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패드 게이밍 3 15ACH R5 3050Ti 구입 후기

PC도 마찬가지지만, 노트북을 구입할 때 그것으로 무엇을 할 것인지 명확히 하는 것이 좋다. 그래야 적합한 제품을 고를 수 있으니까. PC는 최소 사양으로 맞춘 후 업그레이드가 가능하지만, 노트북은 메모리 추가나 저장공간 추가 정도 밖에 할 수 없으므로 더욱 신중하게 골라야 한다.

노트북은 일단 사무용으로 사용할 것인지 게임용으로 사용할 것인지를 정해야 한다. 게임용은 좀 없어 보이니 그래픽과 동영상 편집 작업용이라고 할까?

이번에 노트북을 하나 구입했는데, 고사양 필요 작업용(게임용)으로 샀다. 선택할 때 신경 쓴 조건은...

  1. 가능한 한 높은 사양의 외장 그래픽 카드.
  2. HDMI 2.0 이상 또는 DP 또는 화면 출력 지원하는 USB Type-C.
  3. 메모리, 저장 공간 추가 가능
  4. 저렴한 가격.

2번이 중요한 이유는 주로 4K 모니터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2번 조건을 맞추는 순간 가격도 꽤 올라간다. 메모리는 많을 수록 좋으니 3번도 중요.

4번만 아니었다면 사고 싶은 게 많았는데... 이리저리 비교하면서 결국 선택한 것은 레노버 게이밍 3 15ACH R5 3050Ti. 위 조건에 대한 답을 달자면...

  1. 가능한 한 높은 사양의 외장 그래픽 카드. → NVIDIA Geforce RTX 3050Ti GDD6 4GB
  2. HDMI 2.0 이상 또는 DP 또는 화면 출력 지원하는 USB Type-C. → HDMI 2.0
  3. 메모리, 저장 공간 추가 가능 → 둘 다 가능
  4. 저렴한 가격. → 비슷한 사양의 다른 제조사 제품보다 저렴

거기에 모니터 주사율이 120Hz이고, Wi-Fi 6.0을 지원한다. 지문 인식 기능이 없고, 노트북에 GAMING이라고 써있는 게 좀 아쉽.

박스는 아래처럼 생겼고...

구성은 다음과 같다. 오른쪽 아래에 있는 것은 저장 장치 추가할 때 필요한 것.

게이밍 노트북이라는 게 느껴지는 디자인이다.

모든 노트북이 그러하듯이, CPU, GPU 등 주요 부품에 대한 스티커가 붙어 있는데...

아씨.. 너무 삐뚤빼뚤하다. 저렴한 제품이기는 해도 이렇게 대충 붙일 줄이야. 설마 하자가 있는 것은 아니겠지? 너무 보기 싫어서 다 떼어버렸다.

바닥에도 뭔가 써있는 하얗고 커다란 스티커가 붙어 있다. 요건 뗄가 말까 고민 중.

사양이 괜찮은 만큼 속도는 빠르다. 인터넷이나 문서 작업은 당연히 빠르고, 게임도 원활하게 잘 돌아간다. 소음이 심할까 걱정했는데, 게임을 할 때는 쿨러가 쌩쌩 돌지만 일반적인 작업을 할 때는 조용하다. 발열도 생각보다 덜 하고...

그런데 메모리를 보고는 좀 당황했다. 총 8GB의 메모리 중 내장 그래픽에 2GB 할당을 해서 6GB 밖에 사용하지 못한다. 설정이 잘못되었나 한참을 찾았는데, 내장 그래픽을 포함한 AMD CPU는 원래 그렇단다. 그 예약하는 양은 바이오스 설정에서 변경할 수 있기는 한데, 조정할까 말까 고민 중이다.(조정한다고 해도 최소 512MB는 할당해야 한다. Intel CPU는 100MB 이하로 잡는데...) 조금 더 써보다가 메모리 때문에 불편한 일이 생기면 메모리를 추가해야겠다.

참고로, 동일한 사양에 CPU만 인텔인 제품도 있다. 단, 가격이 좀 더 비싸다.

4K 모니터에 연결도 잘 된다. 그런데 60Hz의 한계로 게임을 할 때 찢어짐과 잔상은 어쩔 수 없다. 그래서 게임을 할 때는 외부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고 노트북 모니터로 한다. 120Hz를 지원하는 모니터니까. 화면이 작기는 해도 부드럽고 선명하게 움직인다.

비슷한 사양의 외장 그래픽이 없는 제품보다 30만 원 정도 비싼데, 그렇게 사느니 게임용 데스크톱을 조립하는 게 낫다는 의견도 많다. 물론 가격과 성능을 따지면 맞는 말이기는 한데, 그러한 비교는 오로지 게임에만 포커스를 맞춘 것이다. 들고 다니기도 해야 하고, 게임도 하고 싶고, 높은 사양을 요구하는 프로그램도 돌려야 하는 상황이라면, 돈을 좀 들여서라도 게이밍 노트북을 사는 것도 좋은 선택이라고 본다.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니터 / Adaptive Sync

Adaptive Sync는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에서 개발한 표준 기술로, 디스플레이와 그래픽 카드 간의 주사율을 동기화하여 화면 찢김(Tearing)과 끊김(Stuttering)을 방지하는 기술입니다. Adaptive Sync는 AMD의 FreeSync 및 NVIDIA의 G-Sync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지만, 특정 브랜드에 의존하지 않고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개방형 표준입니다. Adaptive Sync의 작동 원리 주사율 동기화 Adaptive Sync는 디스플레이의 주사율을 그래픽 카드의 프레임 ...

모니터 / 패널 / TN 패널

TN(Twisted Nematic) 패널은 가장 오래된 LCD 기술 중 하나로, 주로 빠른 응답 속도와 저렴한 비용으로 인해 널리 사용됩니다. TN 패널의 특징 빠른 응답 속도 TN 패널의 가장 큰 장점은 매우 빠른 응답 속도입니다. 일반적으로 1ms에서 5ms의 응답 속도를 제공하여, 빠른 화면 전환이 필요한 게이밍 모니터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화면 잔상(고스트 현상)을 최소화하여 부드러운 ...

4극 Y형 케이블 / 마이크를 노트북 또는 스마트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

4극 Y형 케이블 / 마이크를 노트북 또는 스마트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은 마이크가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습니다. 통화할 때는 문제가 없지만, 누군가에게 보여줄 영상을 찍기에는 잡음이 많이 들어갑니다. 그래서 유튜브 등을 위한 영상을 만들 때에는 별도의 마이크를 사용하게 되는데... 마이크에는 보통 3극 케이블이 달려 있습니다. 케이블 끝에 굵은 검은 선이 두 개 있는 것이 3극입니다. 3극 케이블은 헤드폰과 마이크 단자가 따로 있는 기기에 ...

컴퓨터 부팅 시 Over Current Have Been Detected On Your USB Device!! 에러가 날 때 해결 방법

컴퓨터 부팅 시 Over Current Have Been Detected On Your USB Device!! 에러가 날 때 해결 방법

컴퓨터를 켤 때 다음과 같은 문구를 보여준 후 컴퓨터가 꺼지는 경우가 있다. Over Current Have Been Detected On Your USB Device!! System will shutdown after 15 seconds to protect your mainboard!! 이유는 문구에 있는대로 메인보드에 연결된 USB에 문제가 있다는 것. 해결 방법... 컴퓨터에 연결된 모든 USB를 제거하고 켜지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USB 포트에 연결된 것을 ...

X64와 ARM64 비교

X64와 ARM64 비교

컴퓨터와 모바일 장치의 세계에서 두 가지 주요 아키텍처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x64(또는 x86-64)와 ARM64. 이 두 아키텍처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설계되고 사용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x64와 ARM64 아키텍처의 차이점과 각 아키텍처의 장단점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x64 아키텍처 개요 x64는 64비트 확장판의 x86 아키텍처로, AMD가 처음 개발하여 AMD64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이후 인텔도 이 아키텍처를 채택하여 Intel 64라고 ...

HDMI / 버전별 기능 비교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는 고화질 영상과 음성을 하나의 케이블로 전송할 수 있는 기술로,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HDMI는 버전별로 다양한 기능과 성능 향상을 제공합니다. HDMI 1.0 출시 : 2002년 최대 해상도 및 주사율 : 1080p @ 60Hz 대역폭 : 4.95 Gbps 기능 : 오디오와 비디오의 동시 전송 지원, 기본 오디오 포맷 지원 HDMI 1.1 출시 : 2004년 주요 ...

KT 공유기 / GiGA WiFi Wave 2 / 브릿지 모드로 설정하는 방법

KT 공유기 / GiGA WiFi Wave 2 / 브릿지 모드로 설정하는 방법

KT 인터넷을 사용하고, 공유기는 ipTIME 거 하나, KT 거 하나 있습니다. KT 공유기가 생기기 전에는 인터넷 라인을 ipTIME 공유기에 연결하고, 그 공유기와 PC, 스마트폰 등을 연결했습니다. 그런데 무선이 집 전체를 커버하지 못하네요. 그래서 KT 공유기가 생겼을 때 두 개의 공유기를 같이 쓰기로 했습니다. 즉, 아래와 같은 구성에서...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바꾸는 ...

DP(DisplayPort) / 버전별 기능 비교

DisplayPort는 고화질 영상과 오디오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입니다. 다양한 버전의 DisplayPort가 있으며, 각 버전은 더 높은 해상도와 대역폭, 추가 기능을 제공합니다. DisplayPort 1.0 / 1.1 출시 : 2006년 (1.0), 2007년 (1.1) 최대 해상도 및 주사율 : 2560x1600 @ 60Hz 대역폭 : 8.64 Gbps (전송 속도) 기능 : 기본적인 영상과 오디오 전송 지원, 2미터의 ...

기가바이트 메인보드 / 바이오스 업데이트 하는 방법

기가바이트 메인보드 / 바이오스 업데이트 하는 방법

기가바이트 메인보드 지원 페이지에서 갖고 있는 메인보드를 검색하여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한다. 원하는 버전의 BIOS를 다운로드한다. 다운로드한 파일의 압축을 풀면, 설치 파일과 함께 매뉴얼이 있는데... 따라하기 쉬워 보이지 않는다. 위 매뉴얼대로 하기 힘들다면 APP Center를 설치하고... APP Center에서 @BIOS를 설치하고, 실행한다. 서버에 있는 것은 최신이 아닐 수 있으므로, 을 클릭하고... 다운로드한 파일을 선택하고 진행한다. 잠시 기다리면 재부팅을 ...

MSI / 메인보드 / 장착 가능한 메모리와 크기 확인하는 방법

MSI / 메인보드 / 장착 가능한 메모리와 크기 확인하는 방법

컴퓨터 조립은 쉽다. 케이스, 파워 서플라이, 메인보드, CPU, 메모리, 디스크 등을 구입한 후 적절한 위치에 꽂기만 하면 된다. 잘못 꽂을까 걱정할 것도 없다. 맞지 않는 위치라면 아예 끼워지지도 않는다. 아, 케이스에 있는 Power, Reset 선 등을 메인보드에 꽂을 때는 주의를 해야한다. 메인보드 설명서를 보고 잘 꽂아야 전원이 들어오고 LED가 깜빡인다. 문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