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지 / SAN / iSCSI / 특징, 장점

현대 데이터 센터와 기업 환경에서 스토리지 솔루션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데이터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저장 및 관리의 필요성도 함께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iSCSI(Internet Small Computer Systems Interface)는 매우 유용하고 비용 효율적인 스토리지 솔루션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iSCSI란?

iSCSI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저장 장치에 액세스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이는 기존의 로컬 스토리지 접근 방식과는 다르게, 인터넷 프로토콜(IP)을 통해 원격 스토리지 장치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합니다. iSCSI는 SCSI(소형 컴퓨터 시스템 인터페이스) 명령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여, 원격 디스크를 마치 로컬 디스크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iSCSI의 주요 특징

iSCSI는 몇 가지 주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TCP/IP 사용

iSCSI는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합니다. 이는 기존 네트워크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TCP/IP는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이를 기반으로 하는 iSCSI는 네트워크 전반에 걸쳐 호환성과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SCSI 명령어 세트

iSCSI는 SCSI 명령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합니다. 이는 로컬 디스크와 동일한 방식으로 원격 디스크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합니다. SCSI는 높은 성능과 신뢰성을 제공하는 명령어 세트로, 데이터 전송 및 저장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저비용

기존 네트워크 인프라를 활용하므로, 새로운 하드웨어를 구매할 필요가 없어 비용 효율적입니다. 이는 특히 중소기업이나 예산이 제한된 조직에게 큰 이점이 됩니다.

iSCSI의 장점

iSCSI의 주요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유연성

기존 IP 네트워크를 통해 스토리지를 쉽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이 필요에 따라 스토리지 용량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게 합니다.

비용 절감:

별도의 전용 스토리지 네트워크(SAN)를 구축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이 절감됩니다. iSCSI는 기존의 이더넷 네트워크를 통해 동작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네트워크 장비를 구매할 필요가 없습니다.

관리 용이성

통합된 네트워크 환경에서 스토리지를 관리할 수 있어 관리가 편리합니다. 중앙 집중식 관리 툴을 통해 네트워크와 스토리지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iSCSI의 동작 원리

iSCSI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집니다:

  • iSCSI Initiator
    데이터 요청을 보내는 클라이언트 측 장치나 소프트웨어입니다. Initiator는 네트워크를 통해 Target에게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받습니다.

  • iSCSI Target
    데이터 요청을 받아들이고 응답하는 서버 측 장치나 소프트웨어입니다. Target은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호스트하고, Initiator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저장합니다.

  • iSCSI 프로토콜
    Initiator와 Target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입니다. iSCSI 프로토콜은 SCSI 명령어를 캡슐화하여 TCP/IP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합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이 상호 작용하여, 원격 스토리지를 로컬 스토리지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이는 특히 대규모 데이터 센터나 분산된 환경에서 유용합니다.

iSCSI의 사용 사례

iSCSI는 다양한 사용 사례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백업 및 복구

iSCSI는 데이터 백업 및 복구 솔루션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원격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백업함으로써, 데이터 손실 시 빠르게 복구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센터 간의 스토리지 통합

여러 데이터 센터 간의 스토리지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는 데이터 센터 간의 데이터 이동과 동기화를 용이하게 합니다.

가상화 환경에서의 스토리지 솔루션

가상화 환경에서 가상 머신(VM)의 스토리지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iSCSI를 통해 VM에 스토리지를 유연하게 할당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고가용성 클러스터 환경에서의 스토리지 공유

고가용성(HA) 클러스터 환경에서 노드 간의 스토리지를 공유하여, 시스템의 가용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마치며

iSCSI는 그 유연성과 비용 효율성 덕분에 많은 기업들이 스토리지 솔루션으로 채택하고 있는 프로토콜입니다. TCP/IP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기존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고성능의 스토리지 접근을 제공하는 iSCSI는 데이터 저장 및 관리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데이터 양이 급증하고 있는 현대 환경에서, iSCSI는 앞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고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US / 메인보드 / 장착 가능한 메모리와 크기 확인하는 방법

ASUS / 메인보드 / 장착 가능한 메모리와 크기 확인하는 방법

메인보드에 메모리 슬롯이 4개 있고, 최대 인식 메모리가 64GB라고 하면, 16GB 메모리를 4개 끼울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 규격(DDR4, DDR5 등)만 맞으면 삼성 메모리 사용하든 하이닉스 메모리를 사용하든 상관 없을 거라 생각했는데... ASUS의 경우 메모리 제조사에 따라 메인보드가 인식할 수 있는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ADATA 메모리는 32GB까지 가능하지만 ...

KT 공유기 / GiGA WiFi Wave 2 / 브릿지 모드로 설정하는 방법

KT 공유기 / GiGA WiFi Wave 2 / 브릿지 모드로 설정하는 방법

KT 인터넷을 사용하고, 공유기는 ipTIME 거 하나, KT 거 하나 있습니다. KT 공유기가 생기기 전에는 인터넷 라인을 ipTIME 공유기에 연결하고, 그 공유기와 PC, 스마트폰 등을 연결했습니다. 그런데 무선이 집 전체를 커버하지 못하네요. 그래서 KT 공유기가 생겼을 때 두 개의 공유기를 같이 쓰기로 했습니다. 즉, 아래와 같은 구성에서...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바꾸는 ...

삼성 SSD / 삼성 매지션으로 펌웨어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삼성 SSD / 삼성 매지션으로 펌웨어 업그레이드하는 방법

삼성 SSD 850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구입한지는 꽤 되었습니다. 구입 당시 사용하던 메인보드가 AHCI를 지원하지 않아서 성능에서 손해를 좀 보고 있었죠. 이번에 메인보드를 교체하면서 제대로 SSD를 사용해보자라고 마음 먹었습니다. 제일 먼저 한 것은 삼성 매지션 설치입니다. 삼성 매지션은 삼성 SSD 관리를 위한 소프트웨어로, 벤치마크, 최적화, 데이터 완전 삭제 등을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는 여기에서 ...

레이저 프린터 / 특징, 장점, 단점

레이저 프린터 / 특징, 장점, 단점

레이저 프린터(Laser Printer)는 레이저 기술을 이용해 고품질의 텍스트와 그래픽을 출력하는 컴퓨터 프린터입니다. 레이저 프린터는 정전기 원리를 활용해 토너(Toner)를 종이에 정착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특징 인쇄 방식 레이저 프린터는 레이저 빔과 전기 사진 과정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인쇄합니다. 레이저 빔이 드럼에 도트를 그리면, 이 도트에 토너가 붙어 종이에 전사됩니다. 토너 사용 레이저 프린터는 잉크 대신 분말 형태의 토너를 ...

모니터 / 시야각

모니터 시야각(Viewing Angle)은 화면을 여러 각도에서 볼 때 화면의 색상과 명암비가 얼마나 유지되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시야각이 넓을수록 측면이나 위아래에서 보아도 화면의 왜곡이나 색상 변화가 적습니다. 시야각은 보통 수평(Horizontal) 시야각과 수직(Vertical) 시야각으로 나누어 측정됩니다. 시야각의 중요성 다수 사용자 환경 여러 사람이 동시에 화면을 볼 때 시야각이 좁으면 일부 사용자에게 왜곡된 색상이나 밝기가 보일 ...

AMD 라이젠 CPU에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에뮬레이터 실행하는 방법

AMD 라이젠 CPU에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에뮬레이터 실행하는 방법

인텔 CPU를 장착한 컴퓨터에서는 별다른 설정 없이도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의 에뮬레이터가 잘 작동합니다. 컴퓨터 사양이 좋지 않으면 무척 느리기는 하지만, 작동은 합니다. 하지만 AMD CPU를 장착한 컴퓨터에서는 에뮬레이터 실행이 되지 않고 에러를 내는 경우가 있습니다. 몇 가지 설정을 해야 에뮬레이터가 실행됩니다. 다음은 라이젠 CPU를 사용할 때 에뮬레이터가 작동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BIOS 설정을 ...

마우스 / DPI 완벽 가이드

DPI는 마우스의 중요한 사양 중 하나로, 특히 게임, 그래픽 디자인, 세밀한 작업을 할 때 매우 중요합니다. DPI가 무엇인지, 마우스 성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다양한 DPI 설정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DPI란 무엇인가? DPI(Dots Per Inch)는 마우스의 감도를 측정하는 단위입니다. DPI는 마우스가 물리적으로 1인치(2.54cm) 움직일 때 화면에서 커서가 몇 픽셀 움직이는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

4극 Y형 케이블 / 마이크를 노트북 또는 스마트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

4극 Y형 케이블 / 마이크를 노트북 또는 스마트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법

노트북이나 스마트폰은 마이크가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습니다. 통화할 때는 문제가 없지만, 누군가에게 보여줄 영상을 찍기에는 잡음이 많이 들어갑니다. 그래서 유튜브 등을 위한 영상을 만들 때에는 별도의 마이크를 사용하게 되는데... 마이크에는 보통 3극 케이블이 달려 있습니다. 케이블 끝에 굵은 검은 선이 두 개 있는 것이 3극입니다. 3극 케이블은 헤드폰과 마이크 단자가 따로 있는 기기에 ...

모니터 /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모니터 캘리브레이션은 모니터의 색상, 밝기, 대비 등을 정확하게 조정하여 실제 환경에서 일관되고 정확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입니다. 캘리브레이션은 사진 편집, 그래픽 디자인, 비디오 편집 등 색상 정확도가 중요한 작업에서 특히 중요합니다. 모니터 캘리브레이션의 필요성 정확한 색상 표현 각 모니터는 제조 과정에서 약간의 색상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캘리브레이션을 통해 모니터가 정확한 ...

모니터 / 색 영역 /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모니터 NTSC는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색 영역을 의미합니다. 이는 컬러 비디오 신호의 표준을 정의하는 용어로, 모니터의 색 재현 능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모니터 스펙에 나오는 NTSC 퍼센트 값은 해당 모니터가 NTSC 색 공간의 몇 퍼센트를 재현할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NTSC 색 공간 정의 NTSC 색 공간은 미국과 일본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에서 ...