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DO(Fast IDentity Online)

FIDO(Fast IDentity Online)는 비밀번호 없이 안전하고 편리한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 표준입니다. FIDO 얼라이언스에 의해 개발된 이 기술은 온라인 인증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여러 인증 방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목표는 비밀번호의 사용을 줄이거나 없애고, 피싱 공격 및 자격 증명 도용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FIDO의 주요 개념과 기술

  1. FIDO 프로토콜: FIDO는 다양한 인증 시나리오에 맞는 두 가지 주요 프로토콜을 제공합니다.

    • FIDO UAF (Universal Authentication Framework): 비밀번호를 완전히 없애고, 생체 인식(지문, 얼굴 인식 등)이나 핀 코드와 같은 인증 방법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토콜.
    • FIDO U2F (Universal 2nd Factor): 기존의 비밀번호 기반 인증을 보완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사용자에게 물리적인 보안 키(USB, NFC 등)를 사용한 2차 인증을 요구합니다.
  2. FIDO2: 최신 프로토콜로, FIDO UAF와 U2F의 기능을 통합하며,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비밀번호 없이 안전한 인증을 구현할 수 있도록 확장된 표준입니다. FIDO2는 다음 두 가지로 구성됩니다.

    • WebAuthn: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비밀번호 없이 인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웹 표준. 사용자 기기(예: 스마트폰, PC)의 내장된 생체 인증 기술(지문, 얼굴 인식 등)이나 외부 보안 키를 사용하여 로그인합니다.
    • CTAP (Client to Authenticator Protocol): 사용자의 기기와 외부 인증 장치(예: USB 보안 키, NFC 기기)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프로토콜.

FIDO의 동작 방식

  1. 인증 등록: 사용자가 웹사이트나 서비스에 처음 로그인할 때, FIDO 장치를 등록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생체 인식을 등록하거나 보안 키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2. 인증: 로그인 시 FIDO 인증 장치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보안 키를 연결하거나 지문 인식을 사용해 자신의 신원을 증명합니다.
  3. 공개키 기반 인증: FIDO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을 사용합니다. 사용자의 기기에 생성된 개인키는 기기 내에 안전하게 저장되며, 서비스 제공자는 대응되는 공개키만을 보유합니다. 이로 인해 해커가 서버에서 자격 증명을 탈취하더라도 개인키는 안전하게 보호됩니다.

FIDO의 주요 장점

  • 비밀번호 대체: FIDO는 비밀번호를 완전히 없애거나 보안성을 강화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비밀번호 관리의 불편함과 보안 취약성을 해소합니다.
  • 높은 보안: 공개키 기반 인증을 통해 피싱, 중간자 공격, 자격 증명 도용 등의 위험을 줄입니다.
  • 편의성: 생체 인식이나 보안 키와 같은 방식으로 로그인하여 사용자는 더 빠르고 편리하게 인증을 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기기 호환성: FIDO는 다양한 인증 장치(USB 보안 키, 스마트폰, 생체 인식 센서 등)와 호환되며, 다양한 플랫폼(Windows, macOS, Android 등)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FIDO 사용 사례

  • 구글,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주요 서비스는 FIDO 인증을 지원하여 사용자에게 비밀번호 없는 인증 또는 2단계 인증을 제공합니다.
  • 기업 내 보안 로그인: 회사의 내부 시스템에 액세스할 때, 직원들이 보안 키나 생체 인식을 사용해 로그인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뱅킹: 금융 기관들이 FIDO 기반 인증을 통해 더 안전한 금융 서비스 접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FIDO는 현재 비밀번호 기반 인증을 대체할 중요한 기술로 자리 잡고 있으며, 보안성과 편의성을 모두 강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널리 채택되고 있습니다.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 / IDS와 IPS 비교

Intrusion Detection System(IDS)와 Intrusion Prevention System(IPS)은 모두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의 일환으로, 침입을 탐지하고 대응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이 두 시스템은 기능과 목적에서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Intrusion Detection System (IDS) IDS는 네트워크나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악의적인 활동이나 정책 위반을 탐지하여 관리자에게 경고를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IDS는 침입을 탐지하지만, 이를 차단하지는 ...

스팀 / 게임 구입하는 방법

스팀 / 게임 구입하는 방법

우연히 문명이라는 게임을 알게되었습니다. '문명하셨습니다'라는 유행어가 있었을 정도로 유명한 게임이라고 하네요. 게임을 시작하면 시간은 별로 안 가는데 날짜가 바뀐다는... 인터넷에 있는 온갖 글과 영상이 문명을 추천하고 있어서, 한 번 해보기로 했습니다. 문명 5와 문명 6에 대해서 호불호가 갈리는데, 전 그래도 최신판인 문명 6으로 결정했습니다. 어디서 구입을 해야 하나 알아보았더니, 스팀에 있네요. 게다가 ...

FTP, SFTP, SCP, WebDAV

FTP (File Transfer Protocol) 개요 FTP는 인터넷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 1971년 개발된 이후로, FTP는 파일 전송의 표준 방식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통해 작동하며, FTP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연결하여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작동 방식 FTP는 두 개의 채널을 사용합니다: 명령 채널과 데이터 채널. 명령 채널은 ...

한화손해보험 / 실비보험 / 보험금 앱으로 청구하여 받는 방법

한화손해보험 / 실비보험 / 보험금 앱으로 청구하여 받는 방법

한화손해보험에 실비보험을 들어둔 게 있습니다. 병원에 잘 가지 않아서 실비보험의 드는 게 의미가 있나 고민을 했었는데, 나이가 들고 병원을 다니게 되니 잘 가입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계속 건강해서 보험금을 아까워하는 게 더 좋은 거지만요. 실비보험은 실제로 지출한 병원비를 보장 받는 건데, 보험금을 받으려면 보험회사에 청구를 해야 합니다. 병원에서 보험사로 자동으로 청구를 ...

Azure Information Protection와 Windows Information Protection

Azure Information Protection(AIP) 개요 AIP는 Microsoft Azure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 데이터의 분류, 라벨링,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솔루션입니다. 조직의 중요한 문서와 이메일을 암호화하고, 누가 어떤 데이터를 보고 조작할 수 있는지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주요 기능 데이터 분류 및 라벨링: 민감한 정보를 자동으로 탐지하고, 문서 및 이메일에 보안 라벨을 적용하여 관리합니다. 라벨링은 수동 또는 규칙 기반으로 ...

네트워크 / 잘 알려진 포트, 등록된 포트, 동적 포트

포트 번호는 0~65535까지 사용 가능합니다. 이를 용도에 따라 잘 알려진 포트, 등록된 포트, 동적 포트 세 가지로 분류합니다. 관리는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에서 합니다.

Apache / 디렉토리 안에 있는 디렉토리 또는 파일 목록 출력하는 방법

Apache / 디렉토리 안에 있는 디렉토리 또는 파일 목록 출력하는 방법

URL이 정확히 입력되지 않은 경우 보통 다음처럼 Forbidden 에러가 납니다. 이 에러 대신 해당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과 하위 디렉토리 목록이 나오게 하고 싶다면, 설정에 다음 코드를 추가합니다. Options +Indexes

ICAP(Internet Content Adaptation Protocol) 서버

ICAP(Internet Content Adaptation Protocol) 서버는 HTTP 요청과 응답을 중간에서 가로채어 콘텐츠를 검사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입니다. 주로 웹 프록시 서버와 연동하여 바이러스 검사, 콘텐츠 필터링, 보안 정책 적용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ICAP 서버의 주요 용도 바이러스 검사 및 보안 검사: 웹 콘텐츠가 사용자에게 도달하기 전에 악성 코드나 바이러스를 탐지하고 차단합니다. 콘텐츠 필터링: ...

보안 / IPS - Intrusion Prevention System

Intrusion Prevention System(IPS)은 네트워크 보안 장치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악의적인 활동이나 정책 위반을 탐지하고 이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IDS(침입 탐지 시스템)와 유사하지만, IPS는 탐지뿐만 아니라 능동적으로 위협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주요 기능 실시간 모니터링 네트워크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위협을 탐지합니다. 위협 차단 악의적인 활동이 발견되면 자동으로 해당 트래픽을 차단하여 네트워크를 보호합니다. 정책 적용 네트워크 보안 ...

스팀 / 라이브러리(게임 설치 폴더) 추가하는 방법

스팀 / 라이브러리(게임 설치 폴더) 추가하는 방법

아무래도 SSD가 비싸다보니 C 드라이브의 용량이 크지 않습니다. 사무용으로 쓸 때는 괜찮은데, 개발이나 게임을 하면 용량의 한계를 느낍니다. 특히 요즘 게임은 수십 GB는 족히 넘거든요. 용량이 부족하면 SSD를 하나 더 사서 장착하면 되는데요, 그 SSD에 스팀 게임을 설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스팀 라이브러리 폴더를 추가해주면 됩니다. 스팀을 실행합니다. 왼쪽 위에 있는 을 클릭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