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 vs UDP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UDP(User Datagram Protocol)는 주요 통신 프로토콜로, 각각 다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특징

  • 연결 지향(Connection-oriented)
    TCP는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연결을 설정한다. 이 연결은 3-way handshake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 신뢰성(Reliability)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데이터 패킷이 손실되거나 손상되면 재전송한다.
  • 순서 보장(Ordering)
    패킷이 순서대로 도착하도록 보장한다. 수신자는 전송된 데이터가 원래의 순서대로 도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흐름 제어(Flow control)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조절하여 수신자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 혼잡 제어(Congestion control)
    네트워크 혼잡을 피하기 위해 송신 속도를 조절한다.

용도

  • 웹 브라우징(HTTP/HTTPS)
  • 이메일(SMTP, IMAP, POP3)
  • 파일 전송(FTP)
  • 원격 서버 접속(SSH, Telnet)

UDP (User Datagram Protocol)

특징

  1. 비연결 지향(Connectionless)
    UDP는 연결 설정 없이 데이터를 전송한다.
  2. 비신뢰성(Unreliable)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는다. 데이터 패킷이 손실되거나 손상되어도 재전송하지 않는다.
  3. 순서 미보장(No ordering)
    패킷의 순서를 보장하지 않는다. 수신자는 패킷이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을 수 있다.
  4. 단순한 헤더 구조(Simple header)
    TCP에 비해 UDP의 헤더 구조가 단순하여 오버헤드가 적다.
  5. 빠른 속도(Low latency)
    TCP보다 전송 속도가 빠르고 지연 시간이 적다.

용도

  • 실시간 스트리밍(Media streaming)
  • 온라인 게임
  • VoIP(Voice over IP)
  • 방송(Broadcast)
  • DNS(Domain Name System) 조회

3-way Handshake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에서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절차이다. 이 과정은 세 개의 단계로 이루어지며,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메커니즘이다. 3-way Handshake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SYN (Synchronize)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연결 요청을 보낸다.
    이 요청에는 클라이언트의 초기 시퀀스 번호(ISN, Initial Sequence Number)가 포함된다.
    패킷의 플래그 필드에 SYN(Synchronize)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다.
  2. SYN-ACK (Synchronize-Acknowledge)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SYN 요청을 수신하고, 이를 확인하는 응답을 보낸다.
    응답에는 서버의 초기 시퀀스 번호(ISN, Initial Sequence Number)와 클라이언트의 시퀀스 번호에 대한 확인 응답(ACK, Acknowledgment)이 포함된다.
    패킷의 플래그 필드에 SYN 및 ACK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다.
  3. ACK (Acknowledge)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SYN-ACK 응답을 수신하고, 이를 확인하는 응답을 보낸다.
    이 응답에는 클라이언트의 시퀀스 번호와 서버의 시퀀스 번호에 대한 확인 응답(ACK, Acknowledgment)이 포함된다.
    패킷의 플래그 필드에 ACK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다.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zure Information Protection와 Windows Information Protection

Azure Information Protection(AIP) 개요 AIP는 Microsoft Azure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 데이터의 분류, 라벨링,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솔루션입니다. 조직의 중요한 문서와 이메일을 암호화하고, 누가 어떤 데이터를 보고 조작할 수 있는지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주요 기능 데이터 분류 및 라벨링: 민감한 정보를 자동으로 탐지하고, 문서 및 이메일에 보안 라벨을 적용하여 관리합니다. 라벨링은 수동 또는 규칙 기반으로 ...

신용카드 / 결제일별 카드 사용 기간

신용카드 / 결제일별 카드 사용 기간

신용카드는 한 달 동안 사용한 금액을 12일에서 15일 뒤에 납부한다. 따라서 그 한 달을 어떻게 정하냐에 따라 결제일이 달라진다. 반대로, 결제일을 정하면 언제 사용한 것을 내는지 정해진다. 신용카드의 결제일별 사용 기간은 거의 비슷하나 같지는 않다. 개인적으로 전월 1일부터 전월 말일까지 사용한 것을 결제하는 걸 좋아하는데, 대부분 14일이나 현대카드는 12일이다. 국민카드 결제일 사용 기간 1 전전월 18일 ...

보안 / IDS와 IPS 비교

Intrusion Detection System(IDS)와 Intrusion Prevention System(IPS)은 모두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의 일환으로, 침입을 탐지하고 대응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이 두 시스템은 기능과 목적에서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Intrusion Detection System (IDS) IDS는 네트워크나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악의적인 활동이나 정책 위반을 탐지하여 관리자에게 경고를 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IDS는 침입을 탐지하지만, 이를 차단하지는 ...

국세청 홈택스 /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에서 연말정산자료 출력하는 방법

국세청 홈택스 / 연말정산간소화 서비스에서 연말정산자료 출력하는 방법

근로자는 매년 초 전년도 근로소득에 대해서 연말정산을 합니다. 이때 소득공제 또는 세액공제를 받기 위해서 보험료, 교육비, 신용카드 사용액 등을 제출을 하죠. 사실 꼭 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5월 달 종합소득세 신고 때 해도 되니까요. 하지만, 년 초에 하면 회시에서 처리해주고, 돈을 받을 게 있다면 미리 받는다는 장점이 있죠. 연말정산 관련 자료는 ...

NHN KCP / 결제한 내역 조회하는 방법

NHN KCP / 결제한 내역 조회하는 방법

인터넷 쇼핑몰에서 뭔가를 사고 신용카드 같은 걸로 결제할 때, 그 결제가 가능하도록 해주는 회사들이 있어요. 보통 PG라고 해요. 대표적인 PG로는 KG 이니시스, NHN KCP 등이 있어요. 결제를 하고 나면 문자도 오고, 메일도 오고 해서 어디서 무엇을 샀는지 잘 알 것만 같은데... 나중에 신용카드 명세서를 보면 어디에서 왜 썼는지 기억나지 않을 때가 ...

사진의 EXIF 정보 보는 방법, 수정하는 방법, 제거하는 방법

사진의 EXIF 정보 보는 방법, 수정하는 방법, 제거하는 방법

EXIF(Exchangeable Image File Format)는 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폰 등으로 찍은 이미지 파일에 포함되는 메타데이터 형식입니다. 사진을 찍을 때 자동으로 저장되는 정보들이라고 할 수 있어요. 이 정보는 이미지 파일에 포함됩니다. EXIF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들이 들어갑니다.

IP 스푸핑, MAC 스푸핑, ARP 스푸핑

IP 스푸핑(IP Spoofing) IP 스푸핑은 네트워크 공격 기법 중 하나로, 공격자가 자신의 IP 주소를 위조하여 다른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치를 속이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 기법은 주로 권한 없는 접근, 데이터 도청, 서비스 거부(DoS) 공격 등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작동 원리 IP 스푸핑은 IP 패킷 헤더에 있는 발신자 IP 주소(SRC IP)를 위조하여 공격 대상이 이를 ...

우리은행 / 자동이체 조회하는 방법, 해지하는 방법

우리은행 / 자동이체 조회하는 방법, 해지하는 방법

요금이나 적금 등을 납부할 때 자동이체를 많이 이용합니다. 납부일을 놓힐 위험도 없고 편하고...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자동 이체를 해지하거나 계좌를 변경해야 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은행 영업점에 방문하거나 전화하지 않아도 처리할 수 있습니다. 모든 은행이 가능한지는 모르겠으나, 우리은행은 가능합니다. 다음은 우리은행 모바일 앱인 우리 WON 뱅킹에서 자동이체를 조회하고 해지하고 등록하는 ...

네트워크 / 네임서버

네임서버(Name Server)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Domain Name System)의 핵심 구성 요소로,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네임서버는 인터넷이 현재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인프라 중 하나로,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웹 브라우저가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해당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의 ...

KT 멤버쉽 또는 롯데면세점 혜택으로 롯데렌터카 저렴하게 예약하는 방법

KT 멤버쉽 또는 롯데면세점 혜택으로 롯데렌터카 저렴하게 예약하는 방법

제주도 여행을 위해 차를 렌트하게 되었다. 제주도에는 렌트카 업체가 다양하게 있는데, 워낙 안 좋은 기사를 많이 봐서 대형 업체에서 빌리기로 했다.  대형 업체 중 롯데렌터카로 정했는데, 롯데렌터카 공식 홈페이지에서 예약하는 것보다 제휴 업체를 통해 예약하는 게 더 저렴하더라. 대표적인 제휴업체는 KT와 롯데면세점. 두 군데 모두 예약 방식이나 할인 정도는 같았다. 예를 들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