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IP 확인하는 방법

리눅스에서 IP 주소를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를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와 도구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 명령어들은 모두 터미널에서 실행됩니다.

ip addr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면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세 정보가 표시됩니다. IP 주소는 inet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ip addr
1: lo: <LOOPBACK,UP,LOWER_UP> mtu 65536 qdisc noqueue state UNKNOWN group default qlen 1000
    link/loopback 00:00:00:00:00:00 brd 00:00:00:00:00:00
    inet 127.0.0.1/8 scope host lo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inet6 ::1/128 scope host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2: eth0: <BROADCAST,MULTICAST,UP,LOWER_UP> mtu 1500 qdisc mq state UP group default qlen 1000
    link/ether 00:15:5d:03:c8:03 brd ff:ff:ff:ff:ff:ff
    inet 192.168.3.242/22 brd 192.168.3.255 scope global noprefixroute eth0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inet6 fe80::215:5dff:fe03:c803/64 scope link noprefixroute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IP 주소만 출력합니다.

# ip addr | grep "inet "
inet 127.0.0.1/8 scope host lo
inet 192.168.3.242/22 brd 192.168.3.255 scope global noprefixroute eth0

hostname -I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면 IP 주소를 출력합니다.

# hostname -I

ip route

아래 명령어로도 IP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ip route
default via 192.168.0.1 dev eth0 proto static metric 100
192.168.0.0/22 dev eth0 proto kernel scope link src 192.168.3.242 metric 100

ifconfig

ifconfig는 구 버전 리눅스에서 많이 사용했던 명령어입니다. 최신 리눅스에서는 net-tools 패키지를 설치해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ifconfig
eth0: flags=4163<UP,BROADCAST,RUNNING,MULTICAST>  mtu 1500
        inet 192.168.3.242  netmask 255.255.252.0  broadcast 192.168.3.255
        inet6 fe80::215:5dff:fe03:c803  prefixlen 64  scopeid 0x20<link>
        ether 00:15:5d:03:c8:03  txqueuelen 1000  (Ethernet)
        RX packets 17813  bytes 12724949 (12.1 MiB)
        RX errors 0  dropped 606  overruns 0  frame 0
        TX packets 1696  bytes 171867 (167.8 KiB)
        T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collisions 0

lo: flags=73<UP,LOOPBACK,RUNNING>  mtu 65536
        inet 127.0.0.1  netmask 255.0.0.0
        inet6 ::1  prefixlen 128  scopeid 0x10<host>
        loop  txqueuelen 1000  (Local Loopback)
        RX packets 0  bytes 0 (0.0 B)
        R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frame 0
        TX packets 0  bytes 0 (0.0 B)
        T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collisions 0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 명령어 / mkdir / 디렉토리 만드는 명령어

mkdir은 make directory의 약자로, 디렉토리를 만드는 명령어이다. abc 디렉토리를 만든다. # mkdir abc abc 디렉토리 아래에 def 디렉토리를 만든다. 만약 abc 디렉토리가 없다면 def 디렉토리를 만들 수 없다는 메시지가 나온다. # mkdir abc/def p 옵션을 붙이면 abc 디렉토리가 없어도 abc 디렉토리를 만든 후에 def 디렉토리를 만든다. # mkdir -p abc/def 리눅스 / 명령어 / rm / 파일 ...

Ubuntu / 특정 패키지만 업그레이드 하기, 보안 업데이트만 업그레이드 하기

우분투 서버에 접속하면 업데이트가 필요한 패키지가 있는지 알려줍니다. 두 가지 분류로 알려주는데, 하나는 패키지 업데이트, 또 하나는 보안 업데이트입니다. 소프트웨어는 보통 최신 버전을 유지하는 것이 좋지만, 업그레이드했을 때 문제가 없는지 충분히 확인을 해야 합니다. 따라서 특정 패키지만 업그레이드를 하거나, 보안 업데이트만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어떻게 그런 작업을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특정 ...

Ubuntu 16.04 Server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네트워크 설정 파일은 /etc/network/interfaces이다. 우분투를 DHCP로 설치했다면 설정 파일의 내용은 다음과 비슷하게 되어 있다. # The primary network interface auto enp0s3 iface enp0s3 inet dhcp 이를 다음처럼 변경하고 저장한다. xxx.xxx.xxx.xxx는 네트워크 환경에 맞게 수정한다. # The primary network interface auto enp0s3 iface enp0s3 inet static address xxx.xxx.xxx.xxx netmask xxx.xxx.xxx.xxx gateway xxx.xxx.xxx.xxx dns-nameservers xxx.xxx.xxx.xxx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네트워크를 재시작한다. systemctl restart networking.service 만약 위와 같이 해도 ...

리눅스 / 파일 또는 디렉토리 이름 바꾸는 방법

파일 이름 바꾸기 mv는 파일을 이동시키는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를 이용해서 파일 이름을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은 abc.txt를 xyz.txt로 바꾼다. # mv abc.txt xyz.txt 디렉토리 이름 바꾸기 디렉토리 이름을 바꾸는 것도 파일 이름 변경과 같다. 다음은 abc 디렉토리의 이름을 xyz로 바꾼다. # mv abc xyz

CentOS 7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CentOS 7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CentOS를 설치할 때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 GUI 환경이므로 네트워크 설정을 알고 있다면 쉽게 고정 IP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DHCP로 설치했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 IP 설정을 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설정 파일 수정 네트워크 설정 파일은 /etc/sysconfig/network-scripts에 있다. 파일 이름은 ifcfg-enp0s3 처럼 생겼다. 텍스트 에디터로 열면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TYPE="Ethernet" PROXY_METHOD="none" BROWSER_ONLY="no" BOOTPROTO="dhcp" DEFROUTE="yes" IPV4_FAILURE_FATAL="no" IPV6INIT="yes" IPV6_AUTOCONF="yes" IPV6_DEFROUTE="yes" IPV6_FAILURE_FATAL="no" IPV6_ADDR_GEN_MODE="stable-privacy" NAME="enp0s3" UUID="91af51db-7cf0-4069-9433-77d356b31bca" DEVICE="enp0s3" ONBOOT="yes" CentOS 버전 ...

Ubuntu 24.04 Server /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게, ssh 접속할 수 있게 설정하는 방법

Ubuntu는 설치할 때 일반 사용자 계정만 만들고, 관리자 권한이 필요할 때는 sudo를 이용한다. 만약 보안에 문제가 없는 경우라면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게 작업하는 게 편하다.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게 설정하는 방법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다.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만들면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다. # sudo passwd root root 계정으로 ssh ...

Ubuntu 20.04 Server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네트워크 설정 파일은 /etc/netplan 디렉토리 안에 있는 yaml 파일이다. DHCP로 설치했다면, 설정 파일 내용은 다음과 비슷하게 되어 있다. # This is the network config written by 'subiquity' network: ethernets: enp0s3: dhcp4: true version: 2 다음과 같이 수정하고 저장한다. IP 등은 네트워크 환경에 맞게 적절히 ...

Ubuntu 16.04 Server / logrotate 설치하고 설정하기

우분투(Ubuntu)는 여러 작업의 내용을 로그(Log) 파일로 남깁니다. 예를 들어 웹서버 운영과 관련된 로그는 /var/log/apache2에 있습니다. 로그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파일에 계속 추가하는 것이어서, 시간이 지날수록 파일의 크기가 커집니다. 로그 파일의 크기가 너무 커지면, 시스템이 느려지거나 다운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주는 패키지가 logrotate입니다. 로그 파일이 일정 기준을 충족하면 기존 로그 파일을 다른 이름으로 변경하여 저장하고 ...

CentOS 7 / ntp로 시간 동기화 하는 방법

CentOS 7 / ntp로 시간 동기화 하는 방법

리눅스가 OS인 서버의 시간과 실제 시간을 동기화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ntp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CentOS 7에 ntp를 설치하고 설정하는 방법을 요약합니다. ntp 설치 yum install ntp 동기화할 서버 주소 가까운 곳에 있는 시간 서버를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하지만, 설정을 변경하지 않아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서버 주소는 http://www.pool.ntp.org/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지역을 아시아로 했을 때의 서버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server 0.asia.pool.ntp.org server ...

Ubuntu 18.04 / 메모

SSH 설정 설정 파일 /etc/ssh/sshd_config 포트 변경하기 다음 코드를 #Port 22 다음처럼 바꾼다. Port 1234 포트 번호는 자신이 원하는 것으로... root 계정 로그인 가능하게 만들기 다음 코드를 #PermitRootLogin prohibit-password 다음처럼 만든다. PermitRootLogin yes 설정 변경 적용하기 service ssh rest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