니다. firewall-cmd --zone=public --list-all public 존에 ...

Ubuntu 18.04 Server / 설치하기

Ubuntu 18.04 Server / 설치하기

다운로드 Ubuntu Server 다운로드 페이지는 다음과 같다. https://ubuntu.com/download/server 최신 버전에 대한 안내가 주로 있으므로, 구버전을 다운로드하고 싶다면 아래 링크가 편하다. https://mirror.kakao.com/ubuntu-releases/ 가상 머신에 설치한다면 다운로드한 ISO 파일을 그대로 사용하면 되고, 물리 서버에 설치한다면 Rufus 같은 툴을 이용하여 부팅 USB를 만든다. 설치 설치 미디어로 부탕하고 잠시 기다리면 언어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온다.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고 엔터키를 누른다. 키보드 레이아웃을 정하고 ...

리눅스 / 명령어 / which, whereis, locate / 명령어 위치 찾기

명령어의 위치를 찾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에는 which, whereis, locate가 있다. 명령어의 위치만 찾을 때는 which를 사용하고, 관련된 파일들의 위치까지 찾을 때는 whereis나 locate를 사용한다. which 명령어로 find 명령어를 찾는다. # which find /usr/bin/find whereis 명령어로 find 명령어를 찾는다. # whereis find find: /usr/bin/find /usr/share/man/man1/find.1.gz locate 명령어로 find 명령어를 찾는다. # locate find /usr/bin/find /usr/bin/find2perl /usr/bin/findmnt /usr/bin/nl-link-ifindex2name /usr/bin/nl-link-name2ifindex /usr/bin/oldfind /usr/lib64/python2.7/modulefinder.py /usr/lib64/python2.7/modulefinder.pyc /usr/lib64/python2.7/modulefinder.pyo /usr/sbin/btrfs-find-root /usr/sbin/findfs /usr/share/bash-completion/completions/findmnt /usr/share/doc/findutils-4.5.11 /usr/share/doc/findutils-4.5.11/AUTHORS /usr/share/doc/findutils-4.5.11/COPYING /usr/share/doc/findutils-4.5.11/ChangeLog /usr/share/doc/findutils-4.5.11/NEWS /usr/share/doc/findutils-4.5.11/README /usr/share/doc/findutils-4.5.11/THANKS /usr/share/doc/findutils-4.5.11/TODO /usr/share/doc/wpa_supplicant-2.6/examples/p2p/p2p_find.py /usr/share/doc/wpa_supplicant-2.6/examples/p2p/p2p_stop_find.py /usr/share/info/find-maint.info.gz /usr/share/info/find.info.gz /usr/share/locale/be/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bg/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ca/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cs/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da/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de/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el/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eo/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es/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et/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fi/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fr/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ga/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gl/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hr/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hu/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id/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it/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ja/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ko/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lg/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lt/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ms/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nl/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pl/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pt/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pt_BR/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ro/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ru/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rw/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sk/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sl/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sr/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sv/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tr/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uk/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vi/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zh_CN/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zh_TW/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man/man1/find.1.gz /usr/share/man/man1/find2perl.1.gz /usr/share/man/man1/oldfind.1.gz /usr/share/man/man8/btrfs-find-root.8.gz /usr/share/man/man8/findfs.8.gz /usr/share/man/man8/findmnt.8.gz locate 명령어는 -n 옵션으로 출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