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지 / DAS / 특징, 장점

직접 연결 스토리지(DAS, Direct Attached Storage)는 컴퓨터나 서버에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토리지 장치입니다. DAS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서버에 물리적으로 연결되며, 별도의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치와 공유되지 않습니다.

DAS의 주요 특징

직접 연결

DAS는 서버나 컴퓨터에 직접 연결되는 형태로, 일반적으로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SAS(Serial Attached SCSI), SATA(Serial ATA)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됩니다. 이는 네트워크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인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독립적인 운영

DAS는 자체 운영체제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연결된 서버나 컴퓨터의 운영체제를 통해 관리되며, 외부 네트워크 장비나 추가적인 소프트웨어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

DAS는 네트워크를 경유하지 않고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네트워크 대역폭의 제한 없이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합니다. 이는 로컬 데이터 접근 속도를 최대화합니다.

제한된 확장성

DAS는 물리적으로 연결된 서버나 컴퓨터에 종속되므로, 확장성이 제한적입니다. 새로운 스토리지를 추가하려면 기존 시스템에 물리적으로 연결해야 하며, 이는 네트워크 스토리지 솔루션(SAN, NAS)에 비해 확장성이 낮습니다.

고가용성 제한

DAS는 주로 단일 서버에 연결되기 때문에, 서버에 문제가 발생하면 데이터 접근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고가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RAID 구성 등을 통해 데이터 복제와 백업을 관리해야 합니다.

DAS의 장점

고속 데이터 접근

DAS는 직접 연결을 통해 네트워크 병목 현상 없이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합니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애플리케이션 서버 등 고성능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유리합니다.

비용 효율성

DAS는 별도의 네트워크 장비나 추가적인 소프트웨어가 필요 없으므로 초기 구축 비용이 낮습니다. 소규모 시스템이나 예산이 제한된 환경에서 경제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설치 및 관리

DAS는 설치와 관리가 비교적 간단합니다. 서버나 컴퓨터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복잡한 네트워크 설정이나 관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이는 IT 인프라가 단순한 환경에서 유리합니다.

높은 성능

DAS는 로컬 디스크처럼 작동하여 높은 입출력 성능을 제공합니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 처리, 고속 데이터 분석 등의 작업에 적합합니다.

안정성과 신뢰성

DAS는 네트워크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네트워크 장애로 인한 데이터 접근 문제를 피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물리적 연결을 통해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DAS의 단점

제한된 확장성

DAS는 물리적으로 연결된 장치에 종속되므로, 저장 용량을 확장하는 데 제한이 있습니다. 대규모 데이터 저장소나 확장성이 중요한 환경에서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고가용성 관리의 어려움

DAS는 단일 서버에 연결되므로, 서버 장애 시 데이터 접근이 불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백업 및 복구 계획이 필요합니다.

공유 불가능

DAS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서버나 컴퓨터와 공유할 수 없으므로, 다수의 사용자나 시스템이 데이터를 공유하는 환경에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데이터 중앙화를 어렵게 합니다.

유연성 부족

DAS는 특정 서버나 컴퓨터에 종속되어 있어, 네트워크를 통한 유연한 데이터 접근이 어렵습니다. 이는 다중 위치에서 데이터 접근이 필요한 환경에서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

DAS의 사용 사례

데이터베이스 서버

DAS는 고속 데이터 접근이 가능하므로,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같은 고성능 스토리지 솔루션이 필요한 환경에 적합합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

애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로컬로 저장하여 빠른 접근 속도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백업 및 아카이빙

DAS는 데이터 백업 및 아카이빙 솔루션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일 서버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빠르게 복원할 수 있습니다.

소규모 비즈니스

초기 비용이 낮고, 설치와 관리가 간편하여 소규모 비즈니스에서 경제적인 스토리지 솔루션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치며

직접 연결 스토리지(DAS)는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와 간단한 설치 및 관리, 비용 효율성을 제공하는 스토리지 솔루션입니다. 고성능이 요구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나 애플리케이션 서버, 소규모 비즈니스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제한된 확장성, 고가용성 관리의 어려움, 공유 불가능 등의 단점도 존재합니다. DAS를 선택할 때는 이러한 장단점을 고려하여 자신의 요구에 맞는 솔루션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데 SC7 / 스마트폰에 녹음이 되지 않을 때 해결 방법

로데 SC7 / 스마트폰에 녹음이 되지 않을 때 해결 방법

영상을 찍을 일이 생겼습니다. 영상을 찍을 때 좋은 카메라만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좋은 마이크도 필요합니다. 고화질의 영상이 아니라면, 어쩌면 마이크가 더 중요합니다. 잡음이 심한 영상은 아무리 화질이 좋아도 보고 싶지 않습니다. 그래서 무선 마이크 BOYA BY-WM8 Pro를 샀습니다. 그리고, DSLR에 연결해서 음성을 녹음해보았습니다. 오~ 아주 잘 됩니다. 그런데, 새로운 사실을 알게되었습니다. DSLR보다 ...

데스크톱 / 2.5인치, 3.5인치 하드디스크(HDD) 장착하는 방법

데스크톱 / 2.5인치, 3.5인치 하드디스크(HDD) 장착하는 방법

SSD를 사용하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자주 사용하지 않는 자료 보관용으로는 HDD가 좋다. 용량이 크고 저렴하니까. 외장케이스를 사서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조금 번거롭더라도 PC에 장착하는 게 사용하기 편하다. 번거롭기만 할 뿐 어렵지 않다. 일단 확인할 것은 디스크 연결 케이블이 IDE이냐 SATA이냐 확인하는 건데, 아주 구형이 아닌 이상 SATA일 것이다. SATA 방식 HDD 연결 부위는 아래처럼 ...

DP(DisplayPort) / 버전별 기능 비교

DisplayPort는 고화질 영상과 오디오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입니다. 다양한 버전의 DisplayPort가 있으며, 각 버전은 더 높은 해상도와 대역폭, 추가 기능을 제공합니다. DisplayPort 1.0 / 1.1 출시 : 2006년 (1.0), 2007년 (1.1) 최대 해상도 및 주사율 : 2560x1600 @ 60Hz 대역폭 : 8.64 Gbps (전송 속도) 기능 : 기본적인 영상과 오디오 전송 지원, 2미터의 ...

X64와 ARM64 비교

X64와 ARM64 비교

컴퓨터와 모바일 장치의 세계에서 두 가지 주요 아키텍처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x64(또는 x86-64)와 ARM64. 이 두 아키텍처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설계되고 사용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x64와 ARM64 아키텍처의 차이점과 각 아키텍처의 장단점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x64 아키텍처 개요 x64는 64비트 확장판의 x86 아키텍처로, AMD가 처음 개발하여 AMD64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이후 인텔도 이 아키텍처를 채택하여 Intel 64라고 ...

모니터 / 패널 / TN 패널

TN(Twisted Nematic) 패널은 가장 오래된 LCD 기술 중 하나로, 주로 빠른 응답 속도와 저렴한 비용으로 인해 널리 사용됩니다. TN 패널의 특징 빠른 응답 속도 TN 패널의 가장 큰 장점은 매우 빠른 응답 속도입니다. 일반적으로 1ms에서 5ms의 응답 속도를 제공하여, 빠른 화면 전환이 필요한 게이밍 모니터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화면 잔상(고스트 현상)을 최소화하여 부드러운 ...

모니터 / 시야각

모니터 시야각(Viewing Angle)은 화면을 여러 각도에서 볼 때 화면의 색상과 명암비가 얼마나 유지되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시야각이 넓을수록 측면이나 위아래에서 보아도 화면의 왜곡이나 색상 변화가 적습니다. 시야각은 보통 수평(Horizontal) 시야각과 수직(Vertical) 시야각으로 나누어 측정됩니다. 시야각의 중요성 다수 사용자 환경 여러 사람이 동시에 화면을 볼 때 시야각이 좁으면 일부 사용자에게 왜곡된 색상이나 밝기가 보일 ...

마이크로소프트 무선 디스플레이 어댑터 / 펌웨어 업데이트 하는 방법

마이크로소프트 무선 디스플레이 어댑터 / 펌웨어 업데이트 하는 방법

Microsoft 무선 디스플레이 어댑터를 이용하여 노트북 화면을 큰 TV나 프로젝터로 보고 있다. 사용하는 노트북이 여러 대인데, 최신 노트북일수록, 최신 윈도우일수록 연결에 실패하는 경우가 생기고 있다. 여러 가지 설정을 변경해보아도 연결되는 척 하다가 끊긴다. 며칠 고생하다가 해결을 했는데, 방법은 Microsoft 무선 디스플레이 어댑터의 펌웨어를 업데이트 하는 것. 기존 펌웨어가 최신 하드웨어나 OS를 ...

모니터 / 색 영역 /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모니터 NTSC는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색 영역을 의미합니다. 이는 컬러 비디오 신호의 표준을 정의하는 용어로, 모니터의 색 재현 능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모니터 스펙에 나오는 NTSC 퍼센트 값은 해당 모니터가 NTSC 색 공간의 몇 퍼센트를 재현할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NTSC 색 공간 정의 NTSC 색 공간은 미국과 일본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에서 ...

KT 공유기 / GiGA WiFi Wave 2 / 초기화하는 방법

KT 공유기 / GiGA WiFi Wave 2 / 초기화하는 방법

KT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겉면에 GiGA WiFi Wave 2라고 써있네요. 장기고객 혜택이었는지 결합할인 때문이었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지만, 공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사용해서인지 작동하는 게 좀 이상해져서 초기화를 했습니다. 방법은 간단한데, 모든 설정이 사라지므로 중요한 설정은 메모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KT 공유기 옆면에 초기화 버튼이 있습니다. 펜 같은 걸로 꾸욱 누르고 잠시 기다랍니다. 전면에 LED가 ...

파워 서플라이 테스터 사용 후기

파워 서플라이 테스터 사용 후기

컴퓨터가 부팅이 되지 않을 때 원인을 찾는 것은 어렵다. 만약 각 부품들의 여분이 있다면 하나씩 교체해보면 되지만, 보통은 갖고 있지 않으니... 다른 부품들이 이상 없다고 판단되면 파워 서플라이 고장을 의심하게 되는데, 파워의 고장 여부는 어떻게 판단할까? 첫 번째 방법은 클립 등을 이용해서 파워 서플라이의 팬이 잘 도는 지 확인하는 것이다. 쇼핑몰에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