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 Zero Trust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는 네트워크 보안 모델로, 아무도 신뢰하지 않고 항상 검증한다는 원칙에 기반합니다. 이는 기존의 경계 기반 보안 모델과는 달리, 네트워크 내부에 있더라도 모든 사용자와 디바이스의 신뢰를 가정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누구인지, 그들이 사용하려는 기기가 안전한지, 그리고 해당 자원에 접근할 필요가 있는지 등을 지속적으로 검증합니다.

제로 트러스트의 핵심 원칙

  1. 기본 가정: 신뢰하지 않는다:

    • 제로 트러스트 모델에서는 네트워크 내외부를 구분하여 신뢰하지 않습니다. 즉, 내부 네트워크에 있다고 해서 사용자나 디바이스가 신뢰할 수 있다고 가정하지 않습니다.
    • 모든 접근 요청은 위치, 사용자 신원, 기기 상태, 보안 상태 등을 기준으로 엄격하게 검증합니다.
  2. 항상 검증(Verify Explicitly):

    • 접근 요청마다 사용자 및 기기의 신원과 보안 상태를 검증해야 합니다. 사용자가 인증된 이후에도 각 액세스 요청에서 검증 절차를 거칩니다.
    • 다단계 인증(MFA, Multi-Factor Authentication)을 통해 추가적인 검증을 요구하여 보안을 강화합니다.
    • 원격 근무나 클라우드 사용 환경에서도 동일한 원칙을 적용하여, 어디서 접속하든 검증이 이루어집니다.
  3. 최소 권한 원칙(Least Privilege Access):

    • 사용자나 애플리케이션이 시스템에 접근할 때 필요한 최소한의 권한만을 부여합니다. 이는 권한 남용이나 보안 위협으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파일에 접근해야 하는 이유가 있을 때만 일시적으로 해당 권한을 부여하고, 필요 없을 때는 자동으로 권한을 제거합니다.
    • 이를 통해 접근 권한을 정교하게 관리하고, 잠재적인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4. 기기와 사용자 상태의 지속적인 평가:

    • 사용자가 로그인을 한 후에도 지속적으로 기기 상태와 보안 상태를 모니터링합니다. 예를 들어, 기기가 악성 소프트웨어에 감염되었거나, 보안 패치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라면 접근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이는 조직의 보안 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고, 보안 상태가 만족스럽지 않으면 액세스가 거부되도록 합니다.
  5. 가시성 및 분석:

    • 제로 트러스트 모델에서는 모든 접근 및 활동에 대한 모니터링과 로깅이 필수적입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활동을 가시화하고, 이상 행동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 보안 위협 탐지 및 대응(SIEM, Security Information and Event Management)과 연계하여 잠재적인 위협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응합니다.

제로 트러스트의 주요 구성 요소

  1. 강화된 사용자 인증:

    • 다단계 인증(MFA)을 기본으로 적용하여 사용자가 누구인지 확인합니다. 이는 비밀번호 외에도 추가적인 인증 수단(예: SMS 코드, 인증 앱)을 요구하여 사용자가 진짜 본인임을 증명하게 합니다.
    • Azure AD와 같은 ID 관리 솔루션은 사용자 및 기기의 신원을 확인하고, 조건부 액세스 정책을 통해 접근을 제어합니다.
  2. 동적 정책 및 조건부 액세스:

    • 조건부 액세스는 사용자의 위치, 기기의 상태, 로그인 시간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접근을 제어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새로운 위치에서 접속하려고 할 때 추가 인증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 이러한 동적 정책을 통해, 상황에 따라 보안 요구 사항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3. 기기 관리 및 보안 상태 점검:

    • 제로 트러스트는 사용자가 접근하는 기기의 상태를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기기가 최신 보안 업데이트가 적용되었는지, 암호화가 설정되어 있는지 등을 평가하여 불안전한 기기에서의 접근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MDM(Mobile Device Management) 솔루션과 통합하여, 조직의 디바이스 상태를 중앙에서 관리하고 보안을 유지합니다.
  4. 데이터 보호 및 암호화:

    • 제로 트러스트 모델에서는 데이터의 이동 및 사용 중에도 암호화가 적용되어야 합니다. 이는 데이터가 저장될 때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때도 암호화를 유지하여 도난이나 유출로부터 보호합니다.
    • 데이터 손실 방지(DLP) 솔루션을 사용하여, 민감한 데이터가 무단으로 외부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합니다.
  5. 네트워크 세분화:

    • 네트워크를 세분화하여 각각의 네트워크 영역 사이에 강력한 접근 제어를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개발 환경과 생산 환경을 분리하여 각 영역의 접근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 마이크로 세그먼테이션을 통해 네트워크 내부의 이동도 제한하여, 만약 네트워크 내에 침입자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어렵게 만듭니다.

제로 트러스트의 주요 이점

  • 강화된 보안: 내부와 외부 사용자 모두를 검증하여, 내부 네트워크의 침해를 방지하고, 각 접근 시도에 대한 세밀한 통제와 모니터링을 통해 보안을 강화합니다.
  • 유연한 근무 환경 지원: 제로 트러스트 모델은 원격 근무와 클라우드 환경에 적합합니다. 사용자가 어디에서 접속하든 동일한 검증을 거치기 때문에, 원격 근무자의 보안 리스크를 줄이고 안전한 액세스를 제공합니다.
  • 피해 최소화: 최소 권한 접근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보안 위협이 발생하더라도 그 영향 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데이터 유출이나 권한 남용의 위험을 줄입니다.
  • 규제 준수: 많은 규제(예: GDPR, HIPAA)에서 요구하는 보안 기준을 충족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는 사용자 데이터와 접근 관리에 대한 투명성과 제어를 강화하기 때문입니다.

요약

제로 트러스트절대 신뢰하지 않고, 항상 검증한다는 접근 방식을 통해 네트워크 보안을 혁신적으로 강화하는 모델입니다. 사용자가 누구인지, 그들이 사용 중인 기기가 안전한지, 그리고 그들이 접근하려는 리소스가 무엇인지 등을 매번 검증하며, 다단계 인증, 조건부 액세스,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같은 보안 메커니즘을 결합하여 보안을 유지합니다. 제로 트러스트 모델은 특히 클라우드, 원격 근무, VDI 환경에서 보안 리스크를 줄이는 데 매우 유효하며, 현대적인 보안 전략의 핵심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S 레코드 조회하는 사이트

DNS 레코드 조회하는 사이트

DNS 레코드를 조회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OS가 윈도우라면 nslookup 명령어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 명령어를 사용하는 게 불편하다면 DNS 레코드를 조회해주는 사이트를 이용하는 게 편합니다.

한화손해보험 / 실비보험 / 보험금 앱으로 청구하여 받는 방법

한화손해보험 / 실비보험 / 보험금 앱으로 청구하여 받는 방법

한화손해보험에 실비보험을 들어둔 게 있습니다. 병원에 잘 가지 않아서 실비보험의 드는 게 의미가 있나 고민을 했었는데, 나이가 들고 병원을 다니게 되니 잘 가입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계속 건강해서 보험금을 아까워하는 게 더 좋은 거지만요. 실비보험은 실제로 지출한 병원비를 보장 받는 건데, 보험금을 받으려면 보험회사에 청구를 해야 합니다. 병원에서 보험사로 자동으로 청구를 ...

KT 멤버쉽 또는 롯데면세점 혜택으로 롯데렌터카 저렴하게 예약하는 방법

KT 멤버쉽 또는 롯데면세점 혜택으로 롯데렌터카 저렴하게 예약하는 방법

제주도 여행을 위해 차를 렌트하게 되었다. 제주도에는 렌트카 업체가 다양하게 있는데, 워낙 안 좋은 기사를 많이 봐서 대형 업체에서 빌리기로 했다.  대형 업체 중 롯데렌터카로 정했는데, 롯데렌터카 공식 홈페이지에서 예약하는 것보다 제휴 업체를 통해 예약하는 게 더 저렴하더라. 대표적인 제휴업체는 KT와 롯데면세점. 두 군데 모두 예약 방식이나 할인 정도는 같았다. 예를 들어 ...

보안 / 방화벽

방화벽의 정의 방화벽(Firewall)은 컴퓨터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여 신뢰할 수 없는 네트워크(일반적으로 인터넷)와 신뢰할 수 있는 내부 네트워크 간의 장벽을 형성합니다. 방화벽은 승인된 트래픽은 통과시키고, 비승인된 트래픽은 차단함으로써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합니다.  방화벽의 주요 기능 트래픽 필터링 방화벽은 패킷 필터링 기술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검사하고, 사전 정의된 보안 규칙에 따라 트래픽을 허용하거나 ...

phpMyAdmin / 이제 설정 파일은 암호화 문자열(blowfish_secret)을 필요로 합니다.

phpMyAdmin / 이제 설정 파일은 암호화 문자열(blowfish_secret)을 필요로 합니다.

phpMyAdmin을 업로드 하고 로그인 했을 때 다음과 같은 문구가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제 설정 파일은 암호화 문자열(blowfish_secret)을 필요로 합니다. 해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phpMyAdmin 디렉토리에 있는 config.sample.inc.php를 config.inc.php로 이름을 바꾸어 저장합니다. 그리고 파일에 있는 다음 코드에 값을 채웁니다. $cfg = ''; 32개 보다 적은 문자를 넣으면 길이가 짧다는 메시지가 나오므로, 32개 이상의 문자를 입력합니다.

스팀 / 게임 숨기기, 숨긴 게임 보기

스팀 / 게임 숨기기, 숨긴 게임 보기

언제할지도 모르면서 세일할 때 하나씩 사다보니 스팀에서 산 게임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 중에는 엔딩까지 봐서 다시는 안 할 게임도 있고, 사긴 했지만 정말 언제 할지 모를 게임도 있고, 원래 것과 리마스터가 같이 있는 것도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라이브러리에 하지도 않을 게임이 잔뜩 보이는데요... 다행히도 목록에서 그 게임들을 숨길 수 있습니다. 방법은... 게임을 선택하고 ...

토스페이먼츠 / 결제내역 확인하는 방법

토스페이먼츠 / 결제내역 확인하는 방법

인터넷 쇼핑몰에서 결제를 할 때 토스페이먼츠로 하였다면, 신용카드 명세에 가맹점명이 토스페이먼츠 주식회사로 찍힌다. 그래서 실제 결제한 인터넷 쇼핑몰이 어딘지 알 수 없다. 이를 확인하고 싶다면 토스페이먼츠 홈페이지로 가야 하는데... 좀 많이 귀찮다. 토스페이먼츠 홈페이지로 접속하고 을 클릭하거나... https://www.tosspayments.com/ 아래 링크로 바로 접속한다. https://consumer.tosspayments.com/payment-history/card 이 부분이 많이 귀찮은데... 결제 관련 정보를 꽤 많이 입력해야 한다. 입력을 마쳤으면 ...

MariaDB / 데이터베이스 이름에 하이픈(-) 또는 점(.) 포함하는 방법

MariaDB / 데이터베이스 이름에 하이픈(-) 또는 점(.) 포함하는 방법

MariaDB에 하이픈(-)이나 점(.)을 포함한 이름으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면 에러가 납니다. 예를 들어 create database test-test; 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면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지 못합니다. ERROR 1064 (42000): You have an error in your SQL syntax; check the manual that corresponds to your MariaDB server version for the right syntax to use near '-test' at ...

VMware Workstation Pro / 다운로드하는 방법

VMware Workstation Pro / 다운로드하는 방법

VMware Workstation Pro는 이름에 Pro가 있지만 무료입니다. 2024년 11월부터 상업적 목적을 포함하여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냥 다운로드를 하지는 못하고 https://support.broadcom.com/에 회원 가입을 해야 합니다.

보안 / IDS - Intrusion Detection System

Intrusion Detection System(IDS)는 네트워크나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활동을 모니터링하고, 악의적인 활동이나 정책 위반을 탐지하여 관리자에게 경고를 보내는 보안 장치입니다. IDS는 침입 방지 시스템(IPS)과는 달리, 탐지된 위협을 차단하지 않고 알림을 통해 관리자에게 통보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요 특징 실시간 모니터링 네트워크 트래픽이나 시스템 로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이상 활동을 탐지합니다. 위협 탐지 악의적인 활동, 정책 위반, 비정상적인 트래픽 패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