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극 Y형 케이블 / 마이크를 노트북 또는 스마트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은 마이크가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습니다. 통화할 때는 문제가 없지만, 누군가에게 보여줄 영상을 찍기에는 잡음이 많이 들어갑니다. 그래서 유튜브 등을 위한 영상을 만들 때에는 별도의 마이크를 사용하게 되는데...

마이크에는 보통 3극 케이블이 달려 있습니다. 케이블 끝에 굵은 검은 선이 두 개 있는 것이 3극입니다.

3극 케이블은 헤드폰과 마이크 단자가 따로 있는 기기에 연결할 때 사용하는 것인데,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의 단자는 겸용입니다. 여기에는 4극 케이블을 사용해야 해서, 3극을 꽂으면 마이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4극 Y형 케이블을 구입하는 것입니다. 아래처럼 생긴 것으로, 검은 색 선이 3개 있습니다.

마이크 꽂는 곳과 이어폰 꽂는 곳이 따로 있구요.

마이크를 Y형 케이블에 다음처럼 연결하고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에 연결하면, 마이크가 제대로 작동합니다.

Y형 케이블의 헤드폰 단자에 이어폰을 연결하면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트북 / 스티커 제거 방법

노트북 / 스티커 제거 방법

노트북을 사면 키보드 밑 터치패드 옆에 스티커가 붙어 있다. CPU 스티커, 그래픽 카드 스티커, AS 스티커 등 노트북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3-4개는 항상 붙어 있다. 개인적인 성향이겠으나, 나는 그 스티커들을 좋아하지 않는다. 열심히 디자인한 노트북에 왜 붙였는지 이유를 모르겠다. 시스템 정보나 제품 설명에 다 나오는 것인데 말이다. 스티커가 노트북을 더 멋있게 만드는 ...

모니터 / Adaptive Sync

Adaptive Sync는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에서 개발한 표준 기술로, 디스플레이와 그래픽 카드 간의 주사율을 동기화하여 화면 찢김(Tearing)과 끊김(Stuttering)을 방지하는 기술입니다. Adaptive Sync는 AMD의 FreeSync 및 NVIDIA의 G-Sync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지만, 특정 브랜드에 의존하지 않고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개방형 표준입니다. Adaptive Sync의 작동 원리 주사율 동기화 Adaptive Sync는 디스플레이의 주사율을 그래픽 카드의 프레임 ...

USB Type C To HDMI 연결 케이블로 노트북와 모니터 연결하기

USB Type C To HDMI 연결 케이블로 노트북와 모니터 연결하기

노트북을 사용합니다. 집이나 회사에서는 모니터와 연결해서 사용합니다. 노트북과 모니터, 두 개의 화면에서 작업하는데, 어떤 작업을 할 때는 그걸로도 부족할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모니터를 하나 더 연결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있습니다. 노트북에 HDMI 단자가 하나만 있습니다. DP도 없습니다. 대신 USB Type C 포트가 있습니다.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USB C HDMI... 잔뜩 상품이 나오더군요. ...

마우스 / 센서 - 종류와 장단점

마우스 센서는 컴퓨터 마우스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주로 사용되는 센서 타입은 광학 센서와 레이저 센서입니다. 각 센서의 작동 원리와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광학 센서 광학 센서는 LED(발광 다이오드)와 CMOS(상보형 금속산화반도체) 이미징 칩을 사용합니다. 일반적으로 빨간색 LED가 사용됩니다. 이 LED는 마우스 바닥을 비추며, CMOS 센서가 표면의 이미지를 초당 수천 ...

데스크톱 / 2.5인치, 3.5인치 하드디스크(HDD) 장착하는 방법

데스크톱 / 2.5인치, 3.5인치 하드디스크(HDD) 장착하는 방법

SSD를 사용하는 추세이기는 하지만, 자주 사용하지 않는 자료 보관용으로는 HDD가 좋다. 용량이 크고 저렴하니까. 외장케이스를 사서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조금 번거롭더라도 PC에 장착하는 게 사용하기 편하다. 번거롭기만 할 뿐 어렵지 않다. 일단 확인할 것은 디스크 연결 케이블이 IDE이냐 SATA이냐 확인하는 건데, 아주 구형이 아닌 이상 SATA일 것이다. SATA 방식 HDD 연결 부위는 아래처럼 ...

와콤 태블릿 / 드라이버 설치하는 방법

와콤 태블릿 / 드라이버 설치하는 방법

와콤 태블릿이 있습니다. 그림 그리면서 놀려고 몇 년 전에 구입한 건데, 거의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지도 않습니다. 하지만 계속 놀릴 수는 없죠. 다시 연결하고 사용하기로 마음 먹었습니다. 그랬더니 드라이버 설치 CD가 없어졌네요. 그렇다고 사용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최신 드라이버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와콤 태블릿 드라이버'로 검색을 했습니다. ...

NVMe / 특징, 종류, 장점, 단점

NVMe / 특징, 종류, 장점, 단점

NVMe(Non-Volatile Memory Express)는 SSD(Solid State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저장장치와 컴퓨터 시스템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새로운 인터페이스 표준입니다. NVMe는 고성능 저장 장치로, 특히 데이터 전송 속도가 중요한 고성능 컴퓨팅 환경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NVMe의 주요 특징 고속 인터페이스 : NVMe는 PCIe 버스를 통해 작동하며, SATA보다 훨씬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합니다. 병렬 처리 ...

로데 SC7 / 스마트폰에 녹음이 되지 않을 때 해결 방법

로데 SC7 / 스마트폰에 녹음이 되지 않을 때 해결 방법

영상을 찍을 일이 생겼습니다. 영상을 찍을 때 좋은 카메라만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좋은 마이크도 필요합니다. 고화질의 영상이 아니라면, 어쩌면 마이크가 더 중요합니다. 잡음이 심한 영상은 아무리 화질이 좋아도 보고 싶지 않습니다. 그래서 무선 마이크 BOYA BY-WM8 Pro를 샀습니다. 그리고, DSLR에 연결해서 음성을 녹음해보았습니다. 오~ 아주 잘 됩니다. 그런데, 새로운 사실을 알게되었습니다. DSLR보다 ...

모니터 / 색 영역 /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모니터 NTSC는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색 영역을 의미합니다. 이는 컬러 비디오 신호의 표준을 정의하는 용어로, 모니터의 색 재현 능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모니터 스펙에 나오는 NTSC 퍼센트 값은 해당 모니터가 NTSC 색 공간의 몇 퍼센트를 재현할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NTSC 색 공간 정의 NTSC 색 공간은 미국과 일본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에서 ...

DSLR / 캐논 / 펌웨어(firmware) 업데이트하는 방법

DSLR / 캐논 / 펌웨어(firmware) 업데이트하는 방법

펌웨어(firmware) 펌웨어(firmware)는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입니다.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중간 정도의 것이라고 보기도 합니다. 그리고 그 펌웨어는 계속해서 업데이트됩니다. 하드웨어를 제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펌웨어를 최신 버전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캐논 DSLR도 마찬가지입니다. 구입한지 오래되었다면 펌웨어가 업데이트되었는지 확인하고, 최신 버전이 아니라면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펌웨어 버전 확인하기 사용하는 DSLR의 펌웨어 버전은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EOS 650D의 펌웨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